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NGO들이 일본의 대기업들에게 주주총회에서 기후관련 해결책을 내놓으라고 압력을 가하고 있다고 복수의 미디어가 13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올해 연례 주주총회에서 일본의 거대 기업들이 기후 관련 결의안을 채택할 예정인데, 주주결의를 통해서 기후조치를 요구하는 것은 일본에서는 생소한 일이다. 미국과 유럽에서 NGO들이 사용했던 결의안 제출이 이제는 일본으로 향하고 있다.
일본과 해외의 NGO단체들은 13일 메가뱅크인 미쓰이스미모토은행(SMBC), 미쓰비시 상사, 도쿄전력, 주부전력 등에 기후결의안을 제출했다고 발표했다.
SMBC, 미쓰비시 상사, 도쿄전력, 주부전력 등 4개 회사가 관여하는 10개의 LNG발전소 프로젝트에서 배출되는 탄소는 12억톤이나 된다고 NGO들이 주장하고 있다. 이것은 일본이 2030년까지 탄소배출 감축 목표량의 거의 두 배에 해당하는 양이다.
한편, 마켓 포시스(Market Forces), 기후 네트워크, 지구의 친구들 일본지부(Friends of the Earth Japan) 등의 NGO는 미쓰비시 상사에게 파리협약에 부합하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스코프2와 3까지 배출범위를 포함시켜 모두를 별도로 보고하라고 요청했다.
로이터에 의하면 미쓰비시 상상의 대변인은 결의안을 받았고 검토한 후에 적절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한편, SMFG(미쓰이스미토모파이낸셜그룹) , 도쿄전력, 주부전력도 주주들의 결의안을 받았고 이사회가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후단체인 350일본(350.org Japan)과 열대우림 행동 네트워크(Rainforest Action Network)는 기후 네트워크, 마켓 포시스와 함께 사업계획의 투명성을 요구하며 메가뱅크인 SMBC에 주주제안에 반대하는 결의안을 제출했다. 이 NGO그룹은 일본 은행이 "화석연료의 확장을 촉진하기 위해 상당한 자금을 계속 제공하고 있다"고 파이낸셜 타임즈에 주장했다.
NGO 지구의 친구들 일본지부 후카쿠사는 “일본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압력을 증대되고 있어 이러한 결의안의 대상이 금융기관부터 무역회사, 전력 회사까지 확대되고 있다”고 파이낸셜 타임즈에 밝혔다.
아직은 주주총회가 열리기 시작한 초반이어서 현장 전문가들은 더 많은 조치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일본에서 기후 결의안을 통과시키는 것은 여전히 쉽지 않다"고 기후 네트워크의 야스코 스즈키는 파이낸셜 타임즈에 토로했다.
지금까지 일본에서는 어떤 기후 결의안도 주주들로부터 다수 지지를 얻지 못했다. FT는 "2022년은 일본 기업에게 전환점이 될 지도 모른다"고 했다.
