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바이러스로 일회용품 사용 증가했지만 지속가능한 포장재 관심 높아
지속가능한 포장(Sustainable Packaging)에 대한 기업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제품 포장은 제품의 핵심기능을 보호하는 역할이거나 소비자의 눈길을 끄는 마케팅적인 요소로만 여겨져왔다. 하지만 플라스틱 재활용, 쓰레기 대란, 기후변화 등 환경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근래에는 포장의 재생, 재활용, 재사용 등 순환에 초점을 맞춘 노력도 등장하고 있다. <임팩트온>은 지속가능미디어 '그린비즈(Greenbiz)'의 최신 보고서를 요약, 지속가능한 포장의 사례를 정리해보았다. /편집자주
일회용품, 재생가능한 다회용 포장재로의 전환
많은 기업들이 제품 포장재의 환경 영향력을 줄이기 위해 재활용 가능한 포장재료로 바꾸는 등 지속 가능한 포장재와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식품 및 소비재 기업들은 제품 재사용을 위해 내구성이 있는 포장재로 바꾸고 있다. 제품 및 포장 업체 중 3분의 1 이상이 플라스틱 경제 글로벌 위원회(Plastics Economy Global Committee)에 재생가능한 포장재 도입을 시험 중에 있다고 보고했다. 이제는 포장재를 '종이 혹은 플라스틱'으로 단순 선택하는 문제가 아니라 같은 자원을 '일회용 혹은 다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느냐'가 핵심 이슈다.
글로벌 환경스타트업인 '테라사이클(Terracycle)'의 루프 프로그램(Loop Program)은 소비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식료품, 화장품, 주방용품 등 생활용품과 포장재를 종이, 플라스틱이 아닌 여러 번 재활용이 가능한 내구성 있는 포장재로 만들어 판매한다. 아이스크림 기업 하겐다즈와 루프의 R&D팀은 드라이 아이스, 얼음팩 등을 이용하지 않고 아이스크림을 냉각시킬 수 있는 기술과 포장재를 개발했다.
루프는 제품 뿐 아니라 배송 포장지와 배송 과정도 혁신하였다. 미국 배송업체 UPS와 제휴하여 종이박스, 플라스틱 포장을 없애고 다회용 포장지인 '루프 토트(Loop Tote)'를 개발했다. 물건 크기에 따라 여러 박스를 사용하는 전통적인 방식이 아니라 하나의 박스로 자유롭게 포장이 가능한 모듈식 포장 시스템을 구축했고, 배송 과정 동안 제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튼튼한 포장재로 바꾸었다.
루프의 혁신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사용자들이 제품을 다 사용하면 따로 세척하거나 분리수거하는 것이 아니라 루프 토트에 사용한 제품을 넣고 다시 회사에 반품하는 것이다. 제품 회수 후 루프는 최첨단 세정 기술을 활용하여 빈 포장재를 세정하고 동일한 용기에 새로운 내용물을 담아 판매한다. 고객들이 원하면 '자동 리필' 설정도 가능, 제품을 다시 받아 재이용이 가능하다.
루프는 위생과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제품을 혁신해 제품의 생애주기 전 과정에서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루프 서비스는 미국 전역을 넘어 일본, 독일, 영국 등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재활용의 핵심: 혼합물질 미사용, 소비자와의 소통
포장재가 재활용이 가능하려면 재활용 가능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우선이다. 가정, 의료, 개인 위생 용품 생산업체인 콜게이트-팔몰리브는 치약 튜브를 재활용이 불가능한 플라스틱과 금속을 혼합하는 전통적인 방식 대신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으로 재설계하였다. HDPE는 환경호르몬이 검출되지 않은 무독성 친환경 플라스틱으로,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하며 주로 쇼핑백, 용기, 완구 등을 만들 때 사용된다.
플라스틱 재활용 협회(APR, Association of Plastics Recyclers)와 콜게이트 엔지니어들은 다양한 등급과 두께의 HDPE 를 고려하여 재활용 기준에 부합하면서도 제품을 보호하고 생산과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재설계했다.
그러나 재활용 가능한 신규 포장재 개발만이 전부는 아니다. 이미 소비된 제품은 재활용되어야 하며 제품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친환경, 재활용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과 소통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기업들은 하우투리사이클(How2Recycle) 라벨을 사용하여 소비자와 소통을 하고 있다. 하우투리사이클은 2008년 지속가능한 포장 연합의 프로젝트로 시작되었다. 소비자들에게 재활용을 실천하고 제품에 대한 투명성을 높여 제품 폐기물을 최소화하는 것이 핵심 목표이다. 최초 12개 제품으로 시범 운영하여 현재는 225개 이상의 브랜드 및 소매업체 회원들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타임스퀘어의 광고판에 소비자 교육 캠페인 '룩포라벨'(Look for The Label)을 시행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제품 혁신을 위한 과제
기업들은 지속 가능한 포장을 위해 재활용 가능한 원재료 도입, 섬유 원단 공급, 바이오 섬유를 개발 등을 진전시켰다. 하지만 아직 많은 난관이 남아있다. 기업들은 재활용 가능한 재료를 사용하기로 약속했지만 화석 연료 가격과 플라스틱 가격은 점점 더 하락하여 기업들이 제품 재활용에 투자할 원동력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지속가능한 제품을 제작하는 인프라 개발 및 투자, 제품 제작 설계 개선(추가 포장재 제거 등) 등에 대한 기업의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기업들은 소비자와 소통 및 인식 증진, 기업 간 협력 등을 통해 제품 지속가능성을 달성해야 할 것이다. 2018년 출범한 새로운 플라스틱 경제 공약(New Plastics Economy Commitment)은 월마트, 타겟, 네슬레, 유니레버 등 최대 기업 200여 곳이 2025년까지 100% 재사용ㆍ재활용 및 퇴비 가능한 플라스틱 제품 포장재 제작을 목표로 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