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SG 공시 최종안 마련…2030년까지 전체 프레임워크 구현
- 초안과 뭐가 다를까…공시 정보 사용자 좁히고 기업 준수 부담 완화 

중국이 기업의 지속가능성 공시를 위한 기준을 발표했다. 중국 재무부는 9개 부처와 함께 지난 17일(현지시각) 기업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의 기본 표준을 공개했다. 이는 중국 기업들의 ESG공시를 표준화하기 위한 첫 국가 단위 기준이다. 

기본 표준은 2026년부터 대규모 상장기업을 시작으로 단계적 의무화를 거쳐 2030년 전면 시행된다. 의무화 이전까지는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 중국은 이번 표준 도입으로 글로벌 ESG 기준과의 조화를 꾀하는 동시에, 농촌 개발과 같은 자국의 우선순위도 반영했다. 

중국이 글로벌 기후 리더십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 픽사베이
중국이 글로벌 기후 리더십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 픽사베이

 

ESG 공시 최종안 마련…2030년까지 전체 프레임워크 구현

중국 재무부는 지난 5월 초안 발표 이후 각계 의견을 수렴해 이번 최종안을 마련했다고 ESG뉴스, 차이나브리핑 등이 보도했다. 재무부는 기본 표준을 통해 기업 지속가능성 공시의 목표와 원칙, 일반 요건을 제시했다.

기준은 ▲기본표준 ▲세부표준 ▲적용 가이드라인 총 3개 부문으로 구성됐다. 기본 표준(Basic Standards)은 ESG 공시의 전반적 목표와 원칙을, 세부 표준(Specific Standards)은 기후변화와 기업 지배구조 등 구체적 주제별 요건을, 적용 가이드라인(Application Guidelines)은 실무 지침을 담고 있다.

기본 표준은 6개 섹션으로 나뉜다. ▲일반 조항 ▲공시 목표·원칙 ▲정보 품질 요건 ▲공시 요소 ▲기타 공시 요건 ▲부록이다. 특히 정보 품질과 관련해 신뢰성, 관련성, 비교가능성, 검증가능성, 이해가능성, 적시성 등을 강조했다. 

전체 프레임워크는 2030년까지 완전히 구현될 예정이라고 ESG뉴스는 전했다.

 

초안과 뭐가 다를까…공시 정보 사용자 좁히고 기업 준수 부담 완화 

최종안은 초안과 비교해 공시 정보의 주 사용자를 투자자와 채권자로 좁혔다. 당초 정부와 규제기관 등을 포함했으나, 시장 중심의 책임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수정됐다. 

기업의 준수 부담도 완화했다. 최종안은 기업이 자체 역량에 맞춰 지속가능성 리스크와 기회의 재무적 영향을 평가하는 방법론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차이나브리핑에 따르면, 이 조처는 중소기업의 부담을 줄이는 데 중점을 뒀다.

중국은 2026년부터 대형 상장사의 ESG 공시를 의무화할 방침이다. 이번 최종 기준은 이 의무 공시 기준에 통합될 예정이다. 중국 정부는 공시가 의무화되기 전까지 이번 표준을 자발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권장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