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탄소크레딧 시장이 수요 확대와 구조 전환의 과도기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탄소시장 컨설팅 및 데이터 분석 기업인 엑스로드(exroad)가 도쿄증권거래소(TSE) 후원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따르면, 탄소감축 정책 2단계(Green Transformation(GX) ETS Phase 2) 시행을 앞두고 기업과 지방정부, 민간 사업자들이 탄소 시장에 대한 관심을 급속히 높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9일(현지시각) 탄소 전문매체 카본헤럴드(Carbon Herald)는 이같은 결과를 인용하며, 전반적인 시장 확대에도 불구하고 제도적 불확실성은 여전히 시장 활성화의 주요 걸림돌로 남아있다고 보도했다.

 

탄소시장 수요가 J-크레딧에 집중…핵심축 되나?

일본 정부의 국가 인증 탄소크레딧 제도인 ‘J-크레딧’은 현재 일본의 탄소시장의 중심축 역할을 하고 있다. 엑스로드의 기무라 케이스케(Keisuke Kimura)  CEO는 “응답자의 84%가 J-크레딧을 이미 구매했거나 향후 구매할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응답자들은 J-크레딧을 선호하는 주요 이유로 스코프 1·2 직접배출 규제 대응을 꼽은 것으로 확인됐다.

해외 크레딧에 대한 관심도 지속되고 있다. 일본이 인도 등과 협의 중인 양자간 공동크레딧 메커니즘(JCM)은 응답 비율 36.1%를 기록했으며, 베라(Verra), 골드스탠다드(Gold Standard) 등 해외 민간 인증 시장 역시 33.5%의 응답률을 기록했다.

기무라 CEO는 “일부 선도 기업들은 파리협정 기반의 차세대 크레딧(PACM)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파리협정 제6.4조 기반 크레딧은 아직 제도적으로 편입되지 않아 일본 내에서 사용 불가능하지만, 응답자의 13.3%는 향후 활용 가능성에 대해 관심을 보였다. 일본 정부는 해당 국제메커니즘의 국내 제도 편입 여부를 논의 중이다.

exroad의 일본기업 탄소시장 이용현황 설문조사 결과 / 임팩트온 재편집
exroad의 일본기업 탄소시장 이용현황 설문조사 결과 / 임팩트온 재편집

 

공급 부족 우려…가격 상승·고품질 검증 수요 함께 부각

엑스로드는 이번 설문을 토대로, 2026년부터 시행되는 GX ETS 2단계 시행 이후 연간 약 300만톤의 크레딧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현재 일본 내 J-크레딧 공급량이 연간 약 100만톤 수준에 불과해, 공급 불균형에 따른 가격 상승 압력이 불가피할 것으로 분석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산화탄소 톤당 평균 가격이 2027년에는 약 4000~6000엔(약 28~41달러) 수준에서, 2030년에는 6000엔(약 41달러) 이상으로 상승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공급 확대가 병행되지 않을 경우, 감축 의무가 강화되는 고배출 업종을 중심으로 시장 변동성과 재무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와 함께, 대규모 기업일수록 크레딧 품질 검증을 중시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56% 이상이 구매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 ‘추적가능성(Traceability)’을 꼽았으며, 높은 무결성(high integrity) 솔루션에 대한 수요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직접공기포집(DAC)와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등 고비용 제거 기술은 여전히 공급이 제한적임에도 불구하고, 신뢰 가능한 감축 효과를 중시하는 기업 사이에서 점차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보고서는 “국제 기준과의 정합성을 강화하려는 일본 기업들이 늘면서, 크레딧 공급망의 투명성과 신뢰성이 저탄소 경제 내 새로운 경쟁우위로 작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2025년 엑스로드의 조사 결과는 일본의 넷제로 전략이 제도와 시장 양면에서 빠르게 진화하고 있으며, 향후 탄소시장 구조 개편과 제도 정비가 일본 기후정책의 성패를 가를 중대한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