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제2차 반도체・디스플레이 탄소중립위원회’ 를 개최, 탄소중립 주요과제와 중장기 연구개발(R&D) 로드맵을 발표했다. 2050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해 지난 3월 민관 합동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탄소중립위원회’ 출범하고 두 번째 회의다.

이날 위원회에서 첫 발표를 맡은 에너지경제연구원 이상준 팀장은 “탄소중립 주요 과제는 반도체・디스플레이의 친환경 공정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저전력  반도체와 최고 효율 디스플레이 등 최고의 친환경 제품을 개발하고 공급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팀장은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술혁신을 통해 탄소중립 기술 초격차를 달성하며 탄소중립 제품 생산과 가치사슬 협력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박영호 디스플레이 PD는 ‘반도체・디스플레이 탄소중립 기술개발 로드맵 추진현황’을 발표하며 탄소 감축을 위한 3가지 핵심기술을 소개했다. 3가지 기술은 ▲고효율 배출제어 기술 ▲반도체・디스플레이 친환경 공정가스 ▲친환경 가스 GWP(Global Warming Potential, 지구온난화지수) 인증 및 공정평가 기술이다. 박영호 PD는 핵심 기술 개발을 위해 올해 세부기획을 완료하고 예비 타당성 조사를 신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토론에서는 ▲ 탄소저감 시설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확대 ▲ 탄소중립 기술개발 지원 ▲ 친환경 제품 개발‧공급을 위한 제도개선 등을 건의하고 대응 방향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 지난 3월 반도체・디스플레이 탄소중립위원회 출범식에서 발표한 공동 선언문은 ▲ 혁신기술개발과 사회적 감축 기여를 위해 온실가스 배출 제어기술, 친환경 공정가스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 반도체·디스플레이 탄소중립위원회를 통해 공동과제를 지속적으로 논의하며 ▲ 세계반도체협의회 및 세계디스플레이 생산국 협의체와 국제공조 강화 등 반도체 디스플레이업계의 주요 실천과제를 담았다.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