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후 친환경 에너지 정책이 급격히 선회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16일(현지시각), 트럼프 행정부가 대표적인 해상풍력 사업인 뉴욕 ‘엠파이어 윈드(Empire Wind)’ 프로젝트의 공사를 중단시켰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 승인 완료된 뉴욕 해상풍력 중단 지시
더그 버검(Doug Burgum) 내무장관은 하워드 러트닉(Howard Lutnick) 상무장관과의 협의 후 에퀴노르(Equinor ASA)의 뉴욕 해상 풍력 프로젝트를 중단시키라는 명령을 내렸다. 버검 장관은 소셜미디어 X를 통해 이 결정을 공개했다.
‘엠파이어 윈드’는 두 단계로 추진되는 해상풍력 프로젝트로, 완공 시 뉴욕 지역 약 70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번에 중단된 ‘엠파이어 1’은 그 1단계로, 약 50만 가구를 대상으로 하며 2027년 상업 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캐시 호철(Kathy Hochul) 뉴욕 주지사는 성명을 통해 “이 프로젝트는 이미 모든 연방 허가를 마쳤으며, 실제로 공사도 시작됐다”고 강조했다.
블룸버그는 버검 장관이 16일(현지시각) 해양에너지관리국 국장 대행에게 보낸 내부 지시문에서, 바이든 행정부가 이 프로젝트를 충분한 환경 분석 없이 서둘러 승인했다고 비판했다고 보도했다. 버검 장관 지시에 따라 해양에너지관리국(BOEM)은 공식적으로 공사 중단 명령(stop-work order)을 발부했다.
친환경 전환 제동 건 트럼프, 풍력 전면 재검토 시사
이번 조치는 트럼프 행정부의 에너지 정책 선회 흐름을 반영한 조치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첫날 새로운 해상 풍력 임대 판매를 무기한 중단하고 연방 토지와 해역의 모든 풍력 프로젝트 허가를 일시 중단시킨 바 있다. 이는 대통령 선거 기간 동안 트럼프가 풍력 터빈을 "추악하고 새를 죽이는 괴물"이라고 비난해 온 것과 일맥상통한다.
에퀴노르는 성명을 통해 "당국으로부터 받은 허가에 대해 제기된 질문들을 이해하기 위해 해양에너지관리국(BOEM)과 내무부와 직접 소통할 것"이라며 "더 많은 정보를 알기 전까지 잠재적 결과에 대해 언급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호철 주지사는 "이 프로젝트는 이미 착공했다"며 "주지사로서 이런 연방정부의 월권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며, 노조 일자리와 저렴한 에너지, 뉴욕의 경제적 미래를 보호하기 위해 모든 단계에서 싸울 것"이라고 밝혔다.
풍력·태양광 업계를 대표하는 미국청정전력협회(American Clean Power Association) 제이슨 그루멧(Jason Grumet) CEO는 "완전히 허가된 에너지 프로젝트의 건설을 중단하는 것은 에너지 풍요 의제와 정반대"라며 "급증하는 에너지 수요와 소비자 가격 상승에 맞서, 모든 국내 에너지 자원에 대한 간소화된 허가가 필요하다"고 비판했다.
세액공제 불확실성…에퀴노르 투자 회수 위기
이번 중단 조치는 산업 전반은 물론, 개별 기업의 투자에도 직격탄이 되고 있다. 에퀴노르는 2017년 엠파이어 윈드 임대 구역을 확보했으며, 첫 단계인 엠파이어 윈드 1에 대해 2023년 12월 30억달러(약 4조2500억원) 규모의 자금 조달을 완료했다. 전체 70억달러(약 9조9200억 원) 규모의 프로젝트 중 20억달러(약 2조8300억원)는 이미 투자됐고, 나머지는 프로젝트 파이낸싱과 세액공제를 통해 충당할 계획이었다.
노르웨이의 에너지·산업 전문 투자은행 스페어뱅크 1 마켓(Sparebank 1 Markets) 애널리스트 테오도르 스벤-닐센(Teodor Sveen-Nilsen)은 "에퀴노르가 약 20억달러(약 2조8300억원) 규모의 세액공제를 기대했을 수 있으며, 설령 프로젝트가 재개되더라도 이 혜택은 무산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세액공제 없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은 아마도 에퀴노르 주주들에게 최악의 시나리오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 트럼프發 역풍에 해상풍력 물밑 작업…글로벌 자본, 美재생에너지 빅딜 행진
- RWE, 미국 에너지 정책 못 믿어…16조원 투자 감축
- 美 스타트업, 경제성ㆍ내구성 갖춘 콘크리트 부유식 해상풍력 플랫폼 개발
- 버검 美 내무장관 해상풍력 전면 재검토…기존·신규 프로젝트, 기준 차등 적용
- 포드, DTE와 美 최대 태양광 전력 구매계약 체결
- 중국, 올해 1분기 청정전력 비중 39% 사상 최고치 기록
- 美 연방정부, 화석연료 승인 절차 대폭 단축…청정에너지는 배제
- RWE, 트럼프 규제 직격탄으로 美 해상풍력 사업 전면 중단
- 시멘트 산업, 탄소 저장 콘크리트로 전환 속도…“건축 자재가 탄소 흡수원"
- 네덜란드, 해상 풍력 입찰 연기… "보조금 없이 수익성 어려워" 오스테드 등 입찰 포기
- 미국, 덴마크, 노르웨이...세계 곳곳에서 재개되는 해상 풍력 프로젝트
- 트럼프, 미국 최대 해상풍력 사업 재가동... 배경엔 '정치적 거래'
- 최초 공해조약 내년 발효 예정… “국제 해양보호 첫 법적 기반 마련”
- 에퀴노르, 美해상풍력서 1조3000억 손실...정부 의지 없으면 투자 중단 선언
- ‘존스법 충족’ 첫 美 해상풍력 케이블선 출범…“일할 곳이 없다”
- 트럼프 지원 축소에 美청정에너지 합병·매각 러시…뉴욕주, 대규모 프로젝트로 맞불
- 엠파이어 윈드, 설치선 계약 해지…美해상풍력 공급망 ‘경고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