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현지 시각) 투자리서치기업 모닝스타가 선정한 수익률 높은 미국 재생에너지 관련 주식 4종을 소개한다.
모닝스타는 모닝스타 북미 재생 에너지 인덱스(Morningstar North America Renewable Energy Index)에 포함된 주식 중 5%에 가까운 배당수익률을 제공하는 주식을 선정했다. 특히 '에버소스 에너지(Eversource Energy)'와 '에버지(Evergy)'는 내재 가치에 비해 크게 할인된 가격으로 거래되는 주식으로 뽑혔다.
#1. 아방그리드(Avangrid, NYSE: AGR)
재생에너지 및 유틸리티 기업인 아방그리드의 시가총액은 137억달러(약 19조원)다.
스페인의 거대 에너지 기업 이베르드롤라(Iberdrola)의 자회사로 인수된 아방그리드는 미국에서 가장 큰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 개발사 중 하나다. 아방그리드는 미국 전역에서 8.6기가와트(GW) 이상의 풍력 및 태양광 에너지 용량을 보유하고 있다.
아방그리드(Avangrid)와 덴마크 녹색에너지 투자 운용사인 코펜하겐 인프라스트럭쳐 파트너사(CIP)가 개발 중인 미국의 두 번째 대규모 해상 풍력 발전소인 빈야드 윈드(Vineyard Wind)도 올해 말 매사추세츠 해안에 개장할 예정이다.
모닝스타의 전략가 앤드류 비쇼프(Andrew Bischof)는 최근 보고서에서 "아방그리드는 향후 5년 동안 약 2GW의 새로운 재생 에너지 용량을 설치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아방그리드의 다양한 유틸리티는 재생에너지에 우호적인 규제 관할권에서 운영되어 불리한 판결의 위험이 낮고 장기적 수익과 배당금 성장을 지원"한다고 언급했다.
#2. 에버소스 에너지(Eversource Energy, NYSE: ES)
에버소스 에너지는 미국 뉴잉글랜드 최대 에너지 공급업체로, 시가총액은 208억달러(약 29조원)다.
모닝스타 전략가 트레비스 밀러(Travis Miller)는 최근 보고서에서 에버소스가 2024-27년에 전기 및 가스 유틸리티에 180억달러(약 25조원)를 투자하여 지역 청정 에너지 목표를 달성하고 전력망을 강화할 것으로 추정했다. 밀러는 이 투자가 “최소한 2026년까지 에버소스의 연평균 6% 수익 및 배당금 성장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말했다.
에버소스 에너지는 지난 3월 14일 덴마크 풍력에너지 기업인 오스테드(Ørsted)와 함께 뉴욕주 몬탁 포인트에서 동쪽으로 56km 떨어진 곳에 12개의 터빈을 갖춘 사우스 포크 윈드(South Fork Wind)를 완공했다.
#3. 에버지(Evergy, NASDAQ: EVRG)
2018년 6월 미주리주 캔자스시티의 그레이트 플레인스 에너지(Great Plains Energy)와 캔자스주 토피카의 웨스터 에너지(Westar Energy가 합병한 회사인 에버지의 시가총액은 121억달러(약 17조원)다.
모닝스타의 전략가 밀러는 에버지가 합병이 완료되고 새로운 경영진은 규제를 개선하고 청정 에너지에 투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합병 이후 이사회는 2023년 7% 인상을 포함하여 매년 평균 6% 배당금을 인상했다.
그는 “경영진의 배당성향(payout ratio) 목표는 다른 대부분의 유틸리티 기업과 마찬가지로 영업 이익의 60%~70%”이라며 “수익 성장에 맞춰 적어도 향후 4년 동안 6%의 배당금 인상을 예상”한다고 말했다.
#4. OGE 에너지(OGE Energy, NYSE: OGE)
오클라호마 가스 앤 일렉트릭을 운영하며 오클라호마와 아칸소 지역에서 유틸리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OGE 에너지의 시가총액은 71억달러(약 9조8000억원)다.
모닝스타의 전략가 밀러는 OGE가 미드스트림 에너지 리스크를 제거하고 오클라호마의 전기 공급망에 대한 규제를 개선함으로써 수년 만에 가장 안정적이고 성장하는 수익과 배당금을 생산할 수 있는 길로 들어섰다고 평가했다.
그는 OGE의 향후 4년 동안 연평균 6%의 수익 성장을 기대한다며, 이 중 대부분은 경영진이 전기 전력망를 확장하고 강화하기 위해 연평균 12억달러(약 1조7000억원)를 투자하려는 계획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전기 수요 증가가 전력망 투자의 필요성을 높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모닝스타는 독자적인 현금 흐름 할인 모델을 사용하여 주식의 내재 가치, 즉 장기적인 주식의 가치에 대한 공정 가치 추정했다. 공정 가치에 비해 크게 할인된 가격으로 거래되는 주식은 가장 높은 등급(별 4~5개)을, 공정 가치에 비해 큰 프리미엄으로 거래되는 주식은 낮은 등급(별 1~2개)을 받는다. 별 3개 등급은 현재 주가가 모닝스타의 공정 가치 추정치에 가깝다는 것을 의미한다.
불확실성 등급은 공정가치 추정에 대한 불확실성을 나타내며 낮음, 보통, 높음, 매우 높음, 극심함의 5가지 범주로 나뉜다. 운영 및 재무 레버리지, 판매 민감도, 제품 집중도, 가격 결정력, ESG 리스크 등에 따라 결정된다.
자본배분 등급은 재무제표, 투자 결정, 주주 분포라는 세 가지 기준에 따라 회사가 초과 이익을 어떻게 배분하는지 평가하며, 불량, 표준, 모범 3가지 범주로 나뉜다. 자본 배분 결정의 예로는 주주 환원, 기업 인수, 부채 상환, 연구 개발 투자, 직원 추가 고용 등이 있다.
- 투자자들이 등 돌리는 미국 ESG 주식 펀드…자금 유출 많아지는 유럽
- 【월간 ESG 아카이빙】5월- ESG 투자
- 미 상장기업들, SEC 기후공시 의무 아니지만... 스코프 3 공시 준비해야
- 【칼럼】주춤하는 에너지 전환, 투트랙 전략이 해답일까?
- 미국 증시, 정치적 반발로 글로벌 디커플링 심화… ESG 투자 회복세 어려워
- 【월간 ESG 아카이빙】4월- ESG 투자
- 세계 최대 국부펀드, ‘안티ESG’ 무시하고 밀고 나간다
- 1분기 글로벌 지속가능펀드 소폭 상승… 미국은 최악의 순유출 기록
- 미국 CEO들의 최우선 경영과제는? “ESG 이니셔티브 실현”… 2위는 생성형 AI 활용
- 블룸버그, 기후 국채 지수 출시…국가별 기후 변화 대응 반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