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팩트온의【월간 ESG 아카이빙】은 매월 분야별 ESG 트렌드를 주제별로 정리해 제공하는 연중 기획 시리즈입니다.
Key Takeaways
- 2024년 1분기 기후테크 투자액은 81억 달러(약 11조원)를 기록했다. 미 연방정부의 지원과 투자에 힘입어 인프라 및 산업의 탈탄소화와 기술 상업화를 실현할 수 있는 기후테크에 시리즈 C-D 규모의 자금이 몰렸다.
- 주요 기후테크 투자 부문은 친환경 철강, 배터리, 광물 등 소재(material)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후테크 기업으로는 H2그린스틸(Green Steel), 어센드 엘리먼츠(Ascend Elements) 등이 있다.
- 전기ㆍ열 생산과 CCS를 통합한 CFC(탄산염 연료전지) 등 새로운 탄소제거(CD) 기술들이 소개됐다. 기후테크 스타트업들이 지속적인 투자와 연구개발을 통해 탄소 제거 기술을 정교하게 개발하고 있어 기존 탄소제거 기술 한계를 장기적으로 극복해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 【월간 ESG 아카이빙】 3월-기후테크
- 【월간 ESG 아카이빙】2월- 기후테크
- 【2024년 ESG트렌드 Top 10 ⑦】 기후테크
- 【월간 ESG 아카이빙】 4월-이달의 핫이슈
- 알틸륨, LFP와 NMC 배터리 재활용 기술 발표
- 코카콜라가 700억원 들여 음료수 병을 바꾸는 이유
- 일본 미즈호그룹 수소에 17조원 투자, 화학기업 아사히 카세이는 수소 파일럿 공장 가동
- 미국 최초로 탄소중립 시멘트로 건축 중인 17층 빌딩은?
- 나트륨 CO2 배터리, 알루미늄 CO2 배터리...미 오크리지 국립연구소의 연구 2가지
- S&P글로벌이 뽑은 10대 청정기술 트렌드
- 텐센트, CCUS 스타트업 육성에 박차… 중국, 전기차 이어 CCUS 산업도 장악하나
- 보고서, 100% 녹색철강 써도 차량당 1만2000원 정도만 추가부담하면 OK
- 유럽 배터리 제조사 노스볼트, 대규모 셀 제조에 집중하고 인력 구조조정
김환이 editor
hani@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