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사스주가 미국 최대 의결권 자문사 글래스루이스와 ISS에 대해 ESG 관련 권고 과정에서 투자자와 기업을 오도했는지 여부를 조사에 착수했다.

로이터는 16일(현지시각) 켄 팩스턴 텍사스주 법무장관이 양사에 민사 조사 명령(CID)을 발부했다고 전했다.

글래스루이스가 아시아 3개국 홍콩, 일본, 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주주제안 수를 도표화한 이미지 / 출처 글래스루이스
글래스루이스가 아시아 3개국 홍콩, 일본, 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주주제안 수를 도표화한 이미지 / 출처 글래스루이스

 

텍사스, ESG 의결권 자문사 정조준…투자자 오도 의혹 조사

글래스루이스와 ISS는 대형 기관투자자에게 이사회 구성, 임원 보수를 포함한 ESG 정책 관련 주주제안 등 주요 안건에 대한 의결권 행사 권고를 제공한다. 이들의 권고안은 막대한 자본이 행사하는 표심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현대적 기업지배구조의 핵심 변수로 꼽힌다.

다만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였다는 긍정 평가에도 불구하고, ESG 의제와 결합된 권고가 기업 의사결정에 과도한 영향을 미친다는 비판도 존재하며, 이번 텍사스 법무장관의 조사 명령 역시 그런 맥락에서 나온 조치다.

팩스턴 법무장관실은 양사가 ESG 관련 정보 공개에서 중요한 사실을 누락하거나 투자 의사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보를 충분히 알리지 않아 시장이 왜곡됐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번 조사는 텍사스 소비자보호법 위반 여부를 가리기 위한 것이다.

팩스턴 장관은 성명에서 “의결권 자문사는 미국 기업지배구조 결정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며, 수백억달러 규모의 자본 흐름을 좌우한다”고 강조했다. 글래스루이스와 ISS는 아직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한편 텍사스는 올해 ESG 관련 권고를 제한하는 상원법안 2237호(SB 2337)을 통과시켰지만, 8월 연방판사가 위헌 소지를 이유로 법 시행을 일시 중단시키는 가처분 결정을 내렸다. 텍사스 등 공화당 주도 주(州)들이 ESG를 정치적 의제로 보고 맞서고 있는 흐름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전국적 ESG 역풍 속 정치·시장 파장 확대

글래스루이스·ISS 조사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복귀 이후 전국적으로 확대되는 ESG 규제 완화 움직임과 맞물려 있다. 올해 초와 7월에 각각 플로리다 법무장관미주리 법무장관 역시 ESG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했던 자문사에 대해 민사적 조사를 추진한 바 있다.

연방정부는 ESG 관련 규제를 되돌리고, 공공·민간 부문의 다양성·형평성·포용(DEI) 프로그램을 축소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실제로 펩시코, 구글 등 일부 기업들은 이미 정치적 압박에 따라 DEI 활동을 축소하거나 취지를 재조정했다.

이번 조사는 금융 생태계 전반에서 ESG 영향력을 억제하려는 광범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주주총회 표결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의결권 자문사가 주요 타깃이 되고 있다.

이번 조사는 주(州) 정부가 의결권 자문과 ESG 참여를 어디까지 규제할 수 있는지를 가를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로이터는 이번 조치가 공화당 주도 주(州)에서 확산되는 ESG 역풍의 연장선에 있으며, 텍사스가 그 최전선에 서 있다고 보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