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팩트온의 【월간 ESG 아카이빙】은 매월 분야별 ESG 트렌드를 주제별로 정리해 제공하는 연중 기획 시리즈입니다.
Key Takeaways
- 기후 변화가 금융정책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농업 생산과 공급망에 구조적인 충격을 가하면서 유럽중앙은행은 새 지표를 도입하며, 기후 리스크를 금융 리스크로 연결하고 있다.
- 미국은 주정부 차원의 플라스틱 규제가 미흡한 반면, 소비자 인식과 기업의 대응은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기업은 재활용 사각지대 해소 및 PET 분해 기술 개발을 통해 순환경제 전환을 주도하고 있다.
- 식품 유통업계가 스코프3 탄소배출 정밀 추적을 위해 디지털 트윈과 정밀 배출계수 기반 기술을 도입 중이다.
관련기사
- 【월간 ESG 아카이빙】 6월- 식음료
- 【월간 ESG 아카이빙】 5월 - 식음료
- 식품업계, 스코프3 정밀 측정 본격화… 디지털 트윈·배출계수·표준화 3대 축
- 힐튼, AI 기반 음식물 쓰레기 최대 70% 감축…운영비 15%·식자재 비용 28% 절감
- 기후충격에 속수무책… ECB·연준, ‘먹거리발 인플레’ 대응 한계
- 정책은 1.5점, 소비자는 80%가 우려…플라스틱 대응 나선 미국 기업들
- 새 플라스틱보다 싸다…美, PET 효소 재활용 공정 개발, 2027년 상용화 추진
- 플라스틱 산업 보조금 2050년 1500억달러… 환경·건강 비용은 결국 납세자 부담
- 마스, 스코프3 감축 위해 전례 없는 PPA 추진…협력사 REC까지 대리 구매
- 싱가포르, 세계 첫 플라스틱 여권 도입…아세안 5조8600억 순환경제 겨냥
황은솔 editor
eshwang@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