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약 3조달러(약 4200조원)의 자산을 운용하는 주요 글로벌 투자자들이 각국 정부에 2030년까지 산림전용 또는 산림파괴 및 생태계 손실을 중단하고 복원할 것을 촉구했다.

로이터는 20일(현지시각) 스위스 프라이빗뱅크 피크테그룹, 노르웨이 DNB자산운용 등 30여 개 기관투자자가 ‘벨렝 열대우림 투자자 성명서(Belém Investor Statement on Rainforests)’에 서명했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다음 달 브라질에서 열리는 유엔기후총회(COP30) 개최를 앞두고 11월 1일까지 추가 서명을 받고 있다.

벨렝 열대우림 투자자 성명서에 서명한 기타 기관 목록 / 성명서 원문 파일
벨렝 열대우림 투자자 성명서에 서명한 기타 기관 목록 / 성명서 원문 파일

 

기후위기보다 빠른 산림 손실…투자자들, 정책 확실성 요구

투자자들에 따르면 세계는 ‘산림파괴 중단’ 목표에서 크게 뒤처져 있다. 2024년 한 해 동안에만 약 810만헥타르(서울 면적의 약 134배)에 달하는 산림이 사라졌으며, 이는 영국 전체 면적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규모다. 주요 원인은 농업 확장과 산불이다.

투자자들은 성명에서 열대우림과 자연 손실은 포트폴리오에 실질적 재무 리스크를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르딕 운용사 스토레브랜드자산운용의 얀 에릭 소게스타드 최고경영자는 “산림파괴는 기후조절부터 식량·물 안보에 이르기까지 글로벌 시장이 의존하는 자연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약화시킨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법적·규제적·재정적 확실성을 확보해 산림을 보호하고 경제 안정을 보장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EU 규제 지연·트럼프 기조까지…기후금융의 복합 변수

한편 유럽연합은 올해 초 브라질, 인도네시아, 미국 등 교역 파트너들의 반발로 산림전용방지규정의 시행을 또다시 1년 연기할 전망이다. 이들 국가는 규제 준수 비용이 높아 수출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노르웨이 레인포레스트재단의 잉그리드 퉁겐 산림전용대응 책임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기후 회의적 태도가 글로벌 환경 협력의 발목을 잡고 있다”며 “그의 정책은 시장 변동성이 큰 상황에서 투자자와 자산운용사들이 기후와 생물다양성을 고려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퉁겐은 이어 “우리가 만나는 거의 모든 투자자들은, 장기적으로 기후변화와 생태 다양성 요인을 고려하지 않으면 시장과 수익에 직접적인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