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동향은 지속가능경영 활동, ESG 경영 전략, 사회공헌 프로젝트 등 다양한 ESG 관련 소식을 전달합니다. 보도자료 게재를 원하시면 관련 내용을 master@impacton.net으로 보내주세요.

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스틴베스트가 2024년 하반기 ESG 펀드시장 동향과 펀드별 ESG 성과를 분석한 ESG펀드 보고서를 발간했다. 금융감독원 인증의 총 204개 ESG펀드 가운데 국내주식형 ESG펀드 성과분석에서 ESG 성과 상위그룹이 중위 및 하위그룹에 비해 높은 위험조정수익률과 낮은 하방위험을 기록해 위험 대비 성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보이는 ESG펀드의 ESG성과 / 서스틴베스트 보도자료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보이는 ESG펀드의 ESG성과 / 서스틴베스트 보도자료

ESG 성과분석은 국내주식형 ESG펀드 54개를 대상으로 했다. 국내주식형 ESG펀드의 ESG 성과는 2021년 보고서 최초 발간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하반기 해당 펀드들의 ESG 점수(중앙값 기준)는 전반기 대비 0.51점 상승한 82.01점을 기록했다. 동기간 코스피는 81.66점, 비ESG펀드는 80.54점이었다. 다양한 전략을 통해 ESG 요소를 투자 의사결정 과정 전반에 통합하는 ESG펀드들이 높은 ESG 점수를 기록하면서 국내주식형 ESG펀드 전반의 ESG 성과 향상을 주도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ESG 성과와 수익률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ESG 성과를 기준으로 ESG펀드를 상위/중위/하위 그룹으로 분류하였을 때 상위 그룹이 2024년 하반기 가장 높은 위험조정수익률과 가장 낮은 하방위험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펀드의 ESG 성과와 수익률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2024년 하반기 ESG 및 E, S, G 각각의 점수 모두 위험조정수익률과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한편 지난해 하반기 기준 국내 주식시장이 불안정했음에도, 국내 ESG 펀드시장 순자산은 6조8411억원으로 지난해 말 5조7476억원 대비 약 19% 증가했다. 하반기 자금흐름은 국내채권형 ESG펀드로 두드러진 자금 유입이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1조2501억원 순유입을 기록해 상반기 순유출에서 전환되었다. 특히 국내주식형 ESG펀드 중 4개가 50억원 이상의 순유입을 기록한 것으로 확인된다.

보고서를 작성한 최보경 선임연구원과 장명주 연구원은 “국내 ESG펀드와 비ESG펀드의 비교를 통해 ESG요소를 고려한 투자전략이 중·장기적 하방리스크 관리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고 언급하며 “ESG 성과 그룹별 수익률 분석 결과 또한 ESG성과를 고려하는 전략이 장기적으로 위험 조정 성과 측면에서 우수한 점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서스틴베스트 류영재 대표는 “ESG 성과를 활용한 투자전략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의 ESG 정보에 대한 신뢰성과 비교 가능성이 제고되어야 한다”며 “향후 국내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도입을 통해 ESG 정보의 접근성이 개선된다면 이를 기반으로 한 전략 역시 보다 정교하게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