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별 REDD+ 이행 준비 수준 점검
- 국립산림과학원, 「2025 바르샤바 REDD+ 프레임워크 기반의 국가별 MRV 이행능력 평가와 협력 방안」 발간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산림분야 해외 온실가스 감축사업인 REDD+ 해외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국가별 MRV 이행능력 평가와 협력 전략을 담은『2025 REDD+ 협력 방안』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는 국제기준인 ‘바르샤바 REDD+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국가별 측정·보고·검증(MRV) 이행 능력을 평가하고, 우선 협력국 선정 등 추진전략을 담았다.
이번에 발간된 간행물은 국가별 최신 현황을 반영해 측정·보고·검증(MRV) 능력을 재평가하였다. 2021년에 47개국을 대상으로 평가한 바 있으나, 이번에는 바르샤바 REDD+ 프레임워크(WFR)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평가하였으며, 평가방식을 세분화하여 국가별 평가는 물론 대륙별, 이행 단계별, 측정·보고·검증 항목별로 평가를 진행했다.
또한 산림청, 외교부와의 협력관계를 고려해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우선 협력국으로 가나, 인도, 몽골, 페루,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미얀마, 케냐를 제시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전략연구과 최은호 연구사는 “산림부문 국제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개발도상국의 현황을 주기적으로 파악하고, 탄력적인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며 “REDD+ 사업을 추진할 준비가 충분히 갖춰지지 않은 국가들일지라도 선제적이고 우호적인 협력 체계를 꾸준히 구축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데일리 ESG정책 브리핑】공신력 있는 녹색금융 실무 전문가 첫 배출, 탄소중립 금융 뒷받침
- 【ESG 동향】 “SBTi 승인 없인 英 전기차 보조금도 없다”… KoSIF, 한국 車업계 비상
- 【ESG 동향】美탄소중립산업정책연구소, 한국 반도체 산업 진단...6대 전략 과제 제안
- 【ESG 동향】한국 금융, 화석연료에 174조 묶여…에너지 전환 가능할까?
- 【ESG 동향】녹색전환연구소, 김병권 신임 소장 선임…“지역과 시민 밀착형 연구 강화”
- 【ESG 동향】노원구·녹색전환연·녹색에너지전략연, 주민용 ‘탄소중립 안내서’ 전국 첫 발간
- 【데일리 ESG정책 브리핑】환경부-금융위원회, 탄소중립 앞당길 녹색금융 실무 전문가 양성
- 【ESG 동향】대한민국 솔라리그 추진위원회, 태양광 보급 우수지자체 20곳 발표… 충남 태안군 종합 1위
- 【ESG 동향】 기후솔루션, 「한국 10대 배출 기업의 폭염 손실기여액 분석」 보고서 발간
- 【ESG 동향】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첫 연차보고서 발간
- 【ESG 동향】 기후솔루션, 한전·발전사 상대 첫 손배소
- 【ESG 동향】 대한상의, 제2회 대한민국 사회적가치 페스타 ‘사회문제 해결사’ 한 자리에...
- 【ESG 동향】 법무법인 바른, 기업전략연구소 출범
- 【ESG 동향】 녹색전환연구소, 『1.5℃ 라이프스타일 1년의 기록과 전망』 보고서 발간
- 【ESG 동향】 삼일PwC, 지배구조 핵심지표 준수 현황 분석 발표
- 【ESG 동향】 국회ESG포럼, 여야 의원 ‘ESG 공시 제도화’ 논의
- 【ESG 동향】 국내외 기후환경단체 33곳, 한국 정부 포함 각국에 2035년 NDC 상향 촉구
- 【ESG 동향】 서울대-카이스트 연구진, 한국 2035년 NDC 60% 감축 가능
김환이 editor
hani@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