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온실가스 저감률 73%에 불과
국내 사업장에 온실가스 저감 시설 추가 설치할 것

삼성전자
삼성전자

5일 열린 환경노동위원회(이하 ‘환노위’) 국정감사(이하 ‘국감’)에서 온실가스 저감률이 73%에 불과한 점을 지적받은 삼성전자는 국내 사업장에 온실가스 저감 시설을 추가로 설치하겠다는 약속과 함께, 빠른 시일 내 탄소저감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답해 눈길을 끌었다.

이번 환노위 국감에서 안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세계 1등 반도체 기업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와 재생에너지가 확대하고 있는데도 온실가스 저감률이 73%에 불과하다”면서 “온실가스 저감 설비를 제대로 갖춘 것인지 의심스럽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에 국감에 출석한 박찬훈 삼성전자 글로벌인프라 총괄부사장은 “일부 설비에 처리시설이 설치되지 않아 저감률이 낮게 나온 것으로 보이며, 설치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안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제출한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자산업의 불소가스(F-gas) 사용업체별 온실가스 배출량’ 자료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지난해 온실가스 저감률은 73%이며, 생산 라인에 따라 19~85.2%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반도체 기업인 LG전자의 온실가스 저감률은 97%로 업계 1위를 차지했고, SK하이닉스가 91.8%로 그 뒤를 이었다. 이와 관련해 관련 업계는 삼성전자가 가동하고 있는 기흥 팹의 연한이 오래됐고, 반도체 생산량 또한 많은 편이어서 이 같은 수치가 나왔을 것으로 분석했다. 

 

NDC에 발맞춰 탄소저감 계획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있어

안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삼성전자가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선택한 통합처리시설(RCS)은 개별처리시설(POU)보다 저감 효율이 낮다는 점을 들며 “통합처리시설은 저감률이 90~94%이지만, 개별처리시설은 저감률이 100%까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에 박찬훈 총괄부사장은 삼성전자가 통합처리시설을 선택한 이유를 언급했다. 통합처리시설의 용수와 전력 사용량은 개별처리시설의 30분의 1 수준까지 줄고, 폐수 발생률 역시 개별처리시설의 10분의 1 수준으로 줄기 때문에 통합처리시설을 선택했다는 설명이다.

더불어, 삼성전자는 조만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계획에 발맞춰 탄소저감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환노위 국감에서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삼성전자는 NDC나 2050 저감계획에 대해 공식적으로 발표한 적이 없다”고 꼬집자, 박찬훈 총괄부사장이 “실현 가능성 높은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전문가들과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면서 “국가 계획에 발맞춰 저감 계획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답한 것이다. 

한편, 환경부는 5일, 2030년 NDC가 당초보다 늘어난 ‘40% 감축’ 선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이를 토대로 10월 중으로 탄소중립위원회와 국무회의를 거쳐 2030년 NDC를 확정하고, 이어 올해 안에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탄소중립을 향한 정부와 기업들의 시계가 빠르게 돌아가고 있는 만큼, 삼성전자도 온실가스 저감 등 탄소저감 계획에 좀 더 빠르고 적극적인 행보를 펼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