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청정에너지 전망을 흐리면서 자본이 해외로 이동하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 교직원연금기금(TIAA) 산하 투자운용사 누빈(Nuveen)은 향후 1년 내 호주에서 태양광·배터리 프로젝트에 최대 5억호주달러(약 4601억원)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23일(현지시각) 밝혔다.

누빈 인프라스트럭처의 글로벌 청정에너지 총괄 요스트 베르흐스마(Joost Bergsma)는 인터뷰에서 이번 투자가 회사의 첫 호주 신재생에너지 투자라고 밝혔다. 그는 "향후 3년간 호주 내 자본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며, 육상풍력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누빈, 정치 혼란 피해 호주로...세계 3위 배터리 시장에 투자 확대

베르흐스마 총괄은 "미국의 정치적 혼란으로 인해 누빈이 호주와 유럽처럼 청정에너지 투자를 지지하는 정부가 있는 지역으로 자본을 재배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누빈은 전 세계 청정에너지 분야에서 약 50억달러(약 6조9725억원) 규모 자산을 운용하고 있다.

프로젝트는 호주 국가전력시장(NEM)에서 운영되며, 인구 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추진된다. 베르흐스마는 현지 개발업체들과 초기 단계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호주 전력망의 변동성이 다양한 수익원을 창출할 수 있고, 시장도 아직 포화 상태와 거리가 멀다"며 태양광과 배터리 투자가 매력적이라고 강조했다. 

연간 유틸리티 규모 배터리 도입 현황 및 전망 / 블룸버그

리스타드 에너지에 따르면 호주는 2035년까지 대형 배터리 설비를 20기가와트(GW) 이상 설치할 전망이며, 이는 7월 기준 3.3GW에서 500% 이상 늘어난 수치다. 호주의 에너지저장시장은 중국, 미국, 독일 등 초기 시장보다 도입이 늦었으나, 현재는 세계 3위 유틸리티급 배터리 시장으로 도약했다.

호주는 1인당 가정용 태양광 보급률에서 세계 1위 국가로 낮 시간대 값싼 전력이 대량 공급되지만 전력망 불안정을 야기한다. 호주는 정오에 태양광 발전량이 급증할 때 도매 전력 가격이 마이너스로 떨어졌다가 일몰 후 급등하는 등 세계에서 가장 변동성이 큰 시장으로 꼽힌다. 

 

호주, 2035년 70% 감축 목표…5년 내 전력의 82% 재생에너지로

호주 정부는 지난주 2035년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2005년 대비 62~70%로 확정했다.

호주는 이를 위해 재생에너지 확대, 송전 인프라 확충, 청정연료 사용 확대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국가재건기금(NRF) 내에 50억호주달러(약 4조6007억원) 규모의 별도 재원을 마련해 중공업 탈탄소와 신재생 기술 투자에 투입한다. 내년에는 신규 승용차 연비 기준을 재검토하고 전기차 충전 인프라 개선에 4000만호주달러(약 368억원)를 투입할 예정이다.

세계 주요 화석연료 수출국인 호주는 2022년 노동당 정부 출범 직후 2030년까지 배출량을 2005년 대비 43% 감축하는 목표를 법제화하며 ‘기후 대응 지체국’ 이미지를 벗기 위해 노력해 왔다. 이번 목표 역시 내년 기후변화 당사국총회(COP) 개최지 유치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기후 리더십을 부각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크리스 보웬 기후변화·에너지 장관은 21일(현지시각) 인터뷰에서 향후 5년 내 풍력과 태양광이 전력 생산의 82%를 차지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