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장관 한화진)는 우리나라 하수도 현황을 한눈에 볼 수 있는 ‘2022년 하수도 통계(이하 하수도 통계)’를 정리해 공개했다.
이번 하수도 통계는 2022년 한 해 동안의 ▲지자체별 하수도 보급현황 ▲하수처리장 및 하수관로 현황 ▲하수도 요금 ▲하수처리수 재이용 등 하수도 전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하수도 정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고 하수도 서비스에 대한 국민 이해를 돕기 위해 매년 제공되고 있다.
이번 하수도 통계 조사 결과, 2022년 기준으로 하수처리구역 내 인구는 5005만9000여 명으로 전년 대비 0.3%p 증가한 95.1%로 나타났다.
농어촌지역* 하수도보급률은 2013년 63.7%에서 2022년 76.6%로 지난 10년간 계속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농어촌지역과 도시지역 간 하수도보급률 격차는 2013년 31.2%p에서 2022년 20.2%p로 줄었다.
전국에 가동 중인 공공하수처리장은 총 4397곳으로 이들 처리장이 하루에 처리할 수 있는 하수 용량은 총 2689만8000톤(㎥)이며, 하수관로 총길이는 16만8786㎞로 나타났다.
2022년 한 해 동안 처리된 하수의 총량은 약 73억7891만 톤이다. 이 중 15.4%인 11억3675만 톤의 하수를 재이용했다.
이는 30만3000여 개의 올림픽 규격 수영장의 물을 채울 수 있는 양이며 상수도로 환산하면 연간 약 8500억원을 절약하는 효과와 맞먹는다. 하수 재이용수는 하천유지용수로 41.5%, 하수처리시설 세척수 17.3%, 공업용수 11.4% 등으로 활용됐다.
전국 하수도 평균 요금은 1톤당 634.7원으로 전년(602.1원) 대비 다소 증가했으며, 특․광역시 평균 요금은 646.4원으로 전국 평균보다 높은 반면 도(道)의 평균 요금은 623.3원으로 낮은 편이었다. 또한, 전국 평균 하수처리비용은 1톤당 1392.5원으로 하수도 요금 현실화율은 45.6%로 조사됐다.
김종률 환경부 물환경정책관은 “하수도 통계는 하수도 정책 추진의 기초가 되는 자료로, 통계를 바탕으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공공하수도 정책을 추진하여 물환경 보전과 대국민 하수도 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2022년 하수도 통계’는 환경부 누리집과 국가하수도정보시스템(www.hasudoinfo.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환경부, 중소중견기업 녹색투자 지원사업, 전년대비 2배 이상 확대
- 환경부의 화평법, 화관법 등 5개 환경법안 국회 본회의 통과
- 환경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기업에 1202억원 규모 탄소중립설비 지원
- 환경부, 1월부터 순환경제 규제특례(샌드박스)제도 시행
- 환경부, 서울 3개 자치구에서 폐원단 조각 고품질 자원으로 재활용
- 환경부, 제10회 ESG ON 세미나 개최...올해 규제 동향 살핀다
- 정부, 온실가스 목표관리제도 개선방안 모색
- 환경부, 환경분야 국가표준(KS) 183종 국제표준 일치화로 국가기술력 강화
- 【데일리 ESG 정책 브리핑】1월 19일
- 【데일리 ESG 정책 브리핑】 1월24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