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회계기준원(원장: 이한상)은 ISSB(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가 IFRS S1 및 S2(이하, ISSB 기준) 이행·적용 지원을 위해 개발한 교육자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한 보고서 및 번역본을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한국회계기준원가 보고서 및 번역본의 제공을 통해 국내 이해관계자들의 ISSB 기준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하고 자발적 적용을 지원하려고 한다.
한편, ISSB는 올해 6월까지 4건의 교육자료를 발표했다. 즉, ▲기후 관련 위험 및 기회의 자연 및 사회적 측면은 기업이 IFRS S2 기후 관련 공시에서 자연 및 사회적 측면을 다루는 접근법을 세 가지 예시를 통해 설명 ▲GRI 기준 및 ISSB 기준 적용 시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상호운용성 고려사항은 기업이 GRI 305: 배출량(2016)‘ 및 IFRS S2에 따라 스코프 1~3 온실가스 배출량을 측정 및 공시할 때 고려해야 하는 요구사항을 설명 ▲IFRS S1 요구사항 충족을 위한 SASB 기준 활용은 기업이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 및 기회의 식별을 위한 주요 지침인 SASB 기준을 활용하는 4단계 접근법을 제시하며, 각 단계별 이행을 위한 세부 절차를 소개 ▲ESRS-ISSB 기준 상호운용성 지침은 ISSB 기준 및 ESRS를 모두 준수하기 위해 기업이 고려해야 할 공시 요구사항과 정보의 일치를 설명하고, 두 기준 간 상호운용성을 보장하는 자료다.
한국회계기준원에 의하면, ISSB 교육자료는 기준서 내 요구사항을 추가 또는 변경하지 않으며 기준서 예시지침의 위상과 동등한 지위를 가진다고 한다.
아울러 한국회계기준원은 추가 교육자료의 요약본과 번역본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회계기준원은 '현재 및 예상 재무적 영향' 및 '중요성 판단'에 대한 교육자료도 개발 중이라 밝혔다.
끝으로, 한국회계기준원은 ESRS-ISSB 기준 상호운용성 지침의 번역본 역시 추후 업로드할 예정이다.
아래의 링크의 자료는 모두 한국회계기준원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ISSB 교육자료 'IFRS S1 요구사항 충족을 위한 SASB 기준 활용' 국문 번역본
ISSB 교육자료 'GRI 기준 및 ISSB 기준 적용 시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상호운용성 고려사항' 국문 번역본
- 27~28년 의무화? K-공시의 핵심안건 3가지, KSSB 공시 포럼서 논의
- 서스틴베스트, ESG공시 실무 세미나 개최…스코프3 공시와 재무 중대성 평가 방안 제시
- KSSB,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초안 발표…공시 의무화 대상, 시점은 미정
- 국내 ESG공시 인증제도 어떻게 이뤄질까…자격제도와 독립성 확보가 관건
- KSSB 투자자 전문위 구성...10인 애널리스트, 매니저 등으로 구성
- 【송준호의 생활ESG】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었다…ESG공시제도 토론회 아직도 ‘시점’만
- 경총,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현실성 떨어져…29년 거래소 공시, 스코프3 반대 입장 견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