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경쟁 가운데, EU 내 수입 수소를 둘러싼 이견이 드러나고 있다./픽사베이
수소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경쟁 가운데, EU 내 수입 수소를 둘러싼 이견이 드러나고 있다./픽사베이

 

세계 각국에서 수소에 관한 전략적 주도권을 잡기 위한 연구개발 및 협력이 이어지는 가운데, EU 내에서 수소 수입을 둘러싼 유럽 내 국가간 의견 차이가 극명하게 갈리고 있다. 

지난 11일, EU 27개 회원국의 에너지 장관들이 모여 ‘넷제로 경로와 수소 전략’에 관한 의견을 교환하는 자리에서였다. 이날 회의에서 EU 국가들은 각 국가별 수소전략을 공유하고, 올해 말 상정될 예정인 EU의 ‘수소 관련 법적 프레임워크’에 관한 결정을 앞두고 입장 교환을 하는 시간을 가졌다. 

의견 차이는 명확했다. 에스토니아, 프랑스, 헝가리, 폴란드 장관들은 모두 유럽 내에서 수소를 생산하는 것이 우선시되어야 하며, 수소를 수입하는 데 반대하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프랑스에서는 "제3국에서 수소를 수입하는 게 아니라, 유럽의 산업역량을 혁신시키는 것과 수소 전략이 연계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현지매체인 유로액티브가 밝혔다. 이들 ‘수입반대국’들은 유럽의 값싼 태양광과 풍력산업 등 재생에너지원에서 수소를 생산하는 EU 회원국의 역량을 높이기를 희망하고 있다. 

EU 청정수소 동맹에서 업계의 선두격인 프랑스의 수소 생산업체인 Lhyfe에서는 "지금까지 석유와 가스, 석탄을 원료로 수입을 해오고 있는데, 왜 수소에서까지 이 패턴을 계속해야 하는가"라고 밝혔다. 이미 EU는 석유나 가스의 대다수를 러시아나 중동에서부터 수입해오고 있는데, 이제 탈탄소 사회로 진입하는 마당에서 왜 수입 수소에 의존하려 하느냐는 것이다.

반면, 수입을 찬성하는 국가들은 주로 동유럽과 남유럽에 포진해 있다. 지난해 유럽위원회(EC)는 수소전략을 발표했는데, EU가 재생에너지로부터 생산되는 100% 녹색수소를 목표로 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독일은 수소를 수입하려는 국가의 대표격이다. 지난 13일 독일 베를린은 호주와 수소동맹 협약서에 서명하고, 연구를 위해 공동자금을 조달키로 했다. 독일에서는 재생에너지로 녹색수소를 생산하기 위한 물리적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대량으로 수입하는 게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네덜란드, 벨기에, 스페인 등도 모두 그린 수소 수입을 찬성하고 있다. 지난 1월, 벨기에의 플랜더스(Flanders) 지역 앤트워프(Antwerp) 항구는 향후 10년 동안 벨기에의 완전한 재생수소 수입을 위한 가치사슬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에너지기업 Engie와 다른 5개 기업이 제휴를 통해, ‘수입 수소연합(Hydrogen Import)’을 결성했다. 앤트워프 항은 유럽에서 가장 번화한 항구로, 바스프, 이노스(Ineos), 몬산토, 엑손모빌 등 화학기업들의 본거지이기도 하다. 

친수입 진영은 또한 중공업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특히 수소에 목말라있는 철강업계는 수소 1톤당 26톤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고 선언한다.

LNG발전을 '택소노미(친환경 분류)'로 지정할 것인지를 두고 유럽 국가간 갈등이 벌어진 데 이어, 수소 수입을 둘러싼 갈등에도 향후 '탄소중립' 시대에 이들 이슈가 각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보이지 않는 '계산기 두드리기'가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