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주요 시스템 기후 리스크 / 호주 국가 기후리스크 평가 보고서
호주 주요 시스템 기후 리스크 / 호주 국가 기후리스크 평가 보고서

호주 정부가 처음으로 실시한 국가 차원의 기후리스크 평가에서 기후 충격이 연쇄적·복합적·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 호주의 경제·보건·국가 안보·생태계 전반을 동시에 압박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15일(현지시각) 공개된 국가 기후리스크 평가 보고서는 재해 복구 비용이 2050년 연간 400억호주달러(약 36조9868억원) 이상으로 급증할 전망이며, 부동산 자산가치 손실은 6110억호주달러(약 564조9734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호주 ABC, 영국 가디언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크리스 보웬 호주 기후변화부 장관은 "이번 보고서는 행동하지 않을 때의 비용을 보여주는 정직한 경고"라며 "호주 전역이 위험에 처해 있고, 행동하지 않는 비용은 행동으로 인한 비용보다 항상 클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후충격, 연쇄적·복합적·동시다발적 영향

이번 국가 기후리스크 평가는 1.5도·2도·3도 상승 등 세 가지 시나리오별로 영향을 모형화했다. 호주 기후변화청(Climate Change Authority)은 현재 글로벌 공약을 기준으로 이번 세기 2.9도 상승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까지 호주 전역에서 150만명 이상이 해수면 상승과 연안 침수에 직면한다. 1880년 이후 호주 해수면은 이미 평균 20cm 상승해 연간 15일가량 추가 침수가 발생하고 있다. 2050년경에는 중간 수준의 온난화 시나리오에서도 연간 침수일이 추가로 24일 늘어날 전망이다.

시드니의 경우 폭염으로 인한 사망자가 3도 상승 시 400% 이상 증가하고, 1.5도 시나리오에서도 두 배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멜버른은 3도 상승 시 259%, 1.5도 상승 시 60% 증가가 예상됐다. 3도 상승 시 농업·건설·제조·광업 분야에서 연간 270만일의 노동손실이 발생할 전망이다.

연방정부의 재해복구 지원금은 2050년까지 2배로 늘어나고, 보험료 급등 및 보장 공백이 나타날 것으로 예측됐다. 현재 전체 주택의 7.5%가 고위험 지역에 위치하지만 2030년까지 9%로 증가하며, 3도 시나리오에서는 100만호 이상이 초고위험군에 속하게 된다.

보고서는 이 같은 사회·경제적 충격과 더불어 생태계 전반에도 심각한 균열이 진행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호주의 다양한 서식지와 고유종들은 이미 빠른 기후 변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으며, 해양·육상·담수 가운데 최소 17개 생태계에서 붕괴 조짐이 관측됐다.

3도 상승 시 전체 종의 40~70%가 이동·적응·멸종 위험에 놓이고, 어느 지역이든 1990년과 비교할 때 식물군의 절반이 다른 종으로 대체될 것으로 전망된다. 산호초에는 재앙적 결과가 거의 확실시되며, 남극해 해양 생물은 피난처가 없어 적응하지 못하면 멸종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도 담겼다.

 

호주, 기후 적응 로드맵 가동…고위험 분야 집중 지원

호주 정부는 이번 평가 결과를 토대로 한 ‘국가 적응 계획’을 함께 발표했다. 계획은 기후취약계층 우선 지원, 연방정부 책임 강화, 자원 배분의 고위험 분야 집중 등을 중점에 두고 있다.

보험의 지속 가능성 확보, 국가 건축 기준(National Construction Code)에 기후회복력 요소 반영, 장애인·만성질환자 대상 기후 적응 서비스 개발 등이 포함됐다. 연방정부는 2026년 말까지 주 정부와 협력해 우선순위별 적응 '행동 아젠다'를 마련할 계획이다.

보웬 장관은 "지금 당장 전 세계 배출이 멈춰도 이미 발생하는 기후 영향은 피할 수 없다"며 "감축 노력은 계속돼야 하며, 그 과정에서 난관이 있더라도 여정을 이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보고서는 호주 정부가 수행한 기후 관련 작업 중 가장 포괄적 연구로, 2035년 배출 감축 목표 확정과 유엔 기후회의를 앞두고 공개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