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부문 배출이 올해를 기점으로 감소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예측되지만,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증가로 인해 감축 속도는 기대만큼 빠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15일(현지시각) 블룸버그는 같은 날 발표된 블룸버그NEF(BNEF) 연례 보고서 ‘신에너지 전망 2025(New Energy Outlook 2025)’를 인용하며, 향후 10년간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 확대에 따라 누적 탄소배출량이 약 35억톤 추가될 전망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현재 전 세계 연간 총 배출량의 약 10%에 해당하며, 이 중 대부분은 미국과 중국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 구글, 2050년 EU 탄소중립 달성 위한 AI 정책 로드맵 발표
- 트럼프, 전력소비 증가 대비해 석탄 생산 확대 행정명령 서명
- 청정에너지원 전 세계 발전비중 1940년 이후 첫 40% 돌파…태양광이 성장 견인
- 미 유틸리티 기업의 고민…“급증하는 전력 수요? 실제 예측 어려워”
- 트럼프, AI 데이터센터 건설 본격 추진…청정에너지 빠진 계획에 민주당 반발
- AI와 탄소중립, 공존을 위한 해법…그린AI 성장 전략 세미나
- 빅테크의 데이터센터 확장, 미국 전력망 운영에 새로운 위협 제기
- 미 내무부장관 "폐쇄 석탄발전소 재가동" 강조...SMR 발전은 상용화 어려운 상황
- 지속가능한 데이터센터 전환…韓 투자비용 8조원 추정
- AI, 기후 악당에서 해결사로…데이터로 탄소 줄인다
- IMF 보고서, “AI의 경제적 이득이 탄소 배출 비용보다 많아”
- 캐나다, 21조원 소형모듈원전(SMR) 건설계획 승인…G7 최초
- 국제전기통신연합 보고서, "데이터센터 전력소비, 전체 전력 증가율보다 4배 빨라"
유인영 editor
inyoung.yoo@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