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28을 앞두고 기후 평가를 담은 보고서와 논의가 필요한 정책에 대한 다양한 주장들이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아시아개발은행(The Asian Development Bank, ADB)이 "투자자와 기업이 지금보다 더 나은 기후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려면 탄소 상쇄 크레딧 평균 가격을 조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고 로이터가 보도했다.
아시아개발은행(이하 ADB)은 극심한 빈곤을 근절하고 지속 가능한 아시아 태평양을 위해 대출, 기술 지원, 보조금 및 지분 투자를 제공함으로써 회원국을 지원하는 국제기구다.
현재 자발적 탄소시장에서 재조림을 통해 탄소를 격리하는 경우 톤당 6~8달러(약 8000원~1만원)의 가격이 든다. 태양광 에너지나 풍력으로 탄소크레딧을 생산하는 경우 비용은 더 저렴하다.
그러나 업계 관계자들은 탄소의 실질적 비용이 톤당 100달러(약 13만원) 이상이라고 지적한다. 이에 대해 아시아개발은행의 기후특사인 워런 에반스(Warren Evans)는 “시장의 관점에서 볼 때 가까운 미래에 그런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톤당 25~35달러(약 3만2000원~4만5000원)로 책정되면 큰 변화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 때 볼 수 있었던 종류의 거래가 부활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청정개발체제는 교토의정서 12조 2항에 규정된 것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충족하지 못하는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에 투자하는 온실가스 감축사업 제도를 말한다. 선진국은 온실가스 감축 실적을 달성할 수 있고 개발도상국은 친환경 기술에 대한 투자를 받게 되어 자국의 개발을 지속가능한 형태로 발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등이 탄소배출권 거래를 시작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COP28 참가국들, 탄소배출권을 놓고 논할 예정
11월말 아랍에미리트(UAE)에서 열릴 COP28 회담 참가국들은 기업이 탄소를 배출할 때 잣대를 들이댈 수 있는 보다 엄격한 규칙을 제정할 예정이다.
얼마 전 탄소크레딧 인증기관 베라에 대한 투명성 지적, 세계 최대 탄소 크레딧 판매 기업 사우스 폴 등이 그린워싱 의혹에 휘말리는 등 기존의 자발적 탄소시장에 대한 기업의 관심이 둔화되는 상황이지만 탄소 크레딧의 품질이 보증된다면 크레딧에 대한 수요를 다시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로이터는 전했다.
에반스 기후특사는 “글로벌 탄소 시장에 대한 신뢰와 더 높은 탄소 크레딧의 가격은 온실가스 배출 감축 등 ADB가 하고 있는 일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투자를 정당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라고 말했다.
이어 “탄소 톤당 25달러 이상의 가격을 받게 되면 인도네시아의 석탄 화력 발전소를 폐쇄하려는 ADB의 지원 계획을 가속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도네시아는 지난 2월 석탄 발전소에 대한 의무적 탄소 거래를 시작했으며 인도네시아 에너지부는 톤당 2~18달러(약 2600원~2만3000원)을 받을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에반스는 또한 탄소 크레딧의 가격이 높을수록 개발도상국은 탄소 배출권 판매로 더 많은 수입을 거두고, 발전소의 운영 종료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COP28 의장국 UAE 석유공사 6년 배출량, 포집에는 343년 걸려
- EU, COP28 손실과 피해 기금에 '상당한' 기여 약속해
- COP28 앞두고 화석연료업계에 대한 압박 거세져... 신용 등급 강등 경고도
- COP28 의장국, 에너지 전환 위한 로드맵 발표
- 글로벌 기업 131곳, COP28 앞두고 화석연료 단계적 폐지 합의 촉구
- 세계 최대 탄소 크레딧 판매 기업 사우스 폴, 그린워싱 의혹에 CEO 사임
- 베라, 디지털 탄소배출권 프로젝트 추적 플랫폼 시작...투명성 검증 나서
- 인도 정부, 탄소 시장 확대 위해 '그린 크레딧' 도입한다
- 인도네시아, 탄소시장 운영 방법에 관한 규정 발표
- UAE, 기업의 배출량 측정하는 탄소등록부 개발중...탄소시장 설립 기반 닦나
- IOSCO, 그린워싱 법적 규제 필요성 강조…자발적 탄소시장 규제도 제시
- COP28, 파리협정 제6조 세부 지침 합의 실패… IETA, “반 시장 의제의 승리”
- 탄소 제거 시장 데이터 무료 공개....우리 회사가 지불할 수 있는 적정가격은?
- 전 세계 탈탄소화 둔화…자발적 탄소배출권 거래 지난해보다 5% 감소
- 탄소시장 신뢰도 높이면 자금 유입 2년 내 10% 증가할 것
- 탄소배출권 보험사 오카, 135억 투자유치 성공… 탄소시장 신뢰도 높인다
- 신뢰성 높인 탄소 제거 레지스트리 아이소메트릭, 첫번째 크레딧 발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