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물 검색

트렌드 [Trend Report] ESG와 주주행동주의 트렌드 리포트

"얼라인파트너스-SM, 실체스터-LG, 빅웨이브-포스코…"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주주행동주의’입니다. 주주행동주의란, 주주들이 기업 경영진의 의사결정을 감독하고,  기업 지배구조, 사업구조, 재무구조, 환경, 기업의 사회적 책임 등을  개선하도록 주주권을 행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최근 주주행동주의가 회사 운영 등 일상적인 경영활동까지 확대되면서 기업 경영 전반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위 사례들도 기업 지배구조를 개선하거나 ESG 리스크를 개선하라는 주주들의 목소리가 반영된 것입니다. 국내는 지배구조 관련 주주행동주의가 높지만 앞으로 ESG 법제화가 시작되면 ESG 주주행동주의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ESG와 주주행동주의 트렌드 완전 분석 국내 유일 ESG 전문미디어 임팩트온은  국내외 주주행동주의 사례를 통해 기업들이 주주행동주의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주주행동주의 트렌드 리포트와 해설강의를 준비했습니다. 주주행동주의 기본 개념 비영리단체·소액주주 사이에서도 일어나고 있는 최근 핫한 행동주의 플랫폼 소개 ESG 주주행동주의에 대응하기 위한 5단계 주주행동주의에 관한 중요성과 이론적 담론을 넘어 투자자들이 어떻게 기업 ESG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 주주행동주의 기회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등 미래 비전까지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주행동주의를 통해 기업 가치도 높이고 ESG 목표까지 실현할 수 있도록  알찬 내용으로 구성했습니다.     목차(62p) 01 ESG 주주행동주의 10문 10답 02 'ESG 주주행동주의'란 무엇인가 03 ESG 주주행동주의 주요 트렌드 04 ESG 주주행동주의, 어떻게 대응해야할까 05 ESG 주주행동 주요 기관 06 ESG 주주행동 캠페인 사례분석 07 시사점   보고서 미리보기

스페셜 [Special Report] 자발적 탄소 배출권 평가 프레임워크

자발적 탄소 배출권 평가, A부터 Z까지  자발적 탄소시장청렴위원회(IC-VCM)는 전 세계 탄소 시장에 단일한 평가원칙을 도입하겠다는 목표로 핵심 탄소원칙(CCP) 및 평가 프레임워크를 발표했습니다. 이 프레임워크는 핵심 탄소원칙(CCP)의 10가지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추가성, 완화활동 정보, 영구성, 프로그램 거버넌스, 강력하고 독립적인 제3자 검증, 순배출량 제로로의 전환 등입니다. 이 보고서는 기업들이 탄소배출권 인증을 받기 위한 요건들을 상세히 설명했으며, 탄소배출권 태그 부착 방법, IC-VCM의 CCP 감독 및 집행 방법 등 자발적 탄소배출권 시장과 평가 프레임워크의 전반 내용과 과정을 담았습니다.   목차 (86p) - 자발적 탄소 배출권 평가 프레임워크 Summary - 용어 정의 - 탄소 배출 프로그램 I. 탄소 배출 프로그램 요건 1. 프로그램 거버넌스 2. 배출 감축 및 제거 정량화 3. 강력하고 독립적인 제3자 검증 및 타당성 검증 4. 이중 계산 금지 5. 레지스트리 6. 완화 활동 정보 7. 지속 가능한 발전 영향 및 세이프 가드 II. 탄소배출권의 유형과 관련된 요구 사항 8. 추가성 9. 영속성 10. 강력한 정량화 11. 넷제로로의 전환 III. 특성과 관련된 요건 12. 특성 IV 파리협정 연계 관련 문제 13. 파리협정과의 연계   보고서 미리보기

스페셜 [Special Report] 유럽연합의 그린딜 패키지 법안

EU 그린딜 28개 법안의 핵심 내용, 떠먹여 드립니다. EU 그린딜은 넷제로 경제를 위한 유럽연합의 로드맵입니다. 모든 정책에서 기후 및 환경 관련 도전과제들을 기회로 전환하고, 그러한 전환을 정의롭고 포용적인 방식으로 이루는 것이 이 로드맵의 골자입니다. 이 보고서는 지속가능보고지침(CSRD), 탄소국경조정매커니즘(CEBAM), 재생에너지지침 등 28개 주요 법안을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기본 핵심 내용은 보고서에서, 최근 업데이트 내용은 임팩트온에서 확인하세요! ★법안별 참고자료와 추가정보 이 보고서 아니면 절대 돈 주고 살 수 없습니다! 법안 내용, 향후 일정, 준수 요건 등 엑기스만을 담았을 뿐 아니라  기업 담당자들이 추가 조사를 하실 수 있도록 법안별 주요 참고자료를 담았습니다. 어렵고 험난한 EU 법안 트렌드를 따라가기 전 반드시 읽어야 할 필수템입니다.   목차 (52p) 1. 기업 지속가능보고지침(CSRD) 2. 농업의 인풋과 아웃풋 통계(SAIO) 3. 수산물 관리제도 개정(Revision of the fisheries control system) 4. 유럽그린딜 일환, 에너지 과세지침 개정 (Revision of the energy taxation directive as part of the European green deal) 5. 유럽그린딜 일환, 탄소국경조정매커니즘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as part of the European green deal) 6. 재생에너지 지침 개정 (Revision of the Renewable Energy Directive) 7. 에너지효율 지침 개정 (Revision of the Energy Efficiency Directive) 8. 건축물의 에너지성능지침 개정 (Revision of the Energy Performance of Buildings Directive) 9. 토지이용, 토지이용 변경 및 임업으로부터 온실가스 규제 규칙 개정 (Amending the Regulation on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removals from land use, land use change and forestry) 10. 노력분담 규정 (Review of the Effort-Sharing Regulation) 11. EU 배출권 거래제도(ETS) 개정 (Revision of the EU emission trading system) 12. EU 가스 지침 (Revision of the EU Gas Directive) 13. EU 가스 규제 개정 (Revision of the EU Gas Regulation) 14. EU 시장에 출시된 제품과 관련된 삼림벌채 및 삼림 degradation의 리스크 최소화 (Minimising the risk of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associated with products placed on the EU market) 15. 리퓨얼 EU 항공 - 지속가능한 항공 연료 (ReFuelEU Avaion - Sustainable Avation Fuels) 16. 퓨얼 EU 해당 - 지속가능한 해양 연료 (Fuel EU Maritime - Sustainable maritime fuels) 17. 선박용 연료유 소비량 데이터에 대한 글로벌 데이터 수집 시스템을 적절히 고려하기 위한 규정 개정(EU) 2015/757 제안 (Proposal for a regulation amending Regulation (EU) 2015/757 in order to take appropriate account of the global data collection system for ship fuel oil consumption data) 18. 유럽 그린딜의 일환으로 자동차 및 밴에 대한 CO2 배출 성능 기준 개정 (Revision of CO2 emission performance standards for cars and vans, as part of the European Green Deal) 19. 도로교통 분야에서의 지능형 교통 시스템 배치와 다른 교통수단과의 연결을 위한 프레임워크에 대한 지침 2010/40/EU의 검토 (Review of the Directive 2010/40/EU on the framework for the deployment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in the field of the road transport and for interfaces with other modes of transport) 20. 대체연료 인프라 구축에 관한 지침 개정 (Revision of the Directive on Deployment of Alternative Fuels Infrastructure) 21. 농산물·식품·와인·주류 등의 EU 지리적 표시(GI) 제도 개정 (Revision of the EU geographical indications (GIs) systems in agricultural products and foodstuffs, wines and spirit drinks) 22. 지속성유기오염물질규칙(REFIT) 부속서 IV 및 V의 개정 (Revision of Annexes IV and V of the Regulation on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REFIT) 23. 폐기물 수송에 관한 규칙(EC) No 1013/2006 개정(REFIT) (Revision of Regulation (EC) No 1013/2006 on Shipments of Waste (REFIT) 24. 새 배터리 규정(New Batteries Regulation) 25. 유럽 그린딜의 일환으로서 항공을 위한 EU 배출권 거래 시스템의 개정 (Revision of the EU Emissions Trading System for aviation, as part of the European Green Deal) 26. 사회 기후 기금(Social Climate Fund) 27. 유럽 그린딜의 일환으로서 EU ETS 시장 안정 예비역 개정 (Revision of the EU ETS Market Stability Reserve as part of the European Green Deal) 28. CORSIA(국제항공용 탄소 상쇄 및 감축 계획)에 관한 통지 Notification on the Carbon Offsetting and Reduction Scheme for International Aviation (CORSIA)   보고서 미리보기

스페셜 [Special Report] TNFD 자연 관련 공시 프레임워크 초안 국문 번역본

2023년 9월 최종 프레임워크 발표가 곧 임박해지고 있습니다. TNFD 최초 국문 번역본으로 글로벌 공시 트렌드에 미리 대응하세요! 베타 버전의 TNFD 초안은 2022년 10월, 2023년 2월과 6월 총 3번의 업데이트를 거쳐 2023년 9월 TNFD 최종 프레임워크가 발표될 예정입니다. TNFD 공시가 눈 앞으로 다가온 현 시점에서 TNFD 국문 번역본은 ESG 담당자에게 필수템입니다. 기업 담당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TNFD LEAP 접근방식 생물다양성이 글로벌 기업의 ESG 핵심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TNFD는 2022년 3월 베타 버전 프레임워크를 공개하면서 조직이 자연 관련 위험을 보고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조치를 마련하도록 권고했습니다. 이를 위해 기업들은 자연에 대한 종속성(dependencies)과 영향(impact)을 보고하기 위해 LEAP 접근방식을 취할 수 있다고 합니다. LEAP 접근방식이란, 기업만의 고유한 자연 환경을 찾고(Locate), 자연에 대한 종속 정도와 영향을 평가하고(Evaluate), 위험과 기회를 평가하고(Assess), 자연과 관련된 위험과 기회에 대응할 준비(Prepare)하는 대응방식입니다. 목차 (35p) 1. 자연 관련 위험 및 기회 관리가 중요한 이유 2. TNFD 프레임워크 소개 2.1.TNFD 프레임워크 개발 – 우리의 접근 방식 2.2. TNFD 프레임워크 – 개요 2.3. TNFD 프레임워크는 누구를 위해 설계되었습니까? 2.4. 프레임워크 개발 원칙 3. 자연에 대한 이해 ‐ 자연과 관련된 위험 및 기회에 대한 핵심 개념 및 정의 3.1. 자연에 대한 TNFD의 정의 3.2. 의존성에 대한 TNFD의 정의 3.3. 영향에 대한 TNFD의 정의 3.4. 위험에 대한 TNFD의 정의 3.5. 기회에 대한 TNFD의 정의 3.6. 자연이 재무 위험과 회사 및 투자자 성과에 미치는 영향 4. TNFD 공개 권고안 초안 4.1. 주요 설계 고려 사항 4.2. 유용한 정보의 특징 4.3. 자세한 TNFD 초안 공개 권장 사항 TNFD 프레임워크 영문본 보고서 미리보기

스페셜 [Special Report] SBTi 선진 기업 사례 연구

아직도 SBTi에 가입 안 하셨나요? 벤치마킹이 최고의 답입니다. SBTi 선진 기업 사례를 보고 넷제로 목표를 세워 보세요. SBTi(과학기반감축목표 이니셔티브)는 넷제로 목표 설정을 돕는 가장 신뢰성 높은 이니셔티브입니다. SBTi에 가입 하거나 넷제로 목표를 승인받은 기업과 금융기관은 전 세계 2000개가 넘습니다. 하지만 SBTi에 참여한 국내 기업들은 단 12곳에 불과합니다. * 참고자료: https://www.bigdata-environment.kr/user/data_market/detail.do?id=65649380-03ef-11ec-a893-4d3e48f9e980#! 임팩트온은 '선 목표, 후 이행'을 추천합니다! SBTi는 글로벌 선진 ESG를 의미하는 블루 오션입니다. 전 세계 SBTi 가입 수는 RE100 가입 수(350곳)에 비해 훨씬 많습니다. DJSI 편입하고, RE100에 이미 가입했다면? 다음 도전 과제는 SBTi 입니다. 아직 RE100에도 가입 안했다면? 거대한 첫 시작으로 SBTi 기반 목표를 설정해보세요. 목차 (21p) 외르스테드, 펩시코, 화이자, P&G, 소니, 켈로그, 코카콜라 HBC, 테스코, 이베르드롤라, 울트라테크 시멘트, 콜게이트 팔모라이브, 와이프로, 테트라 팩, 포스트노드, 랜드섹, 오리진 에너지, 마힌드라&마힌드라, 마힌드라 산요, 클뢰크너, 제이콥스 보고서 미리보기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