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가 2030년 재생에너지 목표를 5년 앞당겨 달성했지만, 구조적 한계에 부딪혔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로이터는 3일(현지시각), 인도가 송전망 부족과 규제 병목으로 50GW 규모의 재생에너지 프로젝트를 가동하지 못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태양광 발전 용량 40배 늘어...외국인 투자도 50% 급증
인도는 빠르게 부상하는 재생에너지 투자지로 주목받고 있다. 투자 전문 매체 AInvest에 따르면, 인도의 전력 설비용량은 6월 말 기준 485GW에 달하며, 이 중 비화석연료 설비가 절반인 243GW를 차지한다. 재생에너지 185GW를 중심으로, 대형 수력 49GW, 원자력 9GW가 포함된다.
태양광 발전은 2014년 3GW에서 현재 111GW로 약 39배 확대됐다. 인도는 올해 상반기에만 16.3GW의 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추가로 확보했으며, 연간 기준으로는 약 28GW의 태양광과 풍력 설비가 신규 설치됐다.
해외 자본 유입도 증가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분야의 외국인직접투자(FDI)는 2022년 16억달러(약 2조2200억원)에서 올해 40억달러(약 5조5400억원)로 확대됐다. AInvest는 싱가포르, 영국, 모리셔스 등이 주요 투자국이며, 재생에너지 100GW가 추가될 때마다 연간 석유 수입비용을 100억~150억달러(약 14조~21조원)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송전망 지연에 50GW 가동 못 해…9개월 새 2.5배 급증
외형적 성장세와 달리, 대규모 프로젝트 상당수가 가동되지 못한 채 지연되고 있다. 산업 협회인 인도 지속가능 프로젝트 개발협회(SPDA)가 6월 신재생에너지부에 제출한 서한에 따르면, 입찰에는 성공했지만 전력구매계약(PPA)을 체결하지 못해 가동이 지연된 프로젝트가 50GW를 넘어섰다. 이는 인도 재생에너지 전체 용량의 약 4분의 1에 해당하는 규모다.
SPDA는 지난해 10월 제출한 서한에서, 가동이 멈춰 있거나 계약이 체결되지 않은 프로젝트가 20GW에 달한다고 밝혔으며, 9개월 만에 그 규모가 2.5배 이상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 원인은 송전망 인프라 부족이다. 일조량이 풍부한 라자스탄주와 구자라트주에서는 송전선로 건설이 지연되며 완공된 태양광 발전소 상당수가 전력 공급을 시작하지 못하고 있다.
인도 전력부 대변인은 로이터에 “연방기관으로부터 발전 라이선스를 받은 프로젝트 가운데, 전력 공급계약을 맺지 못한 설비가 약 44GW에 이른다”고 밝혔다. 그는 “정부가 230GW 규모의 재생에너지 프로젝트를 송전망에 연결할 계획이지만, 현재 완공된 비중은 20%에 불과하며, 70%는 공사 중, 나머지는 입찰 단계에 있다”고 덧붙였다.
2030년 500GW 목표 달성, 차질 우려
SPDA는 에너지 전환은 단순히 발전설비를 구축하는 데 그치지 않고, 청정 전력을 적시에, 경제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송전 인프라와 제도 정비가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좌초 프로젝트가 지속적으로 누적될 경우, 인도가 2030년까지 계획한 500GW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에도 차질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 재생에너지 늘리고 폐광은 재가동…인도式 에너지 이중 전략
- 인도, 재생에너지 IPO 열기 식어…‘그린 프리미엄’은 옛말?
- 인도 재생에너지, 역대 최대 입찰에도 목표 달성 '빨간불
- 유럽사법재판소, 환경단체 소송 기각…스페인 4조8000억 풍력 프로젝트 재개 전망
- 신흥국 전력망 전환 ‘실전 단계’… 인도 첫 BESS 상업화·국산화 병행
- 인도, 재생에너지 병목 시장 경쟁으로 해소한다… 상장사 내부거래 규제도 완화
- 인도 BESS, 전력시장 참여만으로 연 17% 수익… IRR 최대 24% 전망
- 인도, 상반기 22GW 늘렸지만… 수요·인프라 불균형 심화
- 테라파워, 유타주와 차세대 원전 MOU… AI·데이터센터 수요 대응
- 인도, 재생에너지·보험·자동차 세금 인하…트럼프 관세 대응·내수 진작
- 인도, 석탄시대 종언 예고…노후 발전소 조기 폐쇄로 녹색전환 본격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