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미국의 에너지기업 필립스(Phillips)66이 원유 정제사업을 중단하고 대규모 재생가능 디젤 공장을 건설한다고 로이터가 2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재생가능 디젤 연료는 콩기름, 우지 또는 사용된 식용유와 같은 공급 원료로 만든다. 엔진 개조 없이 대형 트럭에 사용할 수 있고, 필립스66 공장에선 다른 바이오 연료도 생산할 수 있다.
2년 전에 이 계획이 발표됐을 때 주민들은 환영한 바 있다. 하지만 캘리포니아 로데오(Rodeo)의 1100에이커(약 134 평) 규모 127년된 단지를 개조하는 것이 환경에 악영향을 줄 지도 모른다는 의문이 제기되면서 일부에선 회의적인 시선도 생겨났다.
지난 5월 카운티 감독위원회는 2024년 초에 운영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는 프로젝트를 승인했다.
정유시설을 재생 가능 디젤 공장으로 전환하지만 오염 문제는 여전해
그러나, 온실 가스를 절반으로 줄인다는 필립스66의 주장은 지역의 규제 당국이 발표한 프로젝트의 환경 영향 보고서와 일치하지 않았다. 보고서의 배출량 데이터에 대한 로이터의 계산에 따르면 배출량은 1% 감소한다. 게다가 바이오 연료를 만드는 데 필요한 수소를 생산하기 위해 천연가스를 더 많이 사용하는 문제점도 있다.
에너지 컨설팅 기업인 스트라타스 어드바이저(Stratas Advisors)에 의하면, 수십 개의 새로운 미국 재생가능 디젤 발전소가 계획되어 있는데, 대부분 정유 공장을 전환해서 만들 것이라고 한다. 스트라타스는 "재생가능 디젤 생산 능력이 2026년까지 세 배인 60억 갤런(약 227억 리터)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으며, 유럽과 아시아도 비슷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이번 필립스66의 프로젝트의 환경 영향은 유사한 시설에 대한 시범 케이스가 될 수 있다고 로이터는 봤다.
필립스66 정유 공장의 총 책임자인 졸리 라인하트(Jolie Rhinehart)는 "재생 가능한 디젤이 트럭으로 상품을 운송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깨끗한 연소 옵션"이라며, "지역 주민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공장에서 직접 발생하는 배출량이 프로젝트로 인해 ‘상당히 감소’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일부 반대 의견도 있다. 환경 전문가들은 대규모 재생 가능 디젤 처리로 인한 오염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고 회사가 사용할 공급 원료를 공개적으로 설명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환 후 공장의 배출량을 예측하기 어렵다고 말한다. 스탠포드 대학의 토목 및 환경 공학 교수이자 학교 대기, 에너지 프로그램 책임자인 마크 제이콥슨(Mark Jacobson)은 "필립스66의 재생 가능 연료 공장은 정유 시설과 비교할 때 일부 오염 물질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다른 오염 물질은 증가시킬 수 있다"며 "아무런 개선이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로이터에 밝혔다.
토탈에너지스도 셸처럼 스코프3 배출 감소 슬쩍 피해가려는 듯
한편, 프랑스의 거대 석유기업 토탈에너지스도 배출량 감소 목표를 강화했으나 전체 스코프3의 배출량 목표는 변경하지 않아 논란이 되고 있다. 이는 최근 영국의 셸(Shell)의 사례와 유사하다.
토탈에너지스는 가스 사업을 성장시키려고 하기 때문에 2030년까지 전체 온실 가스 배출량이 크게 감소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21일(현지시각) 밝혔다. 토탈에너지스는 2030년까지 액화천연가스(LNG) 생산량을 40% 늘릴 계획이다.
토탈에너지스의 스코프3 배출량은 지난해 3억8900만톤CO2e였으며, 2030년까지 4억톤 미만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토탈에너지스는 2030년까지 2015년 기준 석유 제품의 배출량을 40%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며, 감소 목표는 작년에 발표한 30%보다는 증가했다.
기후 운동가 그룹인 팔로우디스(Follow This)의 설립자인 마크 반 발(Mark van Baal)은 "토탈에너지스는 2030년까지 절대적인 배출량 감소로 이어지는 목표가 없다. 스코프3을 포괄하는 중기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로이터에 말했다.
한편, 토탈에너지스는 판매하는 연료의 배출량을 2015년 수준에서 2030년까지 25% 줄일 계획이다. 이는 BP가 2019년 수준에서 15-20%, Shell이 2016년 대비 20%의 배출 강도 감소 목표와 비교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