- 관세 사각지대, 인도네시아·라오스로 생산기지 이전
- 생산기지 이전하면 그만…중국산 태양광 제품 못막아
중국의 태양광 기업들이 미국의 관세 압박을 피해 새로운 생산기지를 찾아 나섰다. 로이터통신은 4일(현지시각) 융기실리콘자재, 트리나솔라, 징코솔라 등 중국의 주요 태양광 기업들이 동남아 4개국에 대한 미국의 관세를 피해 인도네시아와 라오스로 공장을 이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관세 사각지대, 인도네시아·라오스로 생산기지 이전
최근 18개월간 중국 태양광 기업들의 인도네시아와 라오스행(行)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 기간 중국 기업이 직접 운영하거나 연관된 태양광 프로젝트는 최소 4개가 가동을 시작했고, 2개가 추가로 발표됐다. 규모는 도합 22.9기가와트(GW)에 달한다. 여기서 생산된 태양광 제품은 대부분 미국 시장을 타깃으로 한다.
트리나솔라는 인도네시아에서 1GW 규모 공장을 연내 가동한다. 레소 그룹은 2.4GW, 뉴이스트솔라는 3.5GW 규모의 공장을 이미 세웠다. 미국 태양광업계의 한 관계자는 "중국 기업들의 인도네시아 이전이 급격하게 이뤄지고 있다"며 "규모가 차원이 다르다"라고 말했다. 연방 데이터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대미(對美) 태양광 수출은 2024년 8월까지 거의 두 배인 2억4600만달러(약 3384억원)로 증가했다.
라오스에서는 임페리얼스타솔라가 지난 3월 4GW 규모의 웨이퍼 공장을 열었고, 솔라스페이스도 작년 9월 5GW 규모의 태양전지 공장을 가동하기 시작했다. 진코솔라는 지난 7월 동남아가 아닌 사우디아라비아에서 10억달러(약 1조3760억원) 규모의 계약을 맺고 10GW 규모의 신규 공장을 짓기로 했다.
생산기지 이전하면 그만…중국산 태양광 제품 못막아
미국이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통한 당근과 관세라는 채찍을 동원하고 있지만, 중국산 태양광 물량을 막기엔 역부족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윌리엄 A. 라인쉬 국제경제석좌는 미국과 중국의 태양광 경쟁을 두고 "고양이와 쥐의 숨바꼭질 같다"며 "생산기지 이전이 그리 어렵지 않아 미국이 늘 한 발 늦을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태양광 시장조사기관인 SPV 마켓 리서치에 따르면, 중국은 전 세계 태양광 제품의 약 80%를 생산한다. 20년 전 미국이 이 산업을 주도했던 것과는 정반대다. 태양광 시장조사 기업인 PV인사이트(PVinsights)에 따르면, 미국 태양광 제품 가격은 최근 4년간 중국보다 40%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미국 태양광 업계는 "중국 정부와 수출국의 부당한 보조금으로 중국산 저가 제품과 경쟁할 수 없다"고 호소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중국산 제품에 6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약했고, 여야 의원들도 입을 모아 중국산 태양광에 대한 관세 강화를 요구하고 있다.
존 무레나르 하원 중국특별위원회 위원장은 "미국 국민은 관세를 더 엄격하게 집행할 것을 요구해야 한다"며 "특히 중국이 제3국을 이용해 미국 무역법을 위반하는 것과 관련해 더욱 그렇다"고 로이터에 전했다.
- 중국 태양광 기업, 동남아 생산 축소…미국 현지 직접 공략
- 美 태양광 패널제조 업체, “동남아 기업은 사실상 중국계…관세 소급 부과하라”
- 미국 태양광, IRA 덕에 4배 성장... 중국 의존도 해결은 '숙제'
- 美중국 특위, 대중국 견제 수위 높여...배터리 업계 제재 및 중국산 광물 규제 추진
- 태양광 관세 확대 이유? "IRA에 21조 쏟아내도 미 태양광 밸류체인 재건 쉽지 않네"
- 美, 동남아에서 조립한 태양광 업체에도 관세 부과키로
- 중국, 1GW 규모 세계 최대 해상 태양광 프로젝트 첫 가동
- 인도, 미국 청정에너지 목표의 핵심 파트너로 부상
- 미국, 동남아산 태양광 제품에 ‘반덤핑관세’ 부과 예비 결정…최대 271%
- 인도네시아, 원전 개발 추진 논의 중
- 중국, 업계 불황에도 태양광 발전 기록 경신…2025년 키워드는 생존
- 中 융기실리콘자재, 태양광 모듈공장 가동 연기…공급 과잉 여파
-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재생에너지 보조금 철회 선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