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행정부는 해상 풍력발전소를 건설하고 향후 10년 이내 해상풍력 규모를 크게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오스테드에너지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 21일(현지시간) 새로운 재생가능 에너지 원천을 활용하기 위해 해상 풍력발전소를 건설하고 향후 10년 이내 해상풍력 규모를 크게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2030년까지 3만 메가와트의 해상 풍력 터빈을 배치하고 미국 해안 주변의 1천만 가정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바이든 정부는 대서양 연안의 프로젝트 허가를 가속화하고 뉴욕과 뉴저지 부근의 해역을 개방할 예정이다. 환경 검토에 대한 프로젝트 허가를 앞당기고 에너지부를 통해 풍력건설 및 항만 개발에 30억 달러(3조 4035억 원)의 연방정부 대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기반 시설에 투자해 온실 가스 배출을 줄이고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고자 한다. 백악관은 "해양 풍력 발전 계획이 7800만 미터 톤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막을 것"이라고 말했다. 나아가 정부는 해상풍력 기반 설치를 통해 해양 풍력 부문에서 4만 4천 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뿐만 아니라 3만 3천 개의 새로운 간접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로 해상 풍력 터빈의 블레이드, 타워 및 기타 부품을 생산하는 새로운 공장들과 이를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전문 선박을 만드는 조선소를 중심으로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다.

행정부가 본격적인 풍력 운영 사업을 시행하기 전, 첫 번째 단계로 기존 재생가능에너지 목표를 설정한 주(州)를 우선 지원할 예정이다. 롱아일랜드와 뉴저지 해안 사이에 있는 연안을 해상 풍력 지역으로 우선 지정했으며, 교통부는 항만 당국에 2억 3천만 달러(2609억 3500만 원)를 투자해 에너지 저장 구역을 건설하고 풍력을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뉴욕과 뉴저지는 지구 온난화 배출을 줄이기 위해 2035년까지 총 1천 6500메가와트의 새로운 해상 풍력을 조달하기로 약속했다.

이달 들어 바이든 행정부는 트럼프 행정부 시절 동안 번번이 지연됐던 미국 매사추세츠주 마서스 빈야드의 앞바다에 있는 대규모 해상풍력발전소 환경심사를 승인하는 핵심 단계를 밟았다. 2023년까지 800메가와트의 발전용량을 가진 84개의 대형 풍력 터빈을 설치할 예정이다. 내무부는 2030년까지 13개 해상 풍력 프로젝트를 운영해 2천 여 개의 풍력터빈을 운영할 것으로 추정했다.

현재 유럽에서는 10년 이상 수천 개의 터빈이 운영돼 20기가와트 이상의 용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2050년까지 규모를 10배 이상 확대될 계획이다. 노르웨이의 에퀴노르, 덴마크의 오르스테드, 스페인 이베르드로라의 미국법인 아방그리드와 덴마크의 코펜하겐 인프라파트너스의 합작회사 등 미국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기업 상당수가 유럽 기업이다.

반면 미국은 유럽에 비해 재생에너지 사업을 상대적으로 더디게 진행하고 있다. 로드아일랜드에 있는 30메가와트 풍력 발전소와 버지니아주 부근에 있는 터빈 시범 사업으로 2개의 소규모 풍력발전소만을 보유하고 있다. 최초의 연안 풍력 제안 중 하나인 케이프 윈드(Cape Wind)는 케이프 코드에 사는 부유층 주민들의 반대 때문에 무산되기도 했다.  

이제 이러한 흐름은 변화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청정 전력 협회에 따르면 코네티컷, 메릴랜드, 매사추세츠, 뉴저지, 뉴욕, 버지니아 등 북동부와 대서양 중부 지역에서 가장 큰 주들은 2035년까지 2만 5천메가와트 이상의 해상 풍력을 구입하기로 약속했다.

풍력 발전에 대한 이번 계획은 바이든 행정부가 연방 토지 및 해역에 대한 석유 및 가스 임대 및 연방시추를 영구적으로 중단한 이후에 나온 것이다. 대신 뉴저지와 롱아일랜드 사이의 지역에 풍력 프로젝트를 건설하기 위해 풍력 사업 개발자들이 연방정부의 허가를 신청할 수 있는 권리에 대한 입찰 지원을 허용하게 했다.

백악관은 "해양에너지관리국이 제안한 매각 공지를 발간할 예정이며 공식 의견수렴 기간을 거쳐 2021년 말이나 2022년 초 임대차 매각 계획을 세울 것"이라고 밝혔다.

해상풍력 계획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제기되고 있다. 공화당원들은 "친환경 일자리 약속에 회의적”이라며, 키스톤(Keystone) XL 송유관의 신규 석유 및 가스 임대를 중단하고 허가를 취소했던 이전 정부의 결정을 비난했다.

해상 풍력 사업 건설이 예상되는 지역에 있는 어부들로부터도 반감을 사고 있다. 어업 단체들은 바다에 있는 거대한 터빈이 어로를 방해하고 상업용 어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려를 제기했다. 이들은 “대서양 연해에는 바다 가리비, 오징어, 서프 바지락 등 다양한 경제적으로 중요한 어업이 서식하고 있으며, 이들 중 상당수는 미래의 해양 풍력 발전 지역과 겹친다”며 “궁극적으로 풍력 발전으로 인해 어획할 수 있는 해산물의 양을 제한해 수백만 달러의 손해를 볼 것”이라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