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개발은행(ADB)의 기후특사 워런 에반스가 COP28을 앞두고 탄소 상쇄 크레딧 평균 가격을 조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ADB
아시아개발은행(ADB)의 기후특사 워런 에반스가 COP28을 앞두고 탄소 상쇄 크레딧 평균 가격을 조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ADB

COP28을 앞두고 기후 평가를 담은 보고서와 논의가 필요한 정책에 대한 다양한 주장들이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아시아개발은행(The Asian Development Bank, ADB)이 "투자자와 기업이 지금보다 더 나은 기후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려면 탄소 상쇄 크레딧 평균 가격을 조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고 로이터가 보도했다.

아시아개발은행(이하 ADB)은 극심한 빈곤을 근절하고 지속 가능한 아시아 태평양을 위해 대출, 기술 지원, 보조금 및 지분 투자를 제공함으로써 회원국을 지원하는 국제기구다.

현재 자발적 탄소시장에서 재조림을 통해 탄소를 격리하는 경우 톤당 6~8달러(약 8000원~1만원)의 가격이 든다. 태양광 에너지나 풍력으로 탄소크레딧을 생산하는 경우 비용은 더 저렴하다. 

그러나 업계 관계자들은 탄소의 실질적 비용이 톤당 100달러(약 13만원) 이상이라고 지적한다. 이에 대해 아시아개발은행의 기후특사인 워런 에반스(Warren Evans)는 “시장의 관점에서 볼 때 가까운 미래에 그런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톤당 25~35달러(약 3만2000원~4만5000원)로 책정되면 큰 변화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 때 볼 수 있었던 종류의 거래가 부활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청정개발체제는 교토의정서 12조 2항에 규정된 것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충족하지 못하는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에 투자하는 온실가스 감축사업 제도를 말한다. 선진국은 온실가스 감축 실적을 달성할 수 있고 개발도상국은 친환경 기술에 대한 투자를 받게 되어 자국의 개발을 지속가능한 형태로 발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베트남, 인도네시아인도 등이 탄소배출권 거래를 시작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COP28 참가국들, 탄소배출권을 놓고 논할 예정

11월말 아랍에미리트(UAE)에서 열릴 COP28 회담 참가국들은 기업이 탄소를 배출할 때 잣대를 들이댈 수 있는 보다 엄격한 규칙을 제정할 예정이다.

얼마 전 탄소크레딧 인증기관 베라에 대한 투명성 지적, 세계 최대 탄소 크레딧 판매 기업 사우스 폴 등이 그린워싱 의혹에 휘말리는 등 기존의 자발적 탄소시장에 대한 기업의 관심이 둔화되는 상황이지만 탄소 크레딧의 품질이 보증된다면 크레딧에 대한 수요를 다시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로이터는 전했다. 

에반스 기후특사는 “글로벌 탄소 시장에 대한 신뢰와 더 높은 탄소 크레딧의 가격은 온실가스 배출 감축 등 ADB가 하고 있는 일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투자를 정당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라고 말했다.

이어 “탄소 톤당 25달러 이상의 가격을 받게 되면 인도네시아의 석탄 화력 발전소를 폐쇄하려는 ADB의 지원 계획을 가속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도네시아는 지난 2월 석탄 발전소에 대한 의무적 탄소 거래를 시작했으며 인도네시아 에너지부는 톤당 2~18달러(약 2600원~2만3000원)을 받을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에반스는 또한 탄소 크레딧의 가격이 높을수록 개발도상국은 탄소 배출권 판매로 더 많은 수입을 거두고, 발전소의 운영 종료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