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정부가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 조치에 대응해 전기차(EV) 부품에 적용 중인 현지화 기준을 일시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13일(현지시각), 인도 정부가 생산연계 인센티브(PLI) 제도의 50% 현지 조달 요건을 일부 조정하는 방향으로 자동차 업계와 협의 중이라고 보도했다.
희토류는 EV 구동 모터의 핵심 부품인 영구자석에 반드시 필요한 소재다. 인도 정부는 자국 생산 기반이 희토류 수입에 의존하는 현실을 감안할 때, 공급망 차질이 장기화될 경우 오히려 현지 부품업체들이 보조금 수급에서 배제되고 산업 경쟁력을 상실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준 조정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지 생산도 재료는 중국산”…정책 딜레마에 직면한 인도
중국은 지난 4월부터 사마륨, 디스프로슘, 터븀 등 7종의 희토류 원소에 대해 수출 제한을 시행했다. 이들 원소는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차량용 모터에 들어가는 고성능 영구자석의 핵심 소재다. 문제는 인도 내 EV 부품 제조업체들 역시 해당 소재 대부분을 중국에서 들여와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현지 조달률 50% 이상을 요구하는 PLI 조건을 충족하기 어렵게 되자, 인도 정부는 일시적으로 완성형 모터나 모터의 주요 부품을 부분 조립한 ‘서브 어셈블리’를 수입해 사용하는 방식으로 규제 적용을 유예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정책 기조의 후퇴가 아니라, 국내 제조업을 유지하기 위한 ‘운영 유연성’ 확보 차원이라는 설명이다.
현재까지 인도자동차제조협회(SIAM)는 공식 완화 요청을 제출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업계 관계자들은 정부와의 협의 과정에서 우려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 중공업부는 관련 질의에 즉답을 피하고 있는 상황이다.
수입 허용 땐 가격 상승 불가피…기술 자립 전환 가속될 수도
희토류 수입 차질로 현지 생산이 막히자, 일부 기업들은 완제품이나 부분 조립품을 수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이 경우 물류비 부담이 만만치 않다. 업계에 따르면 모터를 해상으로 들여올 경우 대당 약 2000루피(약 3만2000원), 항공 수입 시 최대 5000루피(약 7만9000원)의 비용이 추가된다. 특히 가격 경쟁이 치열한 전기 이륜차 시장에서는 원가 부담이 직접적인 타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제한은 인도의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 전략과 EV 산업 자립 구상에도 구조적 충격을 줄 수 있다. 수브로스(Subros) 등 부품업체는 물론 마힌드라(Mahindra & Mahindra), 마루티 스즈키(Maruti Suzuki India), 바자즈 오토(Bajaj Auto), 올라 일렉트릭(Ola Electric) 등 주요 완성차 업체들도 대응 방안을 모색 중이다. 올라 일렉트릭은 희토류가 필요 없는 모터 기술 개발을 이미 1년 전부터 추진해왔으며, 2025년 말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인도 외무부 비크람 미스리(Vikram Misri) 차관은 지난 12일 뉴델리에서 중국 외교부 쑨웨이둥(Sun Weidong) 부부장과 회담을 가졌다.
공식 발표문에는 ‘경제·통상 분야 협력 논의’로만 명시됐지만, 인도 현지 매체 비즈니스 스탠다드(Business Standard)는 이번 회담에서 희토류 공급 문제가 실제로 다뤄졌다며 향후 관련 공급망 협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 美 트럼프, “2주 내 전 세계에 관세율 통보 서한 보낼 것”
- 6월 2주차 해외 ESG 핫클립
- 중국, 희토류로 미국 압박…미·중 무역 갈등 재점화
- 【월간 ESG 아카이빙】 5월 - 반도체/IT/철강/조선
- 【ESG Deal】 日 스미토모·빌더스비전, 美 희토류 스타트업 투자… 탈중국 공급망 포석
- 트럼프, 심해 광물 채굴 허용하는 행정명령 서명… 핵심 광물 공급망 확보 본격화
- 글로벌 EV 판매 25% 돌파…중국·신흥국 질주, 미국은 제자리
- 지멘스가메사, 中 희토류 자석 유럽 생산 유치 협의 중
- 인도·중국 공급망 재편 움직임…스마트폰에서 전기차까지 ‘불편한 공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