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홋카이도에 위치한 도마코마이 탄소 포집 및 저장 시험장의 모습. / IEA
일본 홋카이도에 위치한 도마코마이 탄소 포집 및 저장 시험장의 모습. / IEA

CCS(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은 넷제로를 달성하는 데 있어 재생 에너지와 더불어 없어서는 안될 솔루션으로 여겨지고 있다. 탄소 포집 저장 프로젝트는 미국을 비롯해 유럽연합에서 급증하는 상황이지만 아시아는 아직 미미하다.

그런데 최근 일본이 아시아에서 CCS에 대한 법적 프레임워크를 만들겠다고 발표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를 시작으로 아시아 시장에도 CCS 기술과 관련한 법안 및 기술 등이 발전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일본, 탄소 포집 및 저장에 대한 법적 프레임 워크 만들 에정

일본 산업부는 2050년 탄소 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업이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를 지하 또는 해저에 저장할 수 있도록 CCS에 대한 법적 프레임워크를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일본 경제산업부는 지난 20일, 5월 발간될 보고서의 요약본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2050년에 연간 1억 2000만~2억 4000만 톤의 CO2를 저장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발표했다.

이 개요에는 일본 기업이 CO2를 저장할 수 있는 새로운 권리를 설정하는 내용이 담겨있으며 빠르면 2023년에 국회에 법안 초안을 제출하는 계획이 포함되어 있다. 업계 관계자는 “법률 체제의 확립은 기업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라고 전했다. 이어 “기업들이 2023년에 타당성 조사를 시작하고 2026년에 최종 투자 결정을 해야 2030년 CCS 사업을 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정부의 빠른 조치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또한 일본 내에서 모든 CO2를 저장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일본에서 배출되는 CO2를 다른 국가로 운송하여 저장하는 방안도 포함될 계획이다.

실제로 일본은 지난 1월, 인도네시아에 석탄과 암모니아를 혼합해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하는 기술과 탄소 포집 저장 및 활용 기술(CCUS) 개발을 위한 협업을 맺은 바 있다.

일본 법무부는 이 문제를 기존 전문가 패널과 더불어 2개의 실무 그룹을 구성해 법률 체제의 구성 및 사업 비용, 실행에 초점을 맞춰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시아의 탄소 포집 현황, 어디쯤 왔나?

국제 에너지 기구(International Energy Agency)는 동남아시아의 산업 CO2 배출량이 현재 연간 40억 톤을 초과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아시아는 에너지원의 80% 이상이 석유, 석탄, 천연가스 등의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탄소 의존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CCS 기술 강국들이 아시아 지역에 진출하고자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지난 11월, 엑손모빌은 인도네시아 국영 석유 가스기업 PT 페르타미나(PT Pertamina)와 CCS 프로젝트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인도네시아는 8번째 탄소 배출국이며 주변 해역 지층에 CO2 저장소도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엑손모빌은 아시아를 구심점으로 CCS 허브를 대거 양산하겠다는 계획을 내놓기도 했다. 

일본의 미츠비시중공업, 도시바, IHI 등도 CCS 기술을 내세워 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CCS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중국 역시 CCS 개발에 뛰어든 상태다. 지난 8월 중국해양석유공사(CNOOC)는 남중국해에서 중국 최초로 연안 탄소 포집·저장 플랫폼(CCS) 개발에 착수했다. 중국석유화학공사(Sinopec) 도 중국 동부를 바탕으로 대규모 CCS 프로젝트를 구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중공업은 해상용 이산화탄소 주입 플랫폼을 개발하고 노르웨이 DNV사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현대중공업
현대중공업은 해상용 이산화탄소 주입 플랫폼을 개발하고 노르웨이 DNV사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현대중공업

 

우리나라의 CCS는?

한국도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해 CCS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11월, 산업통상자원부와 해양수산부가 분석한 CCS 유망 저장소의 저장량은 7.3억 톤으로 추가 개발 시 최대 11.6억 톤까지 저장이 가능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지난 8월 한국석유공사와 현대중공업은 CO2를 저장하는 본격 설비 개발에 돌입했다. ‘한국형 해상용 CCS’로 불리는 이 기술은 글로벌 선급 인증기관인 노르웨이 DNV사로부터 기본 승인을 받았다. 현대중공업은 생산 종료 예정인 동해 가스전에 CO2를 주입해 탄소 포집 및 저장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될 경우 2025년부터 30년 동안 매해 40만 톤씩 총 1200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동해 가스전 밑 해저에 저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밖에 SK 이노베이션, 롯데케미컬 등이 CCS 사업에 진출 의사를 밝힌 상태로 앞으로 더 많은 프로젝트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