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극복 및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학교 기후・환경교육 지원 방안’ 발표
에코스쿨, 신재생 에너지를 기반으로 하는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등 조성

정부 부처와 시도교육청이 학생들을 대상으로 폭넓은 생태전환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픽사베이
정부 부처와 시도교육청이 학생들을 대상으로 폭넓은 생태전환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픽사베이

 

이탈리아는 지난 2019년 학교에서 ‘기후변화 수업’을 하게 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후 모든 공립학교 학생들은 2020년 9월에 시작하는 정규 학기부터 기후변화 관련 수업을 연간 33시간씩 이수하고 있다.  

영국에선, 일부 주에서 모든 학교에 ‘기후교육 교사 배치’를 의무화하는 것을 추진했다. 한 사립학교는 2년짜리 교육과정인 ‘대지와 더불어 살기’를 진행해 눈길을 끌었다. ‘실제 세계가 움직이는 과정을 배운다’는 목표 아래, 이웃과 자연을 고려하면서 사는 집짓기, 먹거리, 공작과 노작 등을 배우며 함께 살아가는 능력과 스스로 자립하는 능력을 배운다. 

멕시코는 2019년 초, 정부가 헌법을 개정해 교육 기본권에 ‘자연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포함시켰고, 교육부와 환경부가 공동으로 기후변화 교육 의무화를 담은 새 법을 준비했다.  

필리핀 정부는 2019년 5월, ‘환경을 위한 졸업유산법’을 제정해 대학을 졸업하기 전까지 나무 10그루 이상 심는 것을 의무화해 주목받았다. 학생들은 초・중등학교 및 대학을 졸업하려면 생태보전 지역에 가서 지역의 토종식물 10그루를 심고 가꿔야 한다.

 

학교에서 시작하는 지속가능한 탄소 중립 사회

기후와 환경에 관한 교육이 국내에서도 확대될 전망이다. 정부와 시도교육청이 함께 나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폭넓은 생태전환 교육을 할 계획을 밝혔기 때문이다.

7일, 교육부와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 환경부, 해양수산부(해수부), 산림청, 기상청 등 6개 정부 부처와 17개 시도교육청이 기후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미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기후위기 극복 및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학교 기후・환경교육 지원 방안’을 발표한 것이다.

이들 정부 부처와 시도교육청은 현재 사회, 도덕, 과학, 환경 등 관련 교과목 중심으로 반영된 생태전환 교육을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모든 교과목에 반영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학생들은 환경동아리, 독서・봉사활동 등 기후대응 역량에 도움이 되는 참여와 체험 중심의 교육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교대와 사범대 등 교원양성대학에 탄소 중립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을 유도하고, 교사 전문적 학습공동체 지원, 온・오프라인 연수 확대 등을 통해 교원의 환경 감수성과 전문성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교육청 선정 탄소중립 시범학교 2023년 340개교 

이번 학교 기후・환경교육 지원방안에 따라, 국내 학교 탄소 중심 학습의 장(場)으로 거듭나게 될 것이다. 

먼저, 탄소 중립 중점・시범학교와 환경교육체험관(에코스쿨), 신재생 에너지를 기반으로 하는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등을 조성하는 점이 눈길을 끈다. 이를 위해 관계부처가 선정하는 ‘탄소중립 중점학교’는 올해 5개교에서 2022년 20개교, 2023년 40개교로 확대하고, 교육청이 선정하는 ‘탄소중립 시범학교’는 올해 102개교에서 2022년 238개교, 2023년 340개교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학생들이 학교 텃밭・숲 교육 등 자연을 직접 체감하고, 탄소 배출 점검(모니터링)을 통해 감축 활동으로 연결되게 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와 연계한 환경교육 협력모형을 개발・보급해 학생들이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생태전환 교육을 확대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지난 9월 교육기본법을 개정하고 탄소중립기본법을 제정해 기후위기 대응 교육 강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앞으로 이를 토대로 학교 환경교육 지원체계를 확대하고, 학교 환경교육을 지원할 전담기관과 운영체계(플랫폼)를 마련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