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구적인 화학물질’로 불리는 과불화화합물(PFAS)을 둘러싼 기업과 환경단체의 대립이 심화되고 있다.
PFAS는 다양한 형태의 암, 발달 장애, 불임, 당뇨병 및 간 손상 등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성분으로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 상수도에서 자주 검출되고 있다.
지난해 6월, 미국의 3M은 PFAS와 관련된 수질 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되었고, 이후 미국의 공공 수자원 관리업체에 103억달러(약 14조원)에 달하는 비용을 지급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캘리포니아주를 중심으로 한 22개주 연합이 이를 반대하고 있다.
또 지난 3일(현지시간)에는 카펫, 바닥재를 주로 생산하는 글로벌 기업 쇼 인더스트리(Shaw Industries)가 비영리 단체 콩가리 리버키퍼(Congaree Riverkeeper)와 남부환경법센터(Southern Environmental Law Center)로부터 소송 제기를 당했다. 이들은 쇼 인더스트리의 PFAS 물질이 사우스캐롤라이나의 살루다 강(Saluda river) 하류를 오염시켰다고 주장하고 있다.
로이터는 사우스캐롤라이나 연방 법원에는 3M과 기타 다른 회사들을 상대로 PFAS에 대한 수천 건의 소송이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미국 환경청, 식수에 과불화화합물(PFAS) 사용 제한 규제 첫 발표
- 플라스틱 협상 앞두고, 글로벌 대표 기업 225개 중 107곳 F등급
- EU, 미세플라스틱 정화 비용 80%...화장품ㆍ제약회사에 강요
- 美 대법원의 '셰브론 독트린' 폐지 결정…EPA의 기후정책 역풍 맞을까
- 미국 환경보호청, ‘미국 기후 변화지표’ 8년 만에 제5판 발표
- 코스트코, 유아용 물티슈에 PFAS 함유 혐의로 소송 위기
- 반도체업계, 미국 PFAS 규제 막는데 '20억' 로비... TSMC, 삼성전자도 동참?
- 물 스타트업 최초 유니콘, 상반기 6650억원 매출…반도체 섹터 수요 높아
- 물 리스크 시대... 기업이 숙지해야 할 5가지 물 관리법
- 美, 10년 안에 모든 납 수도관 제거 결정…'환경 정의' 강조
- 모건스탠리, 클라임웍스와 탄소제거 다년 계약
- '영원한 화학물질' PFAS, 포집 및 제거 가능성 열려
유미지 editor
josee@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