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동향은 지속가능경영 활동, ESG 경영 전략, 사회공헌 프로젝트 등 다양한 ESG 관련 소식을 전달합니다. 보도자료 게재를 원하시면 관련 내용을 master@impacton.net으로 보내주세요.

국내 유일한 민간 재생에너지 조달 공개 플랫폼인 ‘2025 한국 재생에너지 매칭포럼(Korea RE-Sourcing Forum 2025)’이 (재)기업재생에너지재단(이사장 우태희)주최로 10일(화) 서울 은행회관 국제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이번 포럼은 새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RE100 기업, 재생에너지 공급기업 등 재생에너지 시장 참여자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행사로, RE100 달성에 가장 큰 장애 요인인 재생에너지 공급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공유하고 협력방안을 모색·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재단은 재생에너지 공급을 획기적으로 확대하고 가격을 낮추기 위해 영농형태양광 도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영농형태양광을 가로막고 있는 제도적 장애를 제거해줄 것을 새정부에 강력히 촉구하고자 영농형태양광 특별세션을 마련했다.

특히, 재단은 RE100 기업 등 재생에너지 구매기업들을 대상으로 영농형태양광을 통한 대용량 재생에너지 구매(PPA) 의향을 사전에 조사하여 구매 의향을 밝히는 MOU를 체결함으로써 시장과 정책입안자들에게 강력한 시그널을 전달했다.

영농형태양광 도입 필요성과 타당성을 논의하는 특별세션에서는 ▲남재우 한국영농형태양광협회 사무총장 ▲오수영 영남대학교 교수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가 각각 제도적 방향, 기술적 타당성, 추진 현황 등을 소개했다.

재단 관계자는 “영농형태양광 기업 PPA는 한전 전기요금 인상에 일체 부담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농촌 지역경제 회복, 기업의 RE100 달성, 농지의 지속가능한 보존이라는 3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해법”이라며, “이번 포럼을 통해 기업들의 영농형태양광 구매 의지를 확실하게 보여줌으로써 정부의 정책개선의 전환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국영농형태양광협회 남재우 사무총장(좌)와 기업재생에너지재단의 진우삼 상임이사(우)가 서울 은행회관 국제회의실에서 재생에너지 시장 활성화를 위해 MOU를 맺었다. / 보도자료 이미지
한국영농형태양광협회 남재우 사무총장(좌)와 기업재생에너지재단의 진우삼 상임이사(우)가 서울 은행회관 국제회의실에서 재생에너지 시장 활성화를 위해 MOU를 맺었다. / 보도자료 이미지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