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라진 게임의 법칙…내연기관차는 ‘이제 안녕’
앞으로 국내에서도, 국외에서도 내연기관차 등록이 어려워질 전망이라고 한국경제가 보도했다.
수치로만 보면 전기차 비율은 아직 미미하다. 한국에 등록된 총 자동차 2400만 대 중 전기차는 11만 대(한국자동차연구원 통계, 8월 기준) 정도로 약 0.5% 수준에 불과하다. 지난해 판매된 내연기관차는 약 9000만 대 정도인데 반해 전기차는 200만~300만 대 정도가 팔렸다.
대중화까지는 아니지만 예상을 뛰어넘는 속도로 전기차 기술이 발전하고 있고 판매량 역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전기차 판매는 2013년 715대에서 매년 급격히 증가해 2017년 처음으로 연간 기준 1만 대를 돌파했다. 한국딜로이트그룹은 최근 보고서에서 전기차 시장이 매년 약 30% 성장해 2030년에는 3110만 대까지 판매량이 늘어날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기도 했다.
전기차 전환의 원년은 내년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전문가들은 내년 여름부터 국내외 완성차업계들이 전기차 전용 플랫폼 모델들을 대거 쏟아내기 시작하는 것에 주목한다. 현대차그룹을 비롯해 아우디폭스바겐과 GM 등 내연기관차에 주력해 왔던 완성차 업체들은 내년부터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적용한 신차를 내놓을 예정이다.
한편, 서울시는 휘발유·경유차 등 2035년부터 내연기관차의 신규 등록을 불허하고 배출 가스가 ‘0’인 전기차·수소차만 등록을 허용하기로 했다. 2035년부터 서울 시민은 가솔린과 디젤 엔진을 탑재한 신차를 구매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다만 기존에 갖고 있던 내연기관차는 계속 사용할 수 있다.
네덜란드와 노르웨이는 2025년부터, 영국은 2035년, 프랑스는 2040년부터 내연기관차 판매를 허용하지 않을 계획이다. 미국 최대 자동차 시장인 캘리포니아 주는 2035년부터 내연기관 신차 판매 금지를 선언했다.
[EV 전성시대] 테슬라, 전기차 보조금 43% 싹쓸이…문제없나
올해 상반기 지급된 전기차 보조금의 43%를 미국 테슬라가 싹쓸이한 것으로 이투데이가 보도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1~6월 국내에서 지급된 전기 승용차 보조금은 약 2092억 원, 이중 테슬라가 받은 보조금은 약 900억 원(43%)으로 집계됐다.
업계에서는 외국 업체가 보조금의 상당액을 가져가며 국산 전기차 산업의 발전과 판매 활성화를 발목 잡는다는 우려가 나왔다. 사실상 ‘국부 유출’ 아니냐는 지적이다.
또한, 자국 업계가 역량을 집중하는 차종에 맞게 보조금 정책을 설정하는 유럽 국가를 본보기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예컨대, 프랑스는 올해 5월 가격이 저렴한 전기차에 보조금을 더 주는 방식으로 정책을 바꿨는데 이는 르노의 전기차 조에(Zoe) 판매량이 82% 증가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전기차를 만드는 자국 업체를 고려한 정책이 효과를 본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보급은 차량 성능뿐 아니라 보조금 정책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라며 “보조금이 세금으로 지급되고, 프랑스나 독일은 자국 기업에 유리하게 보조금 제도를 만들어가는 점을 고려해 우리 정부도 보조금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다.
LG화학 이어 삼성SDI도 배터리 화재에 떤다…BMW·포드 PHEV 리콜
독일 BMW와 미국 포드의 리콜 조치로 삼성 SDI가 곤란을 겪고 있다고 조선일보가 보도했다.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차량의 배터리 화재 가능성 때문에 리콜 조치를 발표했는데, 두 회사 모두 삼성SDI제 배터리가 탑재되기 때문이다.
지난 9월 말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PHEV 7개 모델 4500대에 대해 배터리 화재 위험이 있다며 리콜 결정을 내렸다. 이에 BMW는 최근 330e를 비롯한 PHEV 차량 2만6900대를, 미국 포드는 2만500대 가량을 리콜키로 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쉐보레가 볼트 전기차 화재로 NHTSA의 조사를 받는 등 완성차 회사들이 배터리 화재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다고 전했다. 배터리 화재 중 대부분은 제조 불량이나 배터리가 에너지 관리를 제대로 못하면서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