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팩트온>은 지난주 지속가능경영, ESG 분야 뉴스 클리핑을 간단히 정리해 매주 목요일 오전 제공합니다.
Environment (환경)
SK넥실리스, 국내 업계 최초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
SKC의 2차 전지용 동박사업 투자사 SK 넥실리스가 국내 2차전지 관련 업계 최초로 폐기물 매립 제로 (Zero Waste to Landfill, ZWTL) 인증 획득했다. 글로벌 안전 규격 인증기관 UL의 ZWTL 인증은 인정요건이 까다로워 전 세계적으로도 인증을 유지하는 곳은 SK 하이닉스, 삼성전자, 바스프 등 글로벌 기업 20여 곳에 불과하다. SKC는 그 간 고철, 폐지, 폐플라스틱 재활용 이외에도 사용 후 용수 부산물 속 구리 재활용 체제 구축하는 등 자원순환 확대 노력을 지속해왔다.
정의선의 현대차, 수소 '올인' 2040년 대중화 정조준
7일 현대차그룹은 ‘하이드로젠 웨이브(Hydrogen Wave)’ 글로벌 온라인 행사를 열고 수소사업의 명확한 비전을 밝혔다. 이날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공개하고, 이를 2040년까지 실생활에 적용해 수소 대중화 원년으로 만들겠다고 공언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이날 기조 발표자로 나서 “현대차그룹이 꿈꾸는 미래 수소사회 비전은 수소에너지를 ‘누구나, 모든 것에, 어디에나’ 쓰도록 하는 것”이라며 “우리는 이런 수소사회를 2040년까지 달성하려 한다”고 밝혔다.
에너지차관 "산업·에너지 탄소중립 R&D 전략 11월 발표"
박기영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이 지난 6일 에너지혁신기업 대표들과의 간담회에서 탄소중립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산업‧에너지 탄소중립 연구개발(R&D) 전략’을 올 11월 중 발표할 것으로 언급했다. 에너지 전환 및 에너지신산업 육성을 위한 내년 예산(정부안)의 전년 대비 2.7% 증액, 민간투자 촉진 및 공공조달과 연계한 시장 규모를 확대를 위해 에너지혁신기업-벤처캐피탈-대기업-공기업 간 민간 협의체 구성 지원 계획도 덧붙였다. 간담회에 참여한 기업은 스탠다드에너지(바나듐이온배터리), 해줌(태양광 O&M), 그리드위즈(수요반응 ESS), 케빈랩(에너지관리시스템) 등이다. 대부분 수요관리, ESS, 신재생에너지 등 에너지신산업 분야 금융지원 확대와 사업경제성 제고방안 마련을 요청했다. 특히 스탠다드에너지는 바나듐이온배터리 기술을 올해부터 양산하며, 소프트뱅크벤처스로부터 100억원 투자 유치받기도 한 곳이다.
탄소중립항공油 도입… 대한항공, ESG경영 박차
대한항공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SK에너지와 탄소중립항공유 도입 협력을 시작했다. 탄소중립항공유란 원유 추출, 정제, 이송 등 항공유 생산 과정에서 사용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양을 산정한 후, 해당 량만큼 탄소배출권으로 상쇄해 실질적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든 항공유다. 제주와 청주에서 출발하는 국내선 항공편이 먼저 도입할 방침이다. 앞서 2017년에는 국내 항공사 최초로 옥수수 등 식물에서 추출한 바이오연료가 혼합된 항공유를 사용한 바 있으며, 올해 6월에는 현대오일뱅크와 바이오항공유 제조 및 사용 기반 조성 협력을 위한 MOU 체결한 바 있다. EU의 항공기 온실가스 규제, 프랑스 단기 노선 여객기 운항 금지, EU 항공유 탄소세 부과방침 등의 압박이 강해지고 있다. 유나이티드항공은 전기항공기 100대를 사전구매했다. 다만, 이번 탄소중립항공유는 탄소감축보다 상쇄를 통한 감축이라, 이건 시작에 불과하고 장기적으로 바이오연료 도입, 전기항공기 구매 등 다양한 방식의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SK하이닉스, '대기오염 물질 처리기술' 개발…친환경 보폭 넓힌다
SK하이닉스는 협력사 ㈜에코에너젠과 함께 개발한 ‘질소산화물 저감(De-NOx) 시스템’과 ‘암모니아 저감(De-NH₃) 시스템’의 사업장 적용을 가속화한다. 두 시스템 모두 업계 최초로 상용화된 신기술이 적용된 점이 특징이다. De-NOx 시스템에는 산화-환원 장치가 도입됐고, De-NH₃ 시스템의 경우 대기방지시설에 마이크로버블러가 적용됐다. 반도체 제조 공정 중에는 여러 물질이 사용되는 만큼 다양한 기술과 시스템을 활용해 공정에서 사용한 가스나 물질들을 처리해야 한다. SK하이닉스 역시 지속적인 신기술 개발과 선제적 대응을 통해 친환경 사업장을 조성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결과 중 하나가 에코에너젠과 손잡고 개발한 ‘De-NOx’, ‘De-NH₃’ 시스템이다.
Social (사회)
한국공인회계사회, 'ESG 바로보기' 경영진 안내서 발간
한국공인회계사회가 경영진이 챙겨야 할 ESG 관련 핵심 내용을 다룬 ESG 안내서를 발간했다. 기업의 ESG 성공과 실패 사례, 기업을 둘러싼 ESG 생태계 및 ESG 경영의 시사점, ESG 경영 실천을 위한 기업의 변화 방향, ESG 정보 공시 및 정보 평가 및 인증 등을 다룬다. 회계법인의 ESG 전문가들이 필자로 참여하여 기대받고 있다.
전경련 "ESG 관련 법안 97개…규제·처벌이 지원의 11배"
국회에 계류된 ESG 관련 법안 가운데 규제‧처벌 관련 조항이 지원 관련 조항의 11배에 달해 지원정책을 좀 더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ESG 관련 97개 법안의 ESG와 직접적 관련이 있는 244개 조항 중에서는 환경(14.4%), 사회(73.2%), 지배구조(12.4%) 순으로, 사회 부문과 관련된 조항이 가장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환경에서는 탄소발자국·기후대응 등 ‘기후변화’ 관련 법안(6개, 42.9%)이, 사회에서는 노동환경·근무여건 관련 법안(38개, 53.5%)이, 지배구조에서는 공정거래법 개정안(8개, 66.7%)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규제 처벌조항이 전체의 80.3%로, 지원조항의 11배나 된다고 주장했다. ESG4법에 이어, 대선과 정기국회가 이어지면서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영업일 제한규정 복합쇼핑몰까지 확대)을 내놓고, 탄소중립기본법까지 기업 규제법안이 줄줄이 나오고 있다는 분석이다.
올해 취업성패는 ESG…기업 인사담당자 58% “면접 때 관련 질문”
잡코리아 의뢰, 기업 인사담당자 설문조사 결과, 응답기업 58%가 경력 또는 신입직원 채용시 ESG와 관련된 질문을 한다고 답했다. 한국경제연구소가 최근 500대 기업 대상 하반기 채용트렌드 조사해보니, 4차산업혁명, 인공지능과 함께 ESG 관련 채용 늘어날 것으로 답변했다. LG디스플레이, GS칼텍스, 농협금융지주, 삼일회계법인, 삼정회계법인 등이 최근 ESG 경력자 채용 나섰다. CSR조직이나 사회공헌 조직을 ESG 전담조직으로 개편하기도 했다. 채용면접의 단골 질문이 되면서, 금융사 및 공기업 취준생 카페에는 면접 관련 ESG 관련 질문 경험담이 줄줄이 올라오고 있다. 하지만 기업 인사담당자 57%는 응시자들의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다고 답했다.
"미중 경쟁부터 ESG까지…기업의사결정 더 어려워졌다"
대한상공회의소가 개최한 ‘최신 글로벌 통상환경 웨비나’에서 본사 차원의 ESG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는 주장 제기됐다. 특히 생산지 ESG 관리 실패 시 미국‧EU와 같은 소비국 개입이나 제재가 가해질 수 있어 주의 필요하다. 우리 기업 대응전략으로 우선순위 국가 설정, 협력사와의 계약 조건 조정 등을 통한 생산국 법인‧소비국 법인‧본사 차원의 ESG 리스크 평가 및 배분이 제기됐다.
ESG Investing (ESG 관련 투자)
증권사도 '온실가스배출권' 사고팔 수 있다
앞으로 증권사 등 금융기관도 온실가스 배출권을 사고팔 수 있게 된다. 그동안 온실가스 배출권은 정부로부터 배출권을 할당받은 기업만 매매할 수 있었다. 환경부는 7일 이 같은 내용의 ‘배출권 거래시장 배출권거래중개회사에 관한 고시’ 제정안을 28일까지 행정예고한다고 밝혔다. 한국거래소가 신규회원을 받으면 올 하반기 중 중개회사의 배출권 거래시장 참여가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는 중개회사가 들어오면 배출권 거래량이 최대 500만 톤 정도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ESG채권 60兆 돌파‥회사채 4분의 1이 'ESG 간판' 달았다
올들어 8월까지 국내서 발행된 ESG 채권 규모는 약64조 8372억원으로, 올해 발행된 국내 채권 총액의 12% 수준으로 나타났다. ESG 채권 발행은 매년 두 배 가량 늘어난 셈이다. 국공채 시장에서는 ESG 채권이 전무하나, 공공단체나 공적 기관에서 발행하는 특수채의 경우 올해 발행된 채권의 65.4%가 ESG 채권으로 발행됐다. 주로 주택금융공사가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해 사회적 채권 형태로 발행하는 MBS(주택저당증권)가 특수채 발행 규모의 절반 가량을 차지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금융권에서는 올해 8월까지 발행된 은행채 중 9.1%가, 기타 금융기관 채권발행의 12.3%가 ESG 채권으로 발행되었다.
Corporate Risk (기업 리스크)
건설현장 안전 '빨간불'…수급 불균형에 안전관리자 '귀한몸'
최근 정부의 건설현장 안전 관리‧감독이 강화됨에 따라, 현장에서는 안전관리자 인력 부족으로 수급 불균형이 심화되는 양상이다. 내년 1월부터 중대한 인명피해를 포함하는 산업재해가 발생한 경우 사업주에 대한 형사처벌을 강화하는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됨에 따라 이 같은 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건설현장 안전관리직 수요는 점점 증가하여 2023년까지 1만 5000여명의 안전관리자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나, 현재 안전관리기술자는 1만명 수준에 불과하다. 안전관리기술자는 현재 매년 500명 가량 배출되고 있어 당장 내년부터 인력난 수급이 심해질 수 있다.
"우리도 중대재해처벌법 수사하겠다"…숟가락 얹은 경찰
경찰청이 내년 1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을 앞두고 “수사권을 달라”는 입장 밝혀 논란이 일고 있다. 기존에 국회에 제출된 안은 근로감독관에게 중대재해처벌 관련 수사권을 부여하는 것이다. 고용노동부는 산업안전보건본부라는 전문적 대응 조직과의 업무 중복, 과잉수사 우려하며 반발하고 나섰다. 법 시행 4개월 남은 상황에서 산업현장에 혼란 가중할 수 있음 경고했다. 경영계도 반발하였으며, 노동계는 아직 명확한 입장 밝히지 않은 상태다. 관련 수정법률안 제출한 국민의 힘 박대수 의원은 “사업주 처벌과 함께 노동자 권리구제도 같이 병행해야 하므로 (경찰이 아닌) 근로감독관과 같은 안전보건관리 전문가가 수사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언급했다.
'3명 사망' 인천 남동공단 폭발 사고…업체 대표 징역 1년
지난해 11월 인천 남동공단에서 발생한 공장 폭발 사고로 작업자 3명을 숨지게 한 업체 대표가 실형을 선고받았다. 인천지법은 업무상과실치사·상 등 혐의로 기소된 모 살균제 제조업체 대표 A(65)씨와 화학물질 배합 기계 납품업체 대표 B(58)씨에게 각각 징역 1년과 징역 8개월을 선고했다고 7일 밝혔다. A씨와 B씨는 지난해 11월 19일 오후 4시 10분께 인천시 남동구 고잔동 남동공단 내 한 살균제 제조공장에서 발생한 폭발 사고로 작업자 3명을 숨지게 하고 3명을 다치게 한 혐의로 기소됐다. 공장 내 안전을 총괄 감독하는 A씨는 당시 작업계획서를 작성하지 않았으며 위험물 안전관리자와 유해화학물질 관리자도 지정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그는 또 폭발이나 화재 가능성이 있는 제1류 위험물인 아염소산나트륨을 공장 내 저장소에 허용 범위인 50㎏보다 4배 넘게 많은 240㎏을 보관했다가 적발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