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공장을 독일 밖으로 옮기려고 하는 독일 폭스바겐의 이미지./픽사베이.
 최근 공장을 독일 밖으로 옮기려고 하는 독일 폭스바겐의 이미지./픽사베이.

유럽 자동차업계가 '녹색철강' 사용을 의무화하려는 움직임에 반대하고 나섰다.

6일(현지시각) 유럽 현지 매체 유렉티브(Euractiv)는 유럽자동차제조협회(ACEA)가 일정량의 친환경 철강 사용을 의무화하려는 유럽연합(EU) 법에 반대 의견을 표명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법안은 철강업체, 환경단체, 독일 정치인 등이 제안했다.  

유럽자동차제조협회(ACEA) 대변인은 “친환경 철강을 위한 관리 무역은 피해야 하며, 그 사용은 시장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친환경 철강 의무화 이슈는 지난 7월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의 유럽 의회 재선 연설 이후 탄력을 받고 있다. 라이엔 위원장은 이번 집행위원회 출범 100일 이내에 발표할 '청정 산업 협약'의 일환으로 친환경 자재를 위한 '선도 시장(lead markets)' 창출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반면 자동차업계는 수요 부족을 원인으로 지목한 정치권의 분석이 틀렸다고 반박했다. 독일자동차산업협회(VDA) 대변인은 "친환경 철강으로의 전환은 장기적인 프로젝트로, 투자 비용 지원을 통해 촉진되어야 한다"며 "현재 정치권이 추진하고 있는 할당제는 수요 측면에선 초점을 맞춘 법안이기에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녹색철강이 부진한 주요 원인은 고비용 구조에 따른 공급 부족에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현재 친환경 철강 생산시설 투자 비용은 주로 국가 보조금을 통해 지원되고 있으며, EU 철강업체들의 탈탄소화 계획도 전체 철강 생산량의 절반만을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다. 

유럽노동조합연맹(IndustriAll)의 분석에 따르면, EU 배출권 거래제(ETS) 적용을 받는 고로(대형 용광로)는 연간 97.5메가톤을 생산할 수 있지만, 탈탄소화 전략은 54메가톤만을 감당할 수 있는 실정이다.

특히 중부 및 동부 유럽에서는 석탄 기반의 철강 생산을 친환경 철강으로 전환하는 계획이 아직 '이론적인 수준'에 불과하다고 유럽노동조합연맹 사무총장 주디스 커튼-달링(Judith Kirton-Darling)은 밝혔다.

 

NGO, "자동차 산업은 ‘선도 시장’으로 적합한 위치에 있다"

비영리단체, 교통과 환경(Transport & Environment, T&E)의 자동차 정책 매니저인 알렉스 케인즈(Alex Keynes)는 “자동차 산업은 철강을 포함한 청정 자재의 선도 시장으로서 매우 적합한 위치에 있다”고 말했다.

유럽철강협회(Eurofer) 데이터에 따르면, 자동차 산업은 건설 부문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철강을 소비하고 있으며, 이는 EU 전체 철강 수요의 18%에 달한다. 

케인즈 매니저는 “자동차 산업은 보다 고품질의 평판(얆고 넓은 판형의 철강) 제품을 많이 사용하며, 이는 전통적으로 석탄 기반 철강 생산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자동차 산업, 특히 프리미엄 자동차 브랜드들이 초기 단계에서 추가적인 친환경 비용을 흡수할 수 있는 기회가 크다”고 덧붙였다.

독일 내 중도우파 유럽국민당(EPP) 그룹의 독일 대표단은 7월 발표 입장문에서 자동차 제조사들이 일정 비율의 친환경 철강을 구매하도록 강제하는 아이디어를 지지했다. 대표단은 “소규모 할당제는 국제 판매 시장을 창출하고 동시에 최종 제품의 탄소 발자국을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T&E의 계산에 따르면 2030년까지 친환경 철강 40% 할당제를 달성하더라도 전기차 한 대의 가격은 57유로(약 8만4806원)만 추가될 것이며, 이는 신차 가격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다.

그러나 독일자동차산업협회(VDA) 대변인은 “이러한 할당제에 따른 비용을 정확하게 추산하기는 어렵다”며, "비용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유럽철강협회(Eurofer)는 친환경 철강 톤당 추가 생산 비용을 300유로(약 45만원)로 추산했다. 유럽철강협회 사무총장 악셀 에거트(Axel Eggert)는 “자동차에 가죽 시트를 추가하는 데는 2000유로(약 298만원)가 들지만, 친환경 철강을 추가하는 데는 300유로(약 45만원)만 든다”며 그리 큰 부담이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에 유렉티브는 추가 비용은 무엇이 ‘친환경 철강’으로 정의되는지에 따라 달라지며, 이에 대한 EU 차원의 정의는 아직 합의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