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산하 한국환경산업기술원(원장 최흥진)은 1월 17일 ‘제10회 이에스지(ESG) 온(ON) 세미나’를 온라인 상에서 열고, 올해 국내외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규제 법제화에 따른 기업의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이번 행사는 미국, 유럽연합, 국제회계기준(IFRS)재단 등 주요국 및 국제기구의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공시기준 동향과 국내 기업의 대응 과제를 주제로 진행한다.
서정석 김·장 법률사무소 이에스지경영연구소 전문위원은 올해 의무 공시가 본격화되는 지속가능성 공시기준부터 생물다양성, 생태계 등 추가적인 공시기준 동향과 국제 가치사슬에 편입되어 있는 우리 기업의 경쟁력 제고 방안을 제언한다.
이어서 박필주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단장은 환경·사회·투명경영(ESG) 공시 의무화,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및 녹색금융 확산, 제품 탄소규제 강화가 가져올 변화와 기업의 선제적 대응을 돕기 위한 정부지원사업을 소개한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지난해 4월부터 매월 셋째 주 수요일 오후에 ‘이에스지(ESG) 온(ON) 세미나’를 개최하여 주요국의 공급망 실사법 및 녹색분류체계 동향, 친환경 위장기업 사례 등을 소개해 왔으며, 매회 500명 이상 참석할 만큼 호응을 얻었다.
올해는 유럽연합의 공급망 실사와 지속가능성 공시,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이 본격 시행됨에 따라 수출과 제조 산업 위주의 우리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세분화된 양질의 정보를 교류한다.
사전 신청 및 접속 주소 등 행사 세부 사항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누리집(keiti.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최흥진 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은 “올해는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공시 역사에 새로운 변곡점이 될 한 해로 기업이 느끼는 대비의 시급함이 작년보다 더욱 높아진 상황”이라며, “우리 기업들이 대응 태세를 갖추는 데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음 행사는 2월 21일 오후 3시에 환경·사회·투명경영(ESG) 투자의 시대, 녹색금융 활용 방안을 주제로 개최될 예정이다.
- 환경부, 서울 3개 자치구에서 폐원단 조각 고품질 자원으로 재활용
- 환경부, 하수도 통계 공개...수영장 30만 개 규모의 물 재활용
- 환경부, 중소중견기업 녹색투자 지원사업, 전년대비 2배 이상 확대
- 환경부의 화평법, 화관법 등 5개 환경법안 국회 본회의 통과
- 환경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기업에 1202억원 규모 탄소중립설비 지원
- 환경부, 1월부터 순환경제 규제특례(샌드박스)제도 시행
- 정부, 온실가스 목표관리제도 개선방안 모색
- 환경부, 환경분야 국가표준(KS) 183종 국제표준 일치화로 국가기술력 강화
- 미 에너지부, 노후 그리드 현대화에 454억원 투자...GE베르노바 프로젝트도 지원
- 【데일리 ESG 정책 브리핑】1월 19일
- 【데일리 ESG 정책 브리핑】 1월24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