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주의 57대 주지사인 캐시 호컬 주지사의 홈페이지.
 미국 뉴욕주의 57대 주지사인 캐시 호컬 주지사의 홈페이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전환으로 미국 청정에너지 업계가 합병과 자산 매각에 나서는 등 재편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반면 뉴욕주는 연방 세제 혜택 종료 전 풍력·태양광 프로젝트 발주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로이터가 26일(현지시각)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 청정에너지 지원 축소…M&A와 자산 매각 가속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7월 서명한 ‘원 빅 뷰티풀 빌(One Big Beautiful Bill Act·OBBBA)’은 풍력·태양광 세액공제의 적용 기간을 대폭 단축하고, 투자세액공제를 사실상 폐지했다. 

여기에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세액거래와 대규모 융자보증 프로그램도 잇달아 중단되면서 중소 재생에너지 기업들은 생존을 위해 합병·지분 매각에 나서고 있다. 미국 에너지부(DOE)는 지난 9월 24일 130억달러(약 18조원) 규모의 청정에너지 기금 취소 방침을 밝혔으며, 앞서 5월에는 37억달러(약 5조원) 규모의 프로젝트 24건을 전면 중단했다.

이 같은 정책 변화로 자금 사정이 악화된 기업들은 합병이나 자산 매각을 통해 돌파구를 찾고 있다.  올해 상반기 미국 청정에너지 M&A는 63건, 약 340억달러(약 48조원) 규모로 집계돼, 지난해 하반기(57건·70억달러) 대비 거래액 기준 다섯 배 수준으로 급증했다.

이런 상황은 자금이 부족한 중소 개발사에는 위기이지만, 현금을 보유한 대형 전력회사와 사모펀드에는 기회가 되고 있다. 재생에너지 개발사 클리어젠(ClearGen)은 최근 글로벌 자산운용사 CBRE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에 인수됐다. 업계에서는 청정에너지 기업의 가치가 떨어진 상황을 노려 기관투자자들이 적극적으로 매입에 나선 대표적 사례로 보고 있다.

 

연방 세액공제 막차 타는 뉴욕…풍력·태양광 7조원 조기 발주

뉴욕주는 트럼프 행정부의 지원 축소 속에서 연방 인센티브가 종료되기 전 마지막 기회를 잡기 위해 청정에너지 프로젝트를 조기 발주했다. 캐시 호컬(Kathy Hochul) 뉴욕주 주지사는 26일(현지시각) 주 정부 기관들에 50억달러(약 7조원) 규모의 풍력·태양광 프로젝트 발주를 지시했다. 

원 빅 뷰티풀 빌(OBBBA)은 기존 2032년까지 제공되던 30% 세액공제를 2027년 말 준공 프로젝트까지만 적용하도록 변경했다. 이에 뉴욕주는 2025년 10월까지 자격 신청, 12월까지 최종 제안서를 받기로 했으며, 2026년 2월에 수주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뉴욕주는 이번 조치로 2500개 이상의 일자리 창출과 대규모 민간 투자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호컬 뉴욕주 주지사는 성명서에서 “연방 인센티브를 최대한 활용해 비용을 절감하고, 지속가능하고 안정적인 전력망을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