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26) 내년 11월로 연기, 온실가스 배출감축 목표량 제출해야
각국 에너지장관, 2050년까지 탄소배출 제로(0) 달성키로 합의
안토니오 구테레스(Antonio Guterres) 유엔 사무총장은 9일(현지시각) 청정 에너지 전환을 위해 석탄자금 조달을 중단하고 석탄화력발전소를 새로 짓지 않겠다고 약속할 것을 세계 각국에 촉구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안토니오 사무총장은 에너지 사용 및 온실가스 배출의 80%를 차지하는 전세계 40개국 에너지 수장들이 모인 '청정 에너지 전환을 위한 화상 회담'에서 이같이 연설했다. 이번 회의에는 (코로나 19로 인한 경기 침체로부터) 경기 부양 방안, 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에 대응한 보다 탄력적인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 등이 논의됐다.
코로나 19 경제회복을 위한 그린 뉴딜, 재생에너지로 가야
세계 각국은 코로나 19로 인한 경기침체를 회복하기 위해 '그린 뉴딜(Green New Deal)' 정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안토니오 사무총장은 "유럽연합(EU)와 한국은 이미 친환경 정책을 약속했지만, 일부 국가들은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는 화석연료 회사들을 지원하기로 하거나, 석탄화력발전소를 가동하기로 결정했다"며 "코로나19를 회복하는 과정에서 석탄은 설 자리가 없다"고 말했다.
국제 에너지기구(IEA)가 주최한 이번 정상회담에서, 그는 재생에너지 비즈니스가 거의 모든 시장의 석탄 비즈니스보다 낫고 녹색 일자리까지 만들어내기 때문에 지속가능한 성장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비용은 지난 10년 동안 급격히 하락했다.
유럽과 미국을 포함한 지역에서 석탄 소비가 감소하고 많은 투자자들이 석탄발전소에 자금조달하는 것을 중단하는 흐름이지만, 일부 개발도상국은 여전히 석탄발전소에 대한 투자를 멈추지 않고 있다.
댄 브로일렛(Dan Brouillette) 미국 에너지 장관은 "재생 에너지만으로는 어느 나라에서도 안정적인 전기 흐름을 보장할 수 없다"며 "모든 국가는 송전망을 계속 가동하기 위해 광범위한 에너지 믹스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재생에너지를 확대하고 화석연료를 줄이는 데서 혁신이 발생한다"며 "에너지원이 깨끗하지 않다면, 우리는 궁극적으로 이를 깨끗하게 만들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에선 여전히 석탄발전소 투자가 계속되고 있다. 로이터 통신은 지난 달 발표된 한 연구자료를 인용하며, 중국이 현재 건설중인 석탄 화력발전소가 약 250기가와트(GW)를 생산한다며, 이는 미국의 전체 석탄 생산 능력을 능가하는 것이라고 보도했다.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같은 동남 아시아 국가들도 석탄 발전소에 투자하고 있다.
발전소 건설 3분의 1 이상 석탄에 의존하는 일본, 국제사회 비난에 '투자 축소' 밝혀
한편, 발전소 건설의 3분의 1이상을 석탄에 의존하고 있는 일본은 화석연료 투자에 대한 비난이 잇따르자, 최근 해외 석탄 화력발전소에 대한 국가 지원 재정 기준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성명을 통해 "탈석탄화 정책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는 국가에는 원칙적으로 신규 석탄산업 지원은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그동안 인도네시아나 베트남 등에 석탄 화력발전소 건설에 투자해왔다. 이에 대한 각국의 비난이 잇따르자, 일본의 민간은행과 기업들은 석탄 투자를 삭감해왔다. 고이즈미 총리는 지난해 12월 자국의 석탄중독에 대한 비난에 대해 "일본은 그동안 화석연료 지원을 줄여왔음에도 아직 세계에서 그 노력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선언이 선언적인 것일지,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올지 일본 내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정상회담 결과, 각국 정부는 2050년까지 탄소 배출 목표를 제로(0)에 가깝게 달성하도록 합의했다. 국제에너지기구 페이스비롤(FatihBirol) 이사는 "올해 세계 에너지 수요는 급격하게 감축했고 온실가스 배출량 또한 감소했지만, 이런 현상이 앞으로 다시 일어날지 아닐지 모른다"며 "각국 장관들이 앞으로 시행할 정책들을 통해 미래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2021년 11월로 연기된 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26)까지 각 국가들은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계획을 제출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