얄룽창포강 수력발전소 착공 완성 시 예상 모습 / ChatGPT 이미지 생성
얄룽창포강 수력발전소 착공 완성 시 예상 모습 / ChatGPT 이미지 생성

중국이 티베트 고원의 동쪽 경계에 세계 최대 규모의 수력발전소 건설에 착수했으며, 이에 중국 자본시장은 강한 경기 부양 신호로 해석하며 반응했다.

로이터통신은 21일(현지시각) 리창 중국 총리가 약 1700억달러(약 238조원) 규모의 얄룽창포강(Yarlung Zangbo River) 수력발전 프로젝트 착공을 공식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대형 투자에 증시 반응…인프라·소재 관련 종목 급등

이번 수력발전 프로젝트는 양쯔강의 싼샤댐 이후 중국이 추진하는 가장 큰 인프라 사업으로, 연간 약 3000억킬로와트시(kwh)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규모이며, 이는 지난해 영국 전체의 전력 사용량과 맞먹는 규모다. 발전소는 얄룽창포강 하류에 위치하게 되며, 해당 구간은 50km 거리 안에 낙차가 2000m에 달해 수력 자원이 풍부한 지역으로 꼽힌다.

중국 증시는 이번 수력발전 프로젝트 착공을 경기 부양의 신호로 해석했다. 중국 CSI 건설·엔지니어링 지수는 이날 근 7개월 내 최고치로 4%까지 상승했으며, 종합 건설 및 엔지니어링 기업인 중국전력건설과 아크플러스는 상한가(10%)를 기록했다.

후타이증권은 이번 프로젝트는 시멘트 및 산업용 화약 등 건설 자재 수요를 크게 견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터널 장비 업체 후난우신터널장비와 지능형 감시 장비 제조업체 지오캉테크놀로지스의 주가도 30% 급등했다. 시멘트 제조업체 시짱톈루와 산업용 화약 제조업체 티베트가오정 역시 각각 상한가를 기록했다.

씨티그룹은 공사 기간을 10년으로 가정할 경우, 연간 GDP에 약 1200억위안(약 23조4000억원)의 투자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며 실제 경제적 파급효과는 그 이상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중국, 생태·지진 우려 속 영향 최소화 약속…“세기의 프로젝트” 선언

한편 약 20년간 진행된 싼샤댐 프로젝트에 의해 10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한 사례에 비추어 볼 때, 이번 프로젝트 역시 대규모 고용창출이 가능할 전망이나, 중국은 아직 정확한 추정치를 제시하지는 않았다. 다만 싼샤댐 프로젝트가 고용창출과 동시에 대규모 주민 이주도 초래한 바 있어, 프로젝트의 부작용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수자원 생태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특히 인도와 방글라데시 등 하류 지역의 국가들은 해당 프로젝트가 티베트 고원의 생태계를 회복 불가능한 수준으로 훼손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올해 초 인도 북동부 지역의 아루나찰프라데시 주의 페마 칸두 주지사는 “국경에서 50km도 떨어지지 않은 거대한 댐이 완공되면, 인도 영토를 통과하는 해당 강의 80%가 고갈될 수 있다”며 “아루나찰과 인근 아삼주가 침수 피해를 입을 가능성도 있다”고 경고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해당 지역이 지진 활동이 활발한 지질대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도 리스크 요인으로 지적하고 있다.

다만 중국 당국은 이 프로젝트가 티베트와 중국 본토의 전력 수요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하류 수자원 공급이나 생태계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며, 향후 생태 보전 및 위험 관리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중국 신화통신은 리창 총리가 이 프로젝트를 ‘세기의 프로젝트’라고 표현하며 생태계 보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보도했다.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