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증권거래소(TSE), 오사카거래소, 도쿄상품거래소를 소유·운영하고 있는 JPX(Japan Exchange Group)가 녹색 및 기타 ESG 라벨이 부착된 채권에 대한 일본 내 프레임워크 개발에는 관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JPX는 국제 지속가능성 표준위원회(ISSB)의 글로벌 지속가능성 규칙을 모니터링하고 있기도 한다. 

관련기사: ISSB 워킹그룹, 한중일 중 한국만 빠졌다...KSSB 자문위 멤버는?

JPX는 2018년부터 도쿄 채권 시장에 녹색·사회적 채권 플랫폼을 추가하며 ESG 채권을 관리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일본 금융청으로부터 ‘친환경’ 또는 ‘전환’과 관련된 ESG 채권을 인증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만들어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또 이 프레임워크를 집행하는 외부 검토 시스템을 만들어달라는 요청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안나 힐 JPX 지속가능성 차관보는 “거래소에 상장된 녹색채권과 사회적 채권이 몇 개 있지만 일본 내 ESG 채권 대부분은 사실상 상장되지 않은 채권들”이라며 “이들 채권에 대한 요구사항을 정할 주체는 거래소가 아니라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또 ESG 채권시장이 초기단계이니만큼 성장 과정을 지켜보면서 투자자들이 어떤 세부사항을 원하는지 확인한 뒤 요건을 추가하겠다는 결정을 내렸다. 

 

일본 금융청은 JPX에게 ESG 데이터 공급자 행동강령 개발 요청 

대신 ESG 정보공개에 집중한다. JPX는 ESG 채권을 위한 정보 플랫폼 개발을 주도할 예정이다. ESG 정보공개에 관한 표준, 제3자 의견 및 기타 지속가능성 관련 정보가 포함된다.

일본 금융청은 JPX에게 거버넌스, 투명성 및 비교가능성을 개선하기 위해 ESG 데이터 공급자에게 요청할 행동강령(code of conduct)을 개발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와 더불어 JPX는 런던 증권거래소와 같이 ESG 데이터 핵심 공급업체로 발돋움할 계획이다. 

올해 JPX는 ‘JPX 마켓 이노베이션 앤 리서치’라는 자회사를 설립하기도 했다. 수익성이 좋은 ESG 데이터 시장에 진입한다는 목표다. JPX는 데이터 및 기타 디지털 관련 사업은 확장할 것이고, 투자자와 이해관계자 사이에서 ESG 데이터에 대한 수요를 확인하고 있는 과정이라고 밝혔다. 

지속가능성 보고 개선도 JPX가 우선순위로 꼽은 과제 중 하나다. 힐 차관보는 “대부분 대기업은 외국인 투자자의 압력에 직면하면서 지속가능성 문제를 다루기 시작했다. 반면 소규모 기업은 외국인 투자자들로부터 압력을 받지 않고, 지속가능성 문제를 고민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이 분야에서 실적을 개선하면 일본의 투자 매력도를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 통계에 따르면 일본 내 중소기업은 전체 기업 수의 99%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체 인구의 70%를 고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JPX는 공시에 대한 일률적이고 규범적 접근을 시행하는 것은 중소기업에 대부분 의존하는 일본 경제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했다. 당장 의무로 요구하지 않는 이유다. 

대신 JPX의 자체 상장 규정과 관련해 가이드 핸드북과 사내 ESG 지식허브를 통해 ESG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전반적으로 더 많은 공시를 장려할 계획이다. 2015년 기업지배구조법에 사외이사에 대한 원칙 등을 개정한 바 있는데, 강제 규정이 아닌 권고사항이었다. 당시만 하더라도 사외이사가 한 명도 없는 기업이 많았지만, 이제 한 두명의 사외이사를 가지고 있지 않은 기업을 찾아보긴 힘들게 됐다. 강제적인 법안은 아니지만 변화를 일으켜 낼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JPX의 내부 평가에 따르면 상당수의 기업이 지배구조 규정을 90% 이상 준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JPX, 탄소시장 설립한다는 장기 계획 세워

국내도 배출권 선물시장 개설 준비 돌입

이와 별도로 일본 경제산업성이 국가 탄소 가격 시스템 개발 계획의 일환으로 탄소 시장 조성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JPX는 탄소시장을 설립한다는 장기적인 계획도 세웠다. JPX는 일본 경제산업성의 GX(Green Transformation) 리그 기본 개념에 따라 정부와 협력해 탄소 거래시장을 개설할 계획이다.  

국내에서는 2020년 12월 환경부, 금융위원회,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한국거래소가 공동으로 녹색채권 가이드라인을 발표한 바 있다. 녹색채권으로 인정받는 6가지 환경 목표 및 녹색채권 원칙의 4가지 핵심요소 등을 소개했다.

탄소배출권 시장의 경우 선물시장 개설 준비에도 들어갔다. 2015년 거래 시작 이후 국내 탄소배출권 시장은 현물만 거래되고 있다. 한국거래소는 이달 초 배출권 선물시장 개설을 검토·준비하는 차원에서 '배출권 선물 상장 및 활성화방안' 연구용역 입찰을 공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월 환경부도 물시장 설계안을 마련하기 위한 '배출권 거래시장 고도화방안' 연구용역을 발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르면 내년 배출권 선물시장이 열릴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 환경부 관계자는 "배출권거래제 제3차 계획기간(2021~2025년) 내 선물시장을 조성한다는 목표 아래 필요한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MPACT ON(임팩트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