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언스플래쉬
이미지=언스플래쉬

유럽 은행들이 기후 위험에 대비해 대손충당금을 쌓고 있다.

유럽 은행들이 최고 규제 기관인 유럽 중앙은행(ECB)의 압력에 의해 기후 변화로 인한 잠재적 손실을 대비하기 위해 점점 더 많은 돈을 따로 마련하고 있다고 29일(현지 시각)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ECB는 29일 대출 기관의 약 55%가 대손충당금을 구축할 때 기후 및 환경 위험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작년 조사 결과인 16%에서 3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대손충당금은 회수불능채권을 공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회계 계정을 말한다. IFRS 9는 은행 장부상의 대출금을 시장 가격에 비교하여 측정하고 향후 12개월 동안 예상되는 손실의 일부를 인식하여 이에 대한 충당금을 미리 마련하도록 요구한다.

ECB는 기상이변과 친환경 경제로의 전환이 고객에게 미치는 영향 등 ESG 리스크로 인한 은행의 손실에 대비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지난 6월 ECB 컨퍼런스에서 클라우디아 부흐 ECB 감독위원회 의장은 "기후 및 환경 위험 분야에서 진전이 이루어졌지만, 여전히 많은 은행이 IFRS 9에 대한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후 위험 대비 대손충당금 마련 유럽 은행, 작년 16%에서 올해 55%로 증가

ECB는 기후 위험을 고려하는 은행의 비중이 증가하는 것을 ECB의 권고가 "이해되고 수용되었다는 초기 신호"라고 말했다. 일례로, 네덜란드에 본사를 둔 은행 라보뱅크(Rabobank)는 2023년 재무제표에 홍수나 가뭄과 같은 기후 재난에 의한 손실에 대해 ESG 리스크 관련 대손충당금으로 1360만유로(약 200억원)를 책정했다.

ECB가 53개 대형 은행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은행들이 점차 에너지 공급, 공급망, 환경 위험, 인플레이션, 지정학적 위험 등 소위 ‘새로운 리스크’라고 불리는 ESG 리스크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ESG 위험 관리는 아직 갈 길이 멀다.

ECB는 은행이 사용하는 방법은 은행이 노출된 위험에 상응하지 않으며 많은 경우 모순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은행이 예상 신용 손실을 계산하기 위해 지속가능성 데이터를 사용하지만, 대출 장부가 악화됐는지를 결정할 때는 해당 정보를 무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게다가 많은 분석이 주로 개별 대출자 수준에서 이루어지며, 집단적 평가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한편, 일부 은행들은 ESG 규제가 강화로 인해 미국과의 경쟁에서 뒤처질 것이라고 경고하며 반발했다. 유럽은행협회(EBF)는 “유럽 은행에만 ESG 규제가 적용되면 미국 은행과의 경쟁에서 걷잡을 수 없이 뒤처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