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에너지부(DOE)가 올해 폐쇄 예정이었던 주요 석탄화력발전소에 대한 가동연장을 강행하고 있다. 특히 최근 미시간과 콜로라도에서 폐쇄 수순이었던 발전소들이 잇따라 긴급 가동연장 명령 대상에 오르면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美 에너지부, 콜로라도 등 주요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연기 압박
지난 6월, DOE는 미시간주 J.H. 캠벨 발전소의 폐쇄를 일주일 앞두고 긴급 명령을 발동해 발전소의 가동을 연장했다. 비슷한 움직임이 콜로라도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미국 3개주 발전 및 송전협회(Tri-State Generation & Transmission Association)는 크레이그(Craig) 발전소 1호기가 가동 연장을 위한 DOE의 긴급 명령 적용 대상으로 검토되고 있다고 밝혔다. 엑셀 에너지(Xcel Energy)와 콜로라도 주 정부 또한 코만치(Comanche) 2호기의 폐쇄 시점을 2026년 말까지 연기하는 계획을 규제기관에 제출한 바 있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석탄 발전소 폐쇄를 늦추고 관련 산업을 확대하기 위한 지원책을 강화하고 있다. DOE는 기존 석탄발전소의 현대화·개보수를 위해 1억달러(약 1470억원)의 예산을 배정했으며, 석탄 기반 전력 확장을 위해 6억2500만 달러(약 9200억원)를 투자할 예정이다. 여기에 더해 1310만에이커 규모의 공공 토지를 석탄 채굴 목적에 새로 개방하는 정책도 함께 추진되고 있다.
에너지 전문기관, 석탄화력발전의 낮은 경제성 지적…
비용 분담 둘러싼 갈등 확산
문제는 비용이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석탄은 현재 미국 전력원 가운데 가장 비용이 높은 발전 방식이며, 미국의 석탄화력발전소 평균 운영기간이 40년을 훌쩍 넘어서면서 유지보수 비용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에너지 산업 전문분석기관 에너지 이노베이션(Energy Innovation)에 따르면, 2024년 석탄발전소는 2021년 대비 운영비로 62억달러(약 9조1140억원)를 더 지출했다고 밝혔다. 이는 노후 설비 운영에 필요한 유지보수 비용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실제, 미시간 캠벨 발전소의 가동연장으로 인해 지난 6월부터 9월 말까지 발생한 비용은 8000만달러(약 1180억원)로 하루 약 61만5000달러(약 9억원)에 달했다.
이에 주요 에너지 기관들은 노후화된 석탄화력발전소를 폐쇄하고 이를 재생에너지로 대체할 시, 비용절감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일례로, 미국 3개주 발전 및 송전협회는 콜로라도의 주요 석탄발전소를 폐쇄하고 재생에너지 발전을 도입할 시 20년간 4억2200만달러(약 6200억 원)의 금액을 절감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석탄화력발전소 유지로 인한 비용 분담 갈등도 확대되고 있다. DOE가 석탄화력발전소 연장으로 인한 추가 비용을 관할 지역의 주정부에 분담시키는 계획을 밀어붙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켄터키주 법무장관과 지역 전력협동조합은 연방에너지규제위원회(FERC)에 공식적으로 이의를 제기한 바 있다. 미시간에서도 캠밸 발전소의 가동 연장에 대한 비용 분담 문제로 유관기관들이 갈등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