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메인주가 트럼프 대통령이 이달 서명한 예산법에 의한 청정에너지 세액공제가 종료되기 전에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조기 착공을 위해 발주 일정을 대폭 앞당기고 있다.
메인주 공공요금위원회(PUC, Public Utilities Commission)가 14일(현지시각) 총 1600GWh(기가와트시) 규모의 재생에너지 조달을 추진한다고 발표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예산법에 맞추기 위해 개발사들에게 마감일인 25일까지 2주 내에 제안서를 제출하도록 안내했다.
PFAS 오염지 우선 개발…농가·야생동물 보호 효과도
이번 입찰은 메인주의 연간 전력 사용량 약 13%를 충당할 수 있는 규모다. 특히 영구 화학물질로 알려진 독성 과불화화합물(PFAS, Per- and polyfluoroalkyl substances)에 오염된 부지를 활용하는 개발 사업에 우선권이 주어진다. 최근 몇 년간 최소 60개 농가에서 토양과 수질에 기준치를 초과하는 PFAS가 검출된 바 있다.
이에 대해 비영리 환경단체 ‘메인 오두본(Maine Audubon)’의 프란체스카 군드럼 정책국장은 “농업에 활용할 수 없게 된 땅에서 재생에너지와 야생생물 보전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기회”라며 “메인주에서 이런 입지를 확대하는 건 매우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2023년 메인주 의회가 통과시킨 PFAS 오염지 기반 재생에너지 우선 조달을 권장하는 법안에서 출발했다. 이후 경제성을 고려해 일부 조항이 재조정됐으며, 올해 6월 수정안이 즉시 법제화됐다. 해당 조항은 상하원 3분의 2 이상 찬성이 필요한 사안으로, 재생에너지에 대한 지지 흐름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된다.
댄 버지스 메인주 에너지국장은 “양당 의원들이 저비용 청정에너지를 확보할 기회로 이번 입찰을 평가한 점은 매우 고무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2020년과 2021년에 팬데믹으로 인해 공급망이 붕괴돼 무산된 24건의 개발 프로젝트를 언급하며 “이번 발주는 당시 손실을 회복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설명했다.
2040년 100% 청정전환 목표…에너지부 신설로 정기 조달
메인주는 1999년 미국 내에서도 가장 먼저 ‘재생에너지 포트폴리오 기준(RPS)’을 도입한 지역이다. 도입 당시 전력의 30%를 재생에너지로 조달하도록 규정했으며, 수력발전 비중이 높아 이를 곧바로 충족했다.
2040년까지는 전체 전력의 90%를 재생에너지로, 나머지 10%는 원자력 등 무탄소 발전으로 채우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메인주의 전력은 가스화력발전 32%, 수력 31%, 나머지 약 25%를 태양광과 풍력이 차지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시장 전문 컨설팅 기관인 지속가능에너지어드밴티지(SEA, Sustainable Energy Advantage)의 2024년 보고서에 따르면, 메인주의 RPS 정책은 2011~2022년 연간 약 2150만달러(약 292억원)의 전기요금 절감 효과를 거뒀다. 또 올해 1월 발표된 분석에서는 2040년 100% 청정에너지 목표 달성 시, 메인주 가구당 연평균 약 1300달러(약 1770만원)의 비용 절감 효과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발주는 메인주 공공요금위원회가 기존 규제 체계 하에서 운영하는 마지막 입찰이 될 예정이다. 신규 법률에 따라, 향후 메인주는 장관급 에너지부를 신설하고, 이를 통해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을 위한 정기적 조달권한을 부여할 계획이다.
메인 재생에너지협회(Maine Renewable Energy Association)의 엘리자 도너휴 대표는 “지금까지는 입법부가 일회성으로 입찰을 지시해왔다면, 앞으로는 예측 가능한 체계가 마련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 미국 전역으로 확산 중인 주(州) 단위 '기후 슈퍼펀드 법안'
- 텍사스로 가는 뉴멕시코 태양광…‘주간 송전형’ 태양광+BESS 프로젝트 착공
- 트럼프, 석탄·화학·철강 독성 규제 면제…美 청정에너지 시장 2년 내 41% 축소 전망
- 美 캘리포니아, 청정에너지 67% 돌파…연방 세제 축소에 전환 인프라 법안 추진
- “DEI는 역차별”…트럼프 정부, 법무부 지침으로 공공기관 압박
- ‘비용 효율’ 앞세운 옥상 태양광…美 기업 자산 활용 늘린다
- 미, 핵심광물 공급망 자립에 10억달러 투입… 배터리·반도체 자원 확보 속도
- 엑슨모빌, 유럽 화학공장 매각 검토… EU 규제 강화에 ‘탈유럽’ 가속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