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금융∙정책 잇는 ESG 코리더(Corridor)”
- 기업과 금융의 ESG 경쟁력 강화를 위한 KoSIF의 2024년 성과 조명

ESG 동향은 지속가능경영 활동, ESG 경영 전략, 사회공헌 프로젝트 등 다양한 ESG 관련 소식을 전달합니다.
보도자료 게재를 원하시면 관련 내용을 master@impacton.net으로 보내주세요.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 이사장 김영호)이 창립 이후 처음으로 연차보고서를 발간했다.

KoSIF는 ESG 생태계 조성을 위한 국내외 이니셔티브 협력, 연구 수행, 정책 제안, 연대 활동 등 주요 활동을 공개했다. 지난 한 해 동안 ▲여야 의원 45명이 참여한 22대 ‘국회ESG포럼’ 발족 지원 ▲국내 ESG· 및 화석연료 금융 규모 분석 백서 발간 ▲기업의 기후정보 공개 등 의미 있는 성과를 이루었다고 보고했다.

사진=2024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연차보고서 표지/KoSIFㄷ
사진=2024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연차보고서 표지/KoSIF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은 RE100, EV100, CDP, PCAF, SBTi 등 주요 글로벌 이니셔티브의 국내 파트너로서, 기업들이 국제 기준에 맞춰 ESG를 이행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실질적인 지원 활동을 하고 있다. 특히 CDP는 전 세계적으로 신뢰받는 환경정보공개 플랫폼으로, 2024년에는 국내에서도 865개 기업이 기후 관련 정보를 공개했다.  

또한, 과학기반감축목표 이니셔티브(SBTi)와의 공식 파트너십을 통해, 국내 기업들이 기후과학에 기반한 감축 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다. 현재까지 88개 국내 기업이 SBTi에 참여했으며, 이 중 55개사는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승인을 받았다. 이 외에도 KoSIF는 기업의 재생에너지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공동 발족한 CoREi를 비롯하여 전기차 전환 100%를 위한 EV100, 금융기관의 금융배출량 산정을 촉진하는 PCAF 등의 활동을 통하여 기업과 금융의 ESG 이행을 지원하고 있다.

KoSIF는 정부, 금융기관 등이 지속가능금융과 관련한 현황을 파악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반이 되는 기초 통계와 분석 자료를 발간하고 있다. ‘2023 한국 ESG금융 백서’에서는 국내 ESG 금융 규모가 1,882조 원에 달한다는 조사결과를 공개하며, ESG 금융이 전환을 위한 핵심 인프라라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화석연료금융 백서’를 통해 국내 금융기관이 석탄∙석유∙LNG 등 화석연료 관련 산업에 193조 원을 투자하고 있는 실태를 분석하고, 금융권과 정부의 기후 리스크 대응 강화를 촉구했다.

KoSIF는 기업의 ESG 경영과 지속가능금융이 시너지를 내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해 제도적인 환경 개선에도 주력하고 있다.

유엔글로벌콤팩트 한국협회와 공동 사무국을 맡고 있는 '22대 국회ESG포럼'이 대표적이며, 이를 통해 입법부에 ESG기본법 제정과 ESG 공시 조기 로드맵 수립 등 기업과 금융 모두에 필요한 ‘10대 아젠다’를 제안한 바 있다. 또한 시민사회와 협력·연대하여 변화를 만드는 활동도 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활동으로 국내 최대 공적연기금인 국민연금에 ‘석탄투자 제한전략 수립’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보고서에 담았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김영호 이사장은 “이번 연차보고서는 기업과 금융의 ESG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해 온 과정을 담은 기록”이라며, “앞으로도 기업과 금융, 정부와 국회, 시민사회를 연결하는, ESG 생태계의 신뢰받는 코리더(corridor)이자 지속가능성 촉진자 역할을 수행해 나가자”라고 밝혔다. 그는 ‘코리더’라는 표현을 통해, KoSIF가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만나는 길목이자, 변화를 만들어내는 흐름의 통로 역할을 상징적으로 담았다고 부연했다.

이번 연차보고서는 국문과 영문으로 발간됐으며,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공식 홈페이지에서 열람할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