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열 발전 용량, 2050년까지 800GW 이를 수 있어
- 정부 지원과 대규모 투자 필요…2050년까지 1440조원 이상 투자 예상

전력 생산을 위한 재생 에너지 기술의 기술적 잠재력 (단위: TW) / EIA
전력 생산을 위한 재생 에너지 기술의 기술적 잠재력 (단위: TW) / EIA

셰일 시추 기술이 지열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국제에너지기구(IEA)가 13일(현지 시간) 발표한 보고서 지열 에너지의 미래(The Future of Geothermal Energy)에서 밝혔다.

IEA는 보고서에서 이론적으로 지열이 미국과 인도의 전력 수요를 합친 규모에 해당하는 안정적인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지열 발전 용량, 2050년까지 800GW 이를 수 있어

IEA 데이터에 따르면, 지열 발전 용량은 205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800기가와트(GW)에 이를 수 있으며, 이는 전 세계 전력 수요 증가분의 약 15%에 해당하는 규모다. 연간 생산량은 현재 미국과 인도의 전력 수요를 합친 수준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

IEA의 파티 비롤(Fatih Birol) 사무총장은 로이터에 “인공저류층생성기술(Enhanced Geothermal System, EGS)의 구조는 셰일 시추기술과 매우 유사하다. 셰일 시추에서 사용되는 수평 시추와 수압 파쇄(hydrofracking) 기술이 지열의 잠재력을 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지열은 전 세계 전력 수요의 약 1%를 충족하고 있지만, IEA가 진행한 국가별 분석에 따르면 차세대 지열 기술은 전 세계 전력과 열 수요를 충족할 기술적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IEA는 재생에너지 기술 중 지열 에너지가 태양광 발전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전력 생산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IEA는 전 세계 100개 이상의 국가가 태양광과 육상 풍력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반면, 지열 관련 정책을 가진 국가는 30개에 불과하다고 지적하며, 지열 에너지에 대한 국가적 에너지 의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롤 사무총장은 “지열 에너지에 대한 수요를 이끄는 요인 중 하나는 데이터 센터의 전력 필요성”이라며, “미국의 경우 데이터 센터에서 24시간 안정적인 전력을 요구하고 있으며, 지열은 이에 적합한 에너지원으로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지열은 에너지원이 연속적이기 때문에 지열 발전소는 24시간, 1년 내내 최대 용량으로 작동할 수 있다. 평균적으로 전 세계 지열 용량은 2023년에 75%가 넘는 활용률을 보였지만, 풍력 발전은 30% 미만, 태양광 발전은 15% 미만이었다.

 

정부 지원과 대규모 투자 필요…2050년까지 1440조원 이상 투자 예상

지열에너지는 풍력이나 태양광과 같은 재생에너지와 달리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지만,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비롤 사무총장은 지열에너지 발전을 위해 정부 지원과 대규모 투자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석유와 가스 시추 확대를 추진하고 친환경 에너지 지원을 축소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나, 비롤은 지열에너지의 확대 가능성이 배제될 이유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신기술이 전 세계적으로 지열에너지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며, “석유·가스 산업의 기술과 전문성을 활용함으로써 지열 성장이 2035년까지 1조 달러의 투자를 창출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장기적이고 명확한 규제 체계를 통해 초기 단계 개발 리스크를 완화하고 투자 수익 가시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를 통해 2035년까지 지열 프로젝트 비용이 메가와트시(MWh)당 약 50달러로 80% 감소할 수 있으며, 이는 수력 및 원자력과 같은 기존 저배출 전력원과 경쟁할 수 있는 수준이다.

IEA 보고서는 차세대 기술을 통해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면 2035년까지 글로벌 지열에너지 투자가 1조 달러(약 1440조원), 2050년까지 약 2조8000억달러(약 4030조원)에 달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석유와 가스 생산을 급증시킨 셰일 시추 기술은 석유·가스 산업에서 물 오염과 지진에 대한 우려로 환경운동가들의 반대에 직면한 바 있다.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