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장관 한화진)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폐기물의 순환을 촉진할 수 있도록 혁신적인 신산업의 실현을 돕는 순환경제 규제특례(샌드박스) 제도가 1월 1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이번 제도는 산업이 빠르게 변화하는 상황에서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가 모호하거나 불합리한 규제에 가로막히는 일이 없도록 기술 실증사업과 임시 시장 출시를 지원한다.
현재 산업융합, 정보통신융합, 금융혁신 등 5개 부처 7개 분야의 규제특례제도(샌드박스)가 시행 중이며, 이번에 환경부의 순환경제 분야가 새로 추가됐다.
이번 ‘순환경제 규제특례(샌드박스) 제도’는 폐기물 저감, 재활용·재사용, 폐자원 관리 등 제품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버려지는 자원의 순환망을 구축하는 사업을 대상으로 한다.
예를 들어, 제지 소각시설에서 발생하는 날림(비산)재를 이용하여 백판지를 제조하거나, 반도체 웨이퍼를 세척할 때 발생하는 폐수처리 오니를 제철소 부원료로 활용하는 등 아이디어가 있음에도 유해성 검증 등 여러 절차로 인해 적시에 시장에 출시하기 어려웠던 경우, 이 제도를 통해 규제 면제 또는 유예를 받을 수 있다.
이 제도는 2022년 12월 31일 전부개정된 ‘순환경제사회 전환 촉진법’이 2024년 1월 1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도입되는 것으로 유해성이 낮거나 경제성이 높은 폐기물을 순환자원으로 지정·고시해 폐기물 규제를 면제해주는 순환자원 지정·고시제도와 함께 시행된다.
이 제도는 최대 4년(기본 2년, 1회 연장)까지 실증사업 또는 임시허가를 지원하며, 중견·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최대 1억4000만원의 실증사업비와 책임보험료를 제공할 예정이다.
참여 신청접수는 1월 2일부터 상시로 전자우편(sandbox@keiti.re.kr)을 통해 이루어지며, 공고와 신청서류 등 상세내용은 환경부 산하기관인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홈페이지(www.keiti.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신청을 원하는 기업을 돕기 위해 법률·기술 자문, 신청서류 안내 등의 전화 상담을 운영하고 있다.
조현수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환경부는 생산부터 재사용·재활용까지 전 주기에 걸쳐 순환경제 신산업·신기술의 혁신을 촉진할 것”이라며, “규제특례(샌드박스) 제도 등 순환경제사회 전환 촉진을 위한 정책과 제도가 현장에서 안착할 수 있도록 기반을 다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 환경정보공개제도 개편안 발표...글로벌 공시기준 맞춰 변경
- (재)기후변화센터, 제13회 기후변화 그랜드리더스어워드 시상
- 환경부, 이월 제한 단계적 완화…토론서 폐지와 유지 입장 갈려
- 국가기후위기적응센터 포럼… 산업계의 기후리스크 및 적응정보 공시 어떻게 하고 있나
- ESG기본법 제정 2차 간담회...ESG 컨트롤타워 생길까?
- 10억 개 데이터 축적한 에네보...스마트한 폐기물 솔루션 제공
- 환경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기업에 1202억원 규모 탄소중립설비 지원
- 환경부의 화평법, 화관법 등 5개 환경법안 국회 본회의 통과
- 환경부, 중소중견기업 녹색투자 지원사업, 전년대비 2배 이상 확대
- 환경부, 하수도 통계 공개...수영장 30만 개 규모의 물 재활용
- 환경부, 서울 3개 자치구에서 폐원단 조각 고품질 자원으로 재활용
- 환경부, 제10회 ESG ON 세미나 개최...올해 규제 동향 살핀다
- 환경부, 환경분야 국가표준(KS) 183종 국제표준 일치화로 국가기술력 강화
- 【데일리 ESG 정책 브리핑】1월 19일
- 【데일리 ESG 정책 브리핑】 1월24일
- 프랑스 의회, 울트라 패스트 패션 단속에 찬성 투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