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대형 트럭들./픽사베이
 유럽의 대형 트럭들./픽사베이

유럽의회와 이사회는 18일(현지시각) 대형 디젤트럭과 버스 등에 대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30년까지 45% 줄이기로 임시로 합의했다고 ESG투데이가 전했다. 

이번 합의의 목표는 도로 운송 부문에서 탄소 배출량을 더욱 줄이고 2030년, 2035년, 2040년에 대한 새로운 목표를 도입하는 것이다.  

이번 합의의 핵심은 2030년까지 EU 역내에서 판매되는 5톤 이상 대형트럭의 탄소 배출량을 45% 줄이는 방안이다. 2035년까지 65%, 2040년까지 90%를 줄이기로 했다. 

합의의 범위는 소형 트럭, 도시 버스, 트레일러를 포함하여 탄소 배출 인증을 받은 거의 모든 신형 대형 차량이 규제 대상이다. 다만, ▲광업, 임업, 농업용 차량 ▲군대와 소방서 차량 ▲공공질서, 시민보호, 의료차량은 규제 대상에서 제외된다. 또한 임시 협정은 2035년에는 쓰레기 수거차량이나 시멘트 혼합기, 소방차 등의 차량으로 확장한다. 아울러 EU는 5톤 이하 소형 트럭도 규제 대상에 포함할 수 있는지 분석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번 합의로 인해 일반 화물용 대형 디젤트럭 판매는 단계적으로 금지될 전망이며, 경유엔진을 사용하는 버스도 2035년부터 금지될 가능성이 높다. EU는 가솔린을 포함한 모든 내연기관차를 2035년부터 제한하는 방안도 추진중이지만, 독일과 이탈리아 등의 반대로 인해 아직 완전한 합의는 하지 못하고 있다. 

또 7.5톤 이상의 대형 트럭과 승용차의 경우 2025년까지 15% 감축한다는 목표는 이미 현행 규정에 명시돼있는데, 이번에 EU의 입법위원들은 트레일러는 7.5%, 세미 트레일러는 10%로 감축 목표를 설정하는 데 동의했다.

제안된 수정안에 따르면, 도심 버스의 경우 2035년까지 100% 배출 제로 목표를 도입하고, 2030년까지 90%의 중간 목표를 설정했다. 다만, 도시와 도시 사이를 운행하는 버스는 규제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대형차량의 전체수명주기 배출량 평가, 연료관련 방법론까지 손본다

또한, 이번 합의에는 유럽 위원회가 새로운 대형차량의 전체 수명 주기 배출량 평가와 보고를 위한 공통 방법론 개발 가능성 평가, 잠재적인 역할 연구를 포함되어 있다. 

아울러 차량 전환에 재생 연료와 탄소 중립 e-연료를 포함할 수 있도록 탄소보정계수(CCF)를 도입하고 탄소중립 연료로만 작동하는 대형차량을 등록하는 방법도 평가한다.

임시 합의가 이루어지면 새로운 규정은 이사회 회원국 대표와 의회 환경 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발효되기 전에 의회와 이사회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되어야 한다. 

대형 트럭의 탄소 배출량은 도로 운송 전체의 4분의 1을 차지한다. 한편, 볼보, 다임러 트럭, 스카니아 등 유럽 대형차 제조사들은 이번 합의에 반대하면서 추가적인 인센티브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ACEA 관계자는 파이낸셜타임즈에 "이번 목표를 달성하려면 2030년까지 40만대 이상의 무배출 트럭이 운행되어야 하는데, 충전소를 비롯한 인프라가 매우 부족하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