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광산업체 글렌코어(Glencore)가 운영 중인 호주 퀸즐랜드 헤일크릭(Hail Creek) 석탄광에서 실제 배출되는 메탄량이 보고된 수치보다 최대 8배 많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번 조사는 유엔(UN)의 의뢰로 진행됐으며, 연구진은 메탄 감지 장비와 분광기를 탑재한 항공기로 메탄 가스 플룸(plume)을 탄광 상공에서 직접 관측했다.
연구진은 2022년과 2023년 두 차례 걸쳐 항공 모니터링 측정을 실시한 결과, 보고된 배출량 추정치 대비 3~8배 수준에 이르는 메탄이 대기로 배출되고 있었다고 26일(현지시간) 블룸버그가 밝혔다. 특히 해당 광산이 위치한 보웬 분지(Bowen Basin)의 석탄층 가스 함량은, 호주 정부가 적용한 평균 배출량보다 약 4배 높은 수치를 보였다.
실제 배출량 측정 위해 현장 실측 방식으로 해야
블룸버그는 이번 조사가 호주 정부의 메탄 배출 산정 방식이 실제 현장 배출량을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참여 연구원 브라이스 켈리(Bryce Kelly)는 “측정 결과 간 차이가 나는 것은 호주 정부와 기업이 산정하는 방식의 신뢰성을 의심케 한다”며 “보다 정밀하고 과학적인 배출량 산정 체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현재 대부분의 탄광 메탄 배출 산정은 평균값이나 이론적 모델에 기반한 하향식(bottom-up) 방식에 의존하고 있으며, 현장 실측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연구진은 측정된 배출량을 기준으로 연간 평균치를 가정했을 때, 글렌코어가 보고한 추정치보다 실제 배출량이 “3~8배 더 높았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호주 기후변화·에너지·환경·수자원부는 “항공 측정 등 대안적 산정 방법을 검토하기 위해 전문가 위원회를 구성했다”며 “정부 차원의 배출량 보고 체계 개선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글렌코어, "제한된 표본으로 측정해 연구결과 신뢰도 낮아" 반박
그러나 글렌코어는 이번 조사 결과가 제한된 표본에 근거해 산출된 것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부족하다”고 반박했다.
글렌코어는 “이번 조사는 전체 광산 가동 시간의 1%도 미치지 않는 시점에서 이뤄졌다”며 “제한된 측정 결과를 근거로 연간 배출량을 추정한 것은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다른 지역에서 발생했거나 바람을 타고 이동한 타 메탄 배출원을 고려하지 않았고, 광산 인근에서 모든 이상 수치를 자사 책임으로 돌리는 것은 과도한 일반화”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해당 탄광은 이미 2021년 위성 관측을 통해 ‘메탄 고배출 지역(methane hotspot)’으로 지목된 바 있다. 당시 네덜란드 연구진은 헤일크릭에서 배출되는 메탄이 기업이 보고한 스코프1 배출량의 12배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이번 항공 측정 결과도 같은 방향성을 보여주고 있어, 기존 보고 체계의 과소평가 가능성이 재확인된 것으로 보인다.
과소 평가 배출량 측정, 공급망 전반과 정부 목표에 영향 미칠 수 있어
헤일크릭 광산이 위치한 보웬 분지는 호주의 핵심 석탄 생산지로, 전 세계 해상 운송 제철용 석탄의 절반 이상을 공급한다. 이번 배출량 과소 보고 문제는 글로벌 철강 산업의 탄소 회계와 공급망 전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후 전략 싱크탱크 엠버(Ember)의 고문 크리스 라이트는 “전 세계 주요 철강업체들은 이 지역의 석탄을 공급받을 가능성이 높다”며 “배출량이 정확히 측정되지 않으면 수입국들도 자체 온실가스 배출량을 정확히 계산할 수 없게 된다”고 지적했다.
정부 기후 목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메탄은 석탄 채굴 전 지하에 축적되는 강력한 온실가스이며 탄광은 전 세계 메탄 배출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메탄의 대기 중 농도는 이산화탄소보다 낮지만 단기간 온난화 영향은 약 80배 더 강력하다.
호주는 2020년 기준 석탄광 메탄이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의 약 5%를 차지한다고 유엔에 보고했다. 그러나 이번과 같은 실측 기반 조사가 확대될 경우, 수치가 크게 상향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
오픈 메탄(Open Methane)의 과학 책임자 피터 레이너 박사는 “호주는 정밀한 배출량 측정을 위한 기술적 기반을 이미 갖추고 있다”며 “이제는 평균값에 의존하지 말고 정확한 실측 체계로 전환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 미국 LNG 수출기업들, EPA의 환경 규칙 완화에도 "메탄 대책 유지할 것"
- 셸, 2024년 해양 LNG 공급 110만 톤 기록… 사상 최대 기록
- 미 상원, 바이든 행정부가 지정한 메탄 배출세 폐지
- 핀란드 최초의 그린수소 공장, 상업생산 시작
- 스위스 스타트업 보로보틱스, 지열 드릴링으로 지열발전 혁신
- 원가절감 넘어 탄소감축 시대...탄소회계 솔루션, 어떻게 고를까
- 호주, 기후 정보 공시 의무화…2025년부터 대기업 순차 적용
- 핀란드, 마지막 석탄 발전소 폐쇄… 2029년 탈탄소 목표 조기 달성
- 위기의 호주 제련업계...글렌코어·리오틴토, 정부에 긴급 지원 요청
- 보고 누락된 호주 메탄, 철강 공급망 위협…포스코 조달분, 한국 전체 배출량의 26% 규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