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업의 자발적 지속가능 포장재 목표가 잇따라 철회되는 가운데, 향후 4곳 중 3곳은 2028년까지 해당 목표를 포기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글로벌 컨설팅사 가트너는 이러한 흐름의 배경으로 전 세계에서 확산 중인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를 지목했다.
기업 75%, 지속가능 포장재 목표 철회 전망…“법적 규제가 자발적 공약 대체”
지속가능성 전문 매체 서스테이너빌리티 매거진은 29일(현지시각), 가트너의 보고서를 인용해 2025년 말까지 기업이 약속한 지속가능 포장재 목표의 90%가 달성되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관련기사
- 뉴욕주, 플라스틱 생산자 부담 포장재 감축 및 재활용 인프라 법안 추진
- EU이사회, 포장재 폐기물 개정안 승인…플라스틱 재활용⋅재사용 의무 목표 제시
- 미국서도 EPR(생산자책임재활용제) 확산
- "생산자가 재활용하라"...EPR 분담금 내니 페트병 라벨이 없어졌다
- 글로벌 플라스틱 조약 지연 속, 코카콜라·펩시코 재활용 목표 후퇴
- EU, 플라스틱 조약서 ‘생산 제한’ 사수…협상 종료 사흘 앞두고 교착 심화
- 플라스틱 산업 보조금 2050년 1500억달러… 환경·건강 비용은 결국 납세자 부담
- 의료 일회용품, 세척비용보다 비싸다…탄소·폐기물 부담도 가중
- EU, 음식물쓰레기 감축·섬유 EPR 의무화 확정…기업 비용·설계 압박 커진다
- 싱가포르, 세계 첫 플라스틱 여권 도입…아세안 5조8600억 순환경제 겨냥
송준호 editor
js@impacto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