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신, 셰어하우스 '우주' 등 스타 소셜벤처 키워낸 산실
공모전부터 교육, 어워드, 임팩트투자 연계까지 풍성해진 생태계
사회적 가치에 주목하는 기업들이 늘어나면서 대기업들도 소셜벤처 생태계 구축에 뛰어들고 있다. SK그룹, 하나금융그룹, KT 등 대기업들의 소셜벤처 지원 사업은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임팩트온>은 소셜벤처ㆍ스타트업 지원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대기업들의 지원사례를 총정리했다(하단 표 참조)./편집자주
소셜벤처 포문 연 정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은 2009년부터 소셜벤처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사업화까지 진행하는 ‘소셜벤처 경연대회’를 진행하고 있다. 매년 1000명 이상이 참가하는 이 대회는 국내 최대 규모의 사회적기업 창업 아이디어 경연장이다. 지금까지 강성태 대표가 운영하는 ‘공부의 신’, 연매출 약 10억원에 달하는 ‘시지온’, 국내 최대 소셜 하우징 전문기업 ‘셰어하우스 우주’ 등을 발굴하며 소셜벤처의 포문을 여는데 공헌했다. 사회적기업 진흥원은 36개의 우수 아이디어를 선발, 총 2억원의 상금과 상장(국무총리상·고용노동부 장관상·지자체장상)을 수여한다. 일반·글로벌 부문 전국대회 최종 입상자에게는 내년도 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에 별도의 심사절차 없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을 비롯해 중소기업벤처기업부 산하 창조경제혁신센터는 부산·광주·충남·경남 등 전국 19개의 센터를 운영하며 지역의 소셜벤처 발굴 및 육성에 힘쓰고 있다. 특히 경기창조혁신센터는 2006년부터 아시아 소셜벤처 경진대회(Social Venture Competiton Asia, SVCA)를 진행해왔다. 하나금융그룹의 ‘파워 온 챌린지’와 손잡고 총 1억6000만원의 지원금과 함께 맞춤형 자문, KIIN(Korea impact Investing Network) 회원사 미팅으로 자본금 마련에 도움을 준다. 우승팀은 글로벌소셜벤처경진대회(Global Social Venture Competiton, GSVC) 참여 자격을 얻는다.
LH‧코이카 등 공기업‧공공기관 관심 줄줄이
LH한국토지주택공사는 2015년부터 ‘LHSV' 통해 소셜벤처 지원을 시작했다. 초기 단계 소셜벤처의 창업을 지원하는 Start-up팀과 도시재생·주거복지 등 LH의 사업목적과 부합하는 소셜벤처를 지원하는 Scale-up팀으로 나눠 선정하는 게 특징이다. Start up팀은 1000만원의 창업지원금 이외에도 최대 2년간 4000만원의 단계별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1:1 코칭프로그램 등을 통해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Scale up팀은 최대 7000만원의 지원과 함께 프로젝트 수행 및 후속지원을 받는다.
한국국제협력단(코이카)는 2015년부터 ‘CTS(Creative Technology Solution)’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혁신적 아이디어 및 기술로 개발도상국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소셜벤처를 대상으로, 기술개발사업에는 최대 3억원을, 시범사업에는 최대 5억원을 지원해왔다. 현지 엑셀러레이팅과 글로벌 사업 연계를 직접 코이카에서 도와준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소셜벤처 공모전 양대 산맥, 현대자동차- LG전자·화학
현대자동차그룹·현대차정몽구재단의 ‘H-온드림 사회적 기업 창업 오디션’과 LG전자·LG화학의 ‘LG 소셜펀드(Social Fund)'는 소셜벤처 공모전의 양대산맥이라고 불린다. H-온드림 사회적 기업 창업 오디션의 경우 2012년부터 수익금의 일부를 위안부 피해자에게 기부하는 디자인 브랜드 '마리몬드', 홈리스의 자립을 돕는 '두손컴퍼니' 등 굵직한 소셜벤처를 발굴해냈다. 지원규모만 1억원으로 지금까지 총 150여개 창업팀이 사업비 지원금과 심화 인큐베이팅을 받았으며, 기간이 끝난 뒤에도 역량 강화 교육을 지원하는 등 후속지원도 탄탄하다.
LG소셜펀드는 2011년 LG소셜캠퍼스로 명칭을 바꾸고 금융지원 뿐 만 아니라 공간지원, 성장지원, 인재육성 등 다각적으로 지원범위를 넓혔다. LG소셜펠로우 사업으로 확장하며 소셜벤처 발굴에서 지속성에 초점을 맞춘 엑셀러레이팅에 중점을 둔다. 2년간 최대 5000만원의 지원금과 함께 비즈니스 모델을 고도화 할 수 있는 컨설팅, 비콥(B Corp) 인증 활용을 통한 지속가능체계 구축, 임팩트투자 유치 기회를 제공한다.
기업별 목표 맞춤 소셜벤처 발굴하기도
GS홈쇼핑의 소셜임팩트 프로젝트는 사회혁신 제조 스타트업을 준비하는 팀을 대상으로 약 5개월 간 창업 교육과 최대 3000만원의 사업지원비를 제공한다. MVP테스트를 위한 제작비용 300만원 지원과 함께 사업성이 인정되면 GS홈쇼핑 도네이션 방송 입점 기회도 제공한다.
한국수자원공사는 물·환경을 테마로 ‘신사업아이디어 공모전’을 진행한다. 수질환경개선, 물 이용 취약계층 지원 등 공사의 목적에 부합하는 아이디어를 낸 소셜벤처에게 최대 3000만원을 지원한다. 우수한 성과를 낸 소셜벤처의 프로젝트는 장기적 지원도 받을 수 있다.
신세계 아이앤씨의 ‘MINI CONTEST’와 KT그룹희망나눔재단의 ‘Social Change Maker 공모전’은 ICT기술을 활용한 사회문제 해결을 지향하는 소셜벤처에게 각각 기업당 최대 2000만원을 지원한다.
관(官)과 민(民)이 손잡은 소셜벤처 공모전도 눈에 띈다. 환경부와 SK이노베이션은 ‘환경분야 소셜 비즈니스 발굴 공모전’을 통해 환경문제 해결 관련 사회적기업에게 기업당 150만원을, 한국임업진흥원과 SK임업은 ‘숲에서 Social Business를 Supex하다’로 산림분야 혁신을 목표로 하는 사회적기업에게 기업당 최대 700만원과 사업 대상지를 무료 임대해준다.
지원넘어 사업가 직접 육성까지
SK그룹은 KIAST 경영대학과 협력해 사회적기업가 MBA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사회적 기업가 MBA는 2013년부터 시작된 대표적 사회적기업가 양성소다. 교육과정은 모두 무료로 진행되며, 1:1 전문가 심화 멘토링, 소셜벤처 인큐베이션, 해외 연수 등 사회적기업가 육성에 힘쓰고 있다.
하나금융그룹은 작년부터 소셜벤처아카데미를 개설했다. 창업가 1:1 코칭 및 창업방법론 교육으로 사회적기업가를 육성하고, 금융컨설팅 및 후속지원까지 뒷받침해주고 있다. 사업화 자금으로는 기업당 150만원을, 시드머니로 최대 5000만원까지 지원한다.
KT&G의 상상 스타트업 캠프는 14주 간 사회혁신 사업가를 육성하기 위해 비즈니스 모델 형성에 집중하는 입문트랙과 사업모델을 고도화 시키는 성장트랙으로 나눠 교육을 제공한다. 기업당 최대 8000만원 지원과 함께 스타트업 전문가, 현직 창업가의 팀별 코칭으로 분야별 멘토링을 진행하고, 교육 이후엔 아이템 검증을 위한 MVP 테스트 비용도 지원한다. 우수팀에게는 해외 탐방 지원 및 KT&G와 사업 연계로 사회적기업이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생태계 확장 위해 새로운 이슈 발굴하기도
SK그룹의 ‘사회성과인센티브어워드’는 사회적 가치 측정이라는 분야를 개척했다. SK가 설립한 사회적가치연구원은 가시화하기 어려웠던 사회성과를 직접 측정, 화폐화해 사회적가치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적 기업, 소셜벤처, 스타트업에게 성과에 따른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방식이다. 2016년부터 올해까지 총 222개의 기업들이 약 1682억원 상당의 사회성과를 달성했고, 339억원의 인센티브를 받았다.
SK그룹은 사회적기업은 수익성이 떨어진다는 통념을 깨기 위해 올해 처음 ‘임팩트 유니콘 연합 모델 공모’를 시작하기도 했다. 비즈니스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임팩트 기업들의 연합을 통해 1조원 수준의 기업 가치를 가진 유니콘 기업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포부다. 외부 엑셀러레이터 및 투자자 연계를 통해 소셜벤처에 자금을 전달하고, 대기업 등 고객사를 연계해 지속적인 고객층 형성에 도움을 주는 등 지원 범위나 방식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지원을 제공한다.
카카오임팩트의 ‘100up 문제정의활동 공모사업’은 소셜벤처와 같은 기업의 특성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문제 해결과 공익을 목적으로 지속적인 활동을 하고 있는 단체에게 최대 500만원을 지급한다. 결과보다 과정에 초점을 맞췄다. 문제해결의 과정에서 겪는 고민과 토론의 과정을 지원하겠다는 접근방식으로 비슷했던 소셜벤처 지원사업에 신선한 인사이트를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표> 국내 소셜벤처 지원 프로그램
| 공모전명 | 주최기관 | 지원규모 | 특징 및 기타 지원 내용 | 시작연도 |
| 아시아 소셜벤처 경진대회(SVCA) |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하나금융그룹 |
1억6000만원 (스타트업 부문 기업당 최대 4000만원) |
-교육 멘토링, 전문가 연계, 코워킹 스페이스 무료 이용 등 -한국임팩트투자네트워크 회원사 네트워킹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창업 지원 연계 |
2006 |
| 소셜벤처 경연대회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 2억원(기업당 최대 2000만원) | -다음 연도 '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 참가권 부여(창업 연계 부문 전국대회 입상팀) | |
| LG소셜펠로우 | LG전자, LG화학 | 2년간 최대 5000만원 지원 |
-엑셀러레이팅 및 생산성 향상 컨설팅 및 홍보 등 역량강화 프로그램 지원 등 격년으로 진행 -성장가능성, 창출 임팩트 증명시 임팩트 투자 연계 |
2009 |
| H-온드림 오디션 | 현대자동차그룹, 현대차 정몽구 재단 |
기업당 최대 2000만원 (성과에 따라 최대 1억원 추가 지원) |
-H 온드림 펠로 자격 부여 파트너십 기반 심화 인큐베이팅 서비스 지원 |
2012 |
| 사회적기업 WE STAR 발굴 프로젝트 | 우리은행 | 기업당 최대 1000만원 | -수요자 needs 맞는 맞춤형 교육 및 전문분야 멘토링 제공 -경영역량 향상 위한 컨설팅 제공 -사업 아이템 제품 홍보 및 유통 채널 추천 통해 판로 개척 지원 |
2013 |
| LHSV | LH한국토지주택공사, 주거복지재단 |
기업당 최대 1000만원(Start up) 기업당 최대 7000만원(Scale up) |
-신규 창업 위한 창업지원 START-UP/기존 소셜벤처 위한 성장지원 SCALE UP -START UP: 크라우드 펀딩, 사업현장 방문 컨설팅, 코칭 프로그램 SCALE UP: 후속지원 및 상호성장 위한 소셜벤처 생태계 조성, 성장 초점 맞춘 맞춤 솔루션 |
2015 |
| CTS | 코이카 |
기업당 최대 3억원(기술개발사업) 기업당 최대 5억원(시범사업) |
-현지 엑셀러레이팅 제공 -창업공간 지원, 글로벌 사업 연계, 네트워크 구축 지원 등 |
2015 |
| MINI CONTEST | 신세계 아이앤씨 | 기업당 최대 2000만원 | -IT를 활용한 사회문제 해결 아이디어를 가진 기업 또는 IT 기술 도입이 필요한 기업 대상 | 2015 |
| 지역사회혁신 프로젝트 | KB국민은행 | 기업당 최대 2000만원 | -사업개발비 및 연구개발비 -사업비 지원 통한 기업 운영 안정화 및 고용창출 연계 도모 |
2016 |
| 소셜 UP! 희망 UP! 프로젝트 | IBK기업은행 | 기업당 최대 3000만원 | -KPI 관리 워크숍 및 지원 기업 간 네트워킹 -사후관리 및 자원연계 지원 |
2016 |
| Social Changemaker 공모전 | KT그룹희망나눔재단 |
1억9000만원 (성과에 따라 분할지원) |
-ICT기술 활용한 사회 문제 해결(기술) 사회적경제조직과 지역공동체 협업 프로젝트(공동체) -신청 분야별 전문가 멘토링 및 교육 지원 -인큐베이팅 공간 및 협업공간 제공 |
2017 |
| 상상 스타트업 캠프 | KT&G | 기업당 최대 8000만원 | -현직 창업가 팀별 코칭과 분야별 멘토링 -14주 FULL TIME 교육과 아이템 검증 위한 MVP 테스트 비용 지원 -스타트업 전문가, VC와의 네트워킹 프로그램 -코워킹 스페이스 사무 공간 지원, 해외 탐방 지원 |
2017 |
|
서울숲 청년 소셜벤처기업 EXPO 소셜벤처기업 혁신경연대회 |
성동구 | 기업당 최대 2000만원 | -크라우드펀딩 통해 성동구 사회적경제활성화기금 지원(사업개발비 지원 부분) -5년간 독립 및 공유 사무 공간 장기 임대 |
2017 |
| HSB(HELPING SUSTAINABLE BUSINESS) | HSBC은행 | 기업당 최대 300만원 | -비콥 기반의 지속 가능성 진단과 전문가 검토 의견 -자원 연계 및 패션 분야 커뮤니티 활성화 지원 |
2018 |
| 메트라이프 '인클루전 플러스' | 메트라이프코리아재단 |
1억원 (성과에 따라 차등지원) |
-금융 포용 및 경제적 자립을 위한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는 소셜벤처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글로벌 수상팀과 네트워킹(상위 2개팀) -회계.법무.홍보 등 각 분야 임직원 멘토링(준결승 진출 25개팀) |
2018 |
| 소셜 임팩트 프로젝트 | GS홈쇼핑 |
시제품 제작 비용 300만원 사업화 지원금 5000만원 차등 지원 |
-사업 모델 맞춤 지원, 성과 관리 코칭 -제품 홍보 및 브랜딩 위한 자원 연계 및 판로 개척 |
2018 |
| 사회적기업 신사업아이디어 공모전 및 지원사업 | 한국수자원공사 | 기업당 최대 3000만원 | -수질환경개선, 물 이용 취약계층 지원 등 과 관련된 사회적가치 창출 사업 아이디어 -개발 기술 성능 확인 등 필요시 기술 지원 -우수 성과사업 K-water사업 연계 및 중장기 육성 방안검토 |
2018 |
| 하나 파워 온 챌린지 | 하나금융그룹 |
기업당 최대 200만원 지원(프론티어) 기업당 최대 1000만원 지원(앙트프러너) 기업당 최대 8000만원 지원(체인지메이커) |
-프론티어(청년일자리 창출)/앙트프러너(육성 지원)/체인지메이커(성장지원) 대상 | 2018 |
| 사회적 기업가 MBA | SK | 전원 장학금 지급 | -임팩트 투자 유치 위한 IR 지원 -교과과정 연계 창업 멘토링 -인큐페이팅 오피스, 창업지원금 등 |
2012 |
| 소셜벤처아카데미 | 하나금융 |
기업당 150만원 사업화 지원금 5000만원 초기지원 |
-창업가 1:1 코칭 및 창업방법론 교육 -금융컨설팅 및 후속지원 |
2019 |
| 소셜벤처엑셀러레이팅 | 서울시,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장학재단 | 기업당 500만원 | -에이블테크/라이프스타일/환경문제 개선 소셜벤처 대상 -컨설팅 지원 및 투자 연계 -사업 제품 홍보 지원 |
2018 |
| 청년제일프로젝트 | SC제일은행 | 기업당 최대 3000만원 | -사회적경제 기업 대상 -온라인 플랫폼 활용한 판로 및 홍보 지원 -SC제일은행 임직원 프로보노 매칭 |
2020 |
| 숲에서 SOCIAL BUSINESS를 SUPEX하다 | 한국임업진흥원, SK임업 | 기업당 최대 700만원 | -산림분야 혁신 사회적기업 대상 -사업 대상지 무료 임대 -사업 홍보 |
2020 |
| 환경분야 소셜 비즈니스 발굴 공모전 | 환경부, SK이노베이션 | 기업당 150만원 | -환경문제 해결 관련 사회적기업 대상 -공모전 수상 기업 중 최대 3팀 초기 성장지원금 최대 2억원 지원 -사업화 지원 및 사업 역량 고도화 위한 멘토링 제공 |
2019 |
| 임팩트 유니콘 연합 모델 공모 | SK, 신한금융그룹, 카이스트-SK사회적기업가센터 |
상금 미지급 선정 후 지원범위 및 방식 협의 |
-임팩트 유니콘 성장 위한 맞춤형 지원 제공 -외부 액셀러레이터 및 투자자 연계 육성 -마케팅, 재무 등 기반 구축 지원 |
2020 |
| SKC 스타트업 플러스 | SKC | 기업당 최대 1억원 | -R&D 분석, 장비, TEST BED 지원 -사업 협력 기회 제공 및 투자전문기관 연계 투자 지원 -경영.기술, 환경 자문 지원 |
2018 |
| 사회성과 인센티브 어워드 | SK | 사회성과에 따른 인센티브 부여 | -사회적가치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기업 대상 -사회성과 측정 및 인센티브 지급 -법률/특허 자문 등 비금전적 지원 제공 -후속프로그램 연계 |
2016 |
| 체인지메이커 공모전 | KT그룹희망나눔재단 | 기업당 최대 2000만원 | -ICT 활용 소셜벤처 대상(기술분야)/ 사회적기업 지속가능성 아이디어(공동체 분야) -기술분야(창업팀/예비 창업팀/컨소시엄) 및 공동체 분야 -분야별 전문가 멘토링 및 교육지원 -인큐베이팅 공간 지원 |
2016 |
| 청춘, 내일을 그리다 | 기아자동차, 그린카 | 기업당 최대 500만원 | -청년 예비 창업가 대상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및 멘토링 -MVP TEST 자금지원 |
2017 |
| 사회적경제기업 지원사업 | KDB나눔재단 | 기업당 최대 5000만원 지원(혁신분야) 기업당 최대 3000만원 지원(성장분야) |
-맞춤 전문가 멘토링 지원 | 2015 |
| 푸른바다 큰 고래 육성 사업 | 교보생명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 | 기업당 최대 5000만원 지원 |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을 위한 교육 분야 한정 -금융지원 및 멘토링 프로그램 지원 |
2018 |
| 사회적경제조직 크라우드펀딩 지원사업 | 한국전력 | 기업당 최대 200만원 | -크라우드펀딩 수행 가능한 아이템 및 서비스 보유 사회적경제조직 대상 -펀딩 위한 전문가 교육 및 홍보 지원 -펀딩 위한 콘텐츠 제작 비용 지원 |
2019 |
| KDB 스타트업 프로그램 | KDB 산업은행 | 기업당 최대 1억원 | -4차 산업혁명, 핀테크, 흄테크 분야 대상 -아이템 별 맞춤형 클리닉 제공 -투자유치 기회 제공 및 전문가 멘토링 제공 |
2014 |
| 문제정의활동 공모사업 | 카카오임팩트 | 팀당 최대 500만원 | -문제 해결과 공익을 목적으로 한 단체 대상 | 202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