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더 쌓이는 포장재…65% "환경문제 알지만 배달 이용"

13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소비자 303명을 대상으로 식품업계 포장재에 대한 인식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98.3%는 지속가능한 식품 포장에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65%가 그래도 배달을 이용한다고 밝혔다. aT는 “편리함을 앞세운 배달음식 구매에 포장재에 대한 우려가 영향을 미치진 못했다”고 말했다.

환경부와 그린피스의 조사에서도 국내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그린피스와 '플라스틱 대한민국'의 조사 결과 우리나라 국민이 1인당 소비하는 일회용품(비닐봉투·페트병·플라스틱컵)은 연간 11.5㎏에 달했다. 환경부의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2019)' 발표 자료를 보면 하루 평균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은 2013년 4천365t에서 2018년 6천375t으로 5년 새 46.0% 증가했다.

정부는 2018년 일회용품과 플라스틱 발생량을 감축하기 위한 '재활용 폐기물 관리 종합대책'을 마련했고, 내년 1월부터는 포장된 물건을 이중포장하지 못하도록 하는 '재포장금지법'을 시행한다고 밝혔지만 코로나19가 길어지며 포장재 사용은 다시 증가하는 추세다.

식품외식업계 종사자 123명을 상대로 시행한 온라인 인식조사에 따르면 48%가 ‘앞으로 지속가능한 포장재를 적용할 것“이라고 답했지만, 비용 상승에 대한 부담(71.5%)이 걸림돌로 나타났다.

 

"플라스틱 수거 월1000만원 손해…이미 대란 시작됐다"

‘쓰레기 대란’이 발생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머니투데이에 따르면, 재활용 폐기물 수거업체는 “코로나19 이후 폐기물 양이 정확히 2배 늘었다”며 지난해에 비해 폐기물이 배로 늘어났다고 보도했다. 버려지는 쓰레기는 많지만, 미중 무역전쟁의 여파로 중국이 플라스틱 폐기물을 수입하지 않고 있고 원유가격이 하락하며 플라스틱 원자재 가격이 폭락하면서 ‘쓰레기 대란’이 일어날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재활용업체들은 오히려 요금을 내면서 쓰레기를 가져가고 있다. 정해진 기한내에 쓰레기를 수거해가지 않으면 위약금을 물어야 한다. 수거업체는 “플라스틱과 비닐만 따져도 매달 1000만원 손해가 발생한다”며 폐기물 물량 폭주에 따른 손해를 떠안고 있다고 말했다. 재활용 폐기물이 급증하며 손실을 감당하지 못한 수거업체들이 물량을 거부하거나 영업정지에 들어가기도 하면서, 당장 다음주부터 플라스틱 대란이 시작될 것이라고 예측하기도 했다.

 

추석·거리두기 강화 등 재활용시장 적체증가 대비 선제대책 마련

환경부는 올해 1월~6월간 폐비닐과 플라스틱이 전년에 비해 각각 11.1%, 15.16% 증가했다며 이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환경부에 따르면, 폐플라스틱 판매량은 작년 수준을 유지하는데 반해, 폐비닐의 경우 적체량은 증가하는데 재활용 수요는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수거업체에게 6개월간 선별지원금을 지급할 방침이며, 재활용이 어려운 혼합플라스틱 중 '판페트류'에 대한 선별지원금은 2021년부터 상향 조정하는 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폐비닐 적체를 방지하기 위해 1만톤 규모의 공공비축 지원도 추진할 계획이다.

 

LG이노텍·하이트진로..'탄소지수' 기대주

한국거래소가 10월 말 탄소효율 그린뉴딜 지수를 발표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어떤 종목이 편입될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매일경제에 따르면 LG이노텍·CJ대한통운·하이트진로·한온시스템· 현대글로비스가 이에 해당한다. 모두 탄소배출량을 적극적으로 감축하면서도 매출이 늘고 있는 기업들이다.

한국거래소는 영국 환경평가기관인 트루코스트에서 각 기업에 매긴 탄소효율점수를 바탕으로 산업별·기업별로 편입 비중을 설정해 지수에 반영할 예정이다. 탄소효율점수는 매출 단위당 탄소배출량을 점수한 것이다. 탄소효율점수를 바탕으로 산업군 내에서 상대적인 등급을 부여하고, 탄소배출량을 적극적으로 공시한 기업의 척도를 나누어 투자 비중을 설정할 예정이다. 다만 “탄소효율이 낮더라도 ‘저탄소 전환’을 추진하고 있는 기업도 기회가 있다”고 밝혔다.

탄소효율 그린뉴딜 지수가 곧바로 자금 유입으로 이어지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민간에서 관련 펀드가 생길 가능성이 높고, 펀드 편입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 예측된다.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